항목

  • 원각경언해 圓覺經諺解
    원각경』에 한글로 구결을 달고 번역하여 1465년에 간행한 언해서.|내용 간경도감에서 간행하였다. 10책. 상1이 1·2, 상2가 1·2·3, 하1·2·3이 각각 1·2로 분권(分卷)되어 있다. 『원각경』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의 약칭인데, 당나라 종밀(宗密)의 『원각경대소초(圓覺經大疏...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1465년(세조 11)(간행)
    성격 :
    언해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0책
    간행/발행 :
    간경도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원각경언해 圓覺經諺解
    1465년(세조 11)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경전.|10책. 중국 당나라 종밀의 〈원각경대소초 圓覺經大疏秒〉에 세조가 토를 달고, 신미·효령대군·한계희 등이 번역했다. 1575년(선조 8) 전라도 안심사에서 원간본을 복각하여 중간본을 냈다. 1932년 한용운이 보수하여 출판했으며, 1977년 이것을 저본으로 한 영인본이 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원각경언해
    원각경언해》(圓覺經諺解)는 조선 세조 때 신미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세조 10년에 간행되었고, 선조 8년에 중간되었다. 불교 경전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원각경언해(圓覺經諺解),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간행하였다. 구성과 내용 이 책은 한문 불경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의 한글 언해본으로 한문본과 구분하기 위해 흔히 『원각경언해圓覺經諺解』라 부른다. 전체 10권인데 권1은 서문으로 이루어져 있고, 권2는 상일지일(上一之一), 권3과 권4는 상일지이(上一之二), 권5는 상이지일(上二...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상1의1, 2의1~3, 권하1의1~2, 2의2~3 원각경,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諺解) 卷上一之一, 二之一~三, 卷下一之一~二, 二之..
    上下大黑口),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로 되어 있다. 첫머리에는 원각경을 올리는 전문(箋文)과 판각에 관여한 사람들의 성명과 직책이 표시되어 있고...정확도를 기했음을 알 수 있다. 한문 주해 · 본문 및 언해문의 편찬 양식은 목판본 『능엄경언해』와 같으며 『법화경언해』(1463년) , 『선종영가집언해...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원각경,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은 간경도감 언해본을 저본으로 경문 및 주석의 한글 구결 부분만을 편집하여 을유자판으로 인출되었으므로 구결은 간경도감본 원각경언해와 일치한다. 그렇지만 간경도감의 한글언해 불경과는 별도로 금속활자로 간행된 구결본 원각경이다. 구결본으로 구분되는 것은 간경도감판 언해본 원각경원각경 전체의 대문...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원각경구결 구결원각경, 圓覺經口訣
    다르다. 간기가 없으나 을유자(乙酉字)로 인쇄된 책이므로, 『원각경』을 찍기 위하여 을유자를 주조하였다는 성현(成俔)의 『용재총화(慵齋叢話)』를 통하여볼 때 1465년에 『원각경언해』와 동시에 간행된 것임이 분명하다. 현재 5책 전부가 남아 있다. 16세기 중엽에 원간본을 복각한 중간본도 전한다. 국어사연구와...
    시대 :
    조선 전기
    창작/발표시기 :
    1465년
    성격 :
    구결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책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불경언해 佛經諺解
    般若心經諺解〉(1권, 1464):당나라 법장(法藏)의 〈반야심경약소〉에 대한 송나라 중희(仲希)의 주해본에 세조가 구결을 달고 한계희 등이 언해하여 간행. ⑦ 〈원각경언해 圓覺經諺解〉(11권, 1465):당나라 종밀(宗密)의 〈원각경대소초〉에 세조가 구결을 달고 신미·효령대군·한계희 등이 언해하여 간행. ⑧...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2의2 원각경구결,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卷上二之二
    중간 크기의 활자로서 한 칸 내려 행마다 18자가 두 줄로 배열되어 있다.(圓覺寺)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일명 『원각경』이라고도 하는데, 『원각경언해(圓覺經諺解)』와 『원각경구결(圓覺經口訣)』에는 세조가 직접 붙인 한글 토, 즉 구결(口訣)이 있다. 작은 주석은 현토(懸吐) 없이 한 행에 네 줄이...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금강경언해 金剛經諺解
    능엄경언해』 · 『법화경언해』 · 『원각경언해』와 같은 계통의 중세국어 연구자료인데, 각자병서(各自並書)의 표기가 마지막으로 나타난 간경도감의 언해서란 점에서 특이하다. 즉, 『능엄경언해』와 『법화경언해』에서는 ‘ᄒᆞᇙ가, ᄒᆞᆯ까’로 표기되던 어형이 이 책에서는 ‘ᄒᆞᆯ까’로 되었는데, 이듬해의 『원각경...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원각경,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卷上 一之一
    것이다. 간경도감 언해본을 저본으로 경문 및 주석의 한글 구결 부분만을 편집하여 을유자판으로 인출되었으므로 구결은 간경도감본 원각경언해와 일치한다. 이 을유자판 원각경은 주로 불경을 간행할 목적으로 주조된 활자로 인출되어 전래본이 많지 않고 초인본이라 인쇄상태도 깨끗하여 귀한 판본에 속하므로 15세기...
    시대 :
    조선전기
    저작자 :
    불타다라(佛陀多羅) 한역(漢譯)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514호
    창작/발표시기 :
    1465년(세조 11)
    성격 :
    불교경전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결본)
    간행/발행 :
    간경도감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한국학중앙연구원
  • 법화경언해 法華經諺解
    經)』에 세조가 구결을 달고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번역하여 간행한 책이다. 책의 체재와 번역의 양식 등은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목판본 『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원각경언해(圓覺經諺解)』 등과 일치한다. 편찬/발간 경위 책머리에 1463년 9월 2일자로 된 간경도감 도제조(都提調) 윤사로(尹師路)의 전(箋)이...
    시대 :
    조선
    저작자 :
    세조
    창작/발표시기 :
    1463년
    성격 :
    언해서, 불교경전언해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7권 7책
    간행/발행 :
    간경도감
    분야 :
    언어/언어·문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원각경언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