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불경언해 佛經諺解
    불경에 한글로 구결(口訣)을 달고 언해한 책, 또는 불경언해하는 일.|불경언해는 한글이 창제되고 난 직후부터 시작되었다. 〈석보상절 釋譜詳節〉(1477)도 수양대군의 서(序)에 의하면 한문으로 된 석가보(釋迦譜)를 만들고 그것을 번역하여 만든 것이라고 했으므로 넓은 의미에서는 이것도 불경언해서에 속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석보상절 釋譜詳節
    등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특히 『아미타경(阿彌陀經)』, 『약사경(藥師經)』, 『법화경(法華經)』, 『지장경(地藏經)』 등 석가모니가 설법한 주요 불경 내용이 석가의 일대기 속에 함께 실려 있어 기존에 중국에서 편찬되었던 『석가보』 등과 편찬 방식에서 차이를 보여 준다. 편찬 순서는 팔상도(八相圖) · 도...
    유형 :
    문헌
    분야 :
    언어/언어·문자
  • 관세음보살보문품언해 보문품언해(普門品諺解), 觀世音菩薩普門品諺解
    개설 불분권(不分卷) 1책으로 서울대 규장각, 고려대, 동국대, 산기문고(山氣文庫) 등에 소장되어 있으며, 보문품언해(普門品諺解) 또는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언해(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諺解) 등으로 불린다. 편찬/발간 경위 이 책 말미에 있는 운수암(雲水菴) 행오(幸悟)의 후서(後序)에 발간 경위가 기록...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언해 諺解
    져 짝지어 놓이며 대조된 원문에는 일반적으로 한글로 구결(口訣)이 달려 있다. 조선시대 언해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간경도감(刊經都監) 간행의 불경언해와 교정청(校正廳)에서 간행한 경서언해는 한글로 구결을 단 원문과 그 번역문이 나란히 짝지어 놓여 있다. 언문에 구결을 다는 것은 언해에 앞서 먼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언해 諺解
    하였지만, 원문이 대조되지 않았으므로 언해라 하기 어렵다. 대조된 원문에는 한글로써 구결을 다는 것이 보통이다. 언해의 전형적인 예인 간경도감 간행의 불경언해와 교정청 편찬의 경서언해에는 구결이 달린 원문과 번역이 짝지어 놓인다. 이러한 원문의 구결은 번역의 절차와도 관련된다. 『능엄경언해』와 『금강경...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목우자수심결언해 牧牛子修心訣諺解
    선가에서 크게 중요시하여 우리나라에서만도 수십 차례 간행되었고, 중국·일본의 권위 있는 대장경에 수록되기도 했다. 언해본에는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불경언해의 특징들이 나타난다. 한자음은 동국정운식 방점, '•·ᇰ·ᇹ·ᇫ·ᇦ'이 쓰였다. 언해본은 현존하는 판본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서지학적으로 귀중하며, 15세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계초심학인문언해 誡初心學人文諺解
    범절과 마음가짐, 출가수도의 필요성과 방법을 논술하여, 불문의 초심자가 반드시 읽어야 될 책이다. 원전을 대문으로 나누어 한글로 구결을 달고 언해한 것은 다른 불경언해와 같으나, 원전의 한자에 한글로 독음을 표시한 것이 특징이다. 1978년 『명지어문학』 제10호에 『발심수행장언해』, 『야운자경서언해』와...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1577년(송광사판), 1583년(서봉사판)
    성격 :
    언해서, 불교경전언해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간행/발행 :
    송광사, 서봉사
    분야 :
    언어/언어·문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송광사 성보박물관, 영남대학교 도서관, 일본 도쿄대학(東京大學)
  • 법화경언해 法華經諺解
    刊經都監進新刊法華經)’이라 했기 때문에 간행년도는 1463년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행년도를 추정한다면 『법화경언해』는 『능엄경언해』에 이은 간경도감의 두 번째 불경언해서가 된다. 동국대학교에서 원간본과 1523년에 복각된 복각본, 쌍계사판을 모아 수록한 축쇄 영인본이 간행되었고, 이것을 대제각...
    시대 :
    조선
    저작자 :
    세조
    창작/발표시기 :
    1463년
    성격 :
    언해서, 불교경전언해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7권 7책
    간행/발행 :
    간경도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발심수행장언해 發心修行章諺解
    한글로 구결을 달고 언해한 것은 다른 불경언해와 같으나, 원전 대문의 한자에 한글로 독음까지 표시한 것이 특이하다. 송광사판은 15세기말 성종 때의 불경언해와 비슷한 문체를 보여주지만, 간행연대에 따라 16세기말의 국어사 자료로 이용함이 온당하다. 실제로 이 책의 방점은 극히 형식적인 표기이며 ‘ㅿ’의...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1589년
    성격 :
    언해서, 불교경전언해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1책
    분야 :
    언어/언어·문자
  • 금강경언해 金剛經諺解
    언해문에만 나타나 있고 구결에는 찍지 않았는데, 이는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다른 언해서들과 동일한 성격이다. 국가에서 주도하여 간경도감을 중심으로 불경 언해를 본격적으로 진행하던 시기의 자료이므로, 다른 간경도감의 체제나 번역 양식과 균질적인 모습을 보여 15세기 국어를 연구하는 데는 물론이며, 훈민정음...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목우자수심결언해 牧牛子修心訣諺解
    鳳栖寺)에서 중간되었는데 그 판목(版木)이 남아 있어 근래에 쇄출되기도 하였다. 일사문고본과 봉서사본은 『사법어(四法語)』와 합철되어 있다. 언해는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불경언해의 특징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한자음은 동국정운식한자음(東國正韻式漢字音)이고 방점(傍點), ‘·, ㆁ, ㆆ, ㅿ, ㅸ’자가...
    시대 :
    조선 전기
    저작자 :
    신미
    창작/발표시기 :
    1467년(초간), 1500년(중간)
    성격 :
    언해서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간경도감(초간), 봉서사(중간)
    분야 :
    언어/언어·문자
    소장/전승 :
    서울대학교 도서관, 일본 도요문고(東洋文庫)
  • 야운자경서언해 野雲自警序諺解
    3권 1책인 점은 같으나, 송광사판이 장차(張次) 표시를 3권 연속으로 하고 서봉사판이 권마다 독립시켜 한 점이 다르다. 송광사판은 15세기말 성종 때의 불경언해와 비슷한 문체를 보여주지만 간행연대에 의해 16세기말의 국어사 자료로 이용된다. 이 책의 방점은 극히 형식적으로 표기되어 있고, ㅿ의 사용도 혼란을...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성격 :
    언해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1책
    간행/발행 :
    송광사(1577), 서봉사(1583)
    분야 :
    언어/언어·문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법화경언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