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울외장아찌
    약간 덜 익은 울외를 사용하여 만드는 장아찌이다. 재료 및 분량 울외 8개, 절임용 소금물 적량 양념장 : 술지게미 10컵, 설탕 2컵, 물엿 1컵 만드는 법 1. 울외는 반으로 갈라 씨를 긁어 내고 소금물에 5~7일 동안 절였다가 채반에 건져 꾸덕꾸덕하게 말린다. 2. 분량의 재료를 섞어 양념장을 만들고 울외에 양념이 충...
    도서 전통저장음식 | 태그 음식 , 레시피
  • 울외장아찌
    식재료 울외 50개, 술지게미 10kg, 설탕 600g(4컵), 청주 360mL, 소금 적량 조리방법 1. 울외는 2등분하여 씨를 빼고, 씨를 뺀 자리에 소금을 듬뿍 뿌려 소금물에 하루 정도 절여 놓는다. 2. 절였던 소금물에 울외를 씻은 다음 자루에 넣어서 무거운 것으로 눌러 놓는다. 3. 술지게미, 설탕, 청주를 잘 섞어서 절여진 ...
    분류 :
    부식류 > 장아찌류
    성격 :
    가열하지 않는 음식 > 소금이나 장류에 절이는 음식
  • 울외장아찌
    음식 정보 울외장아찌울외(월과)를 소금에 절여 수분을 뺀 다음 술지게미로 발효시킨 장아찌이다. 밑반찬으로 먹거나, 김밥에 단무지 대신 넣기도 한다.웹 인용깨진 링크 술지게미로 장아찌를 담가 먹은 것은 삼국 시대부터인 것으로 추정된다. 《임원경제지》 〈정조지〉에 생강, 무, 외, 가지, 마늘, 배추 등을 술...
    도서 위키백과
  • 울외장아찌 영양정보
    1회 제공량 :
    100g
    칼로리 :
    67kcal
  • 울외 월과, Oriental pickling melon
    등에 효과가 좋다. 대표 효능 섬유질, 칼륨 고르는 법 꼭지가 촉촉하고 열매가 싱싱한 것을 고른다. 조리법 울외장아찌로 만들어 먹는 것이 보편적인데, 이는 ‘나라즈케’라고 불리는 일본 나라 지방의 특산물이 한국에 전해져 온 것으로 한국에서는 전라북도 군산의 특산물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완성된 울외...
    분류 :
    농산물 > 과채류
    용도 :
    약용, 음료용, 탕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채소 , 식재료
  • 목포시의 식재
    장아찌 등이 있다. 주요 식재 울외 장아찌 울외(주박)장아찌는 목포 신동(전남 목포 장아찌마을)에서 20년 동안 생산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방법으로 울외를 담그고 있다. 독특한 맛과 향으로 많은 미식가들이 찾고 있는 울외장아찌는 약간 단맛과 짠맛이 나는 독특한 향을 지니고 있다. 울외를 깨끗한 물에 씻어 물기...
  • 군산시의 식재
    풍부한 바다, 고즈넉한 산들이 어우러진 서해 중부권에 위치해 있으며 현대 첨단산업도시이자 국제 무역항으로 유명하다. 주요 특산물로는 꽃새우, 김, 울외장아찌 등이 있다. 주요 식재 흰찰쌀보리 군산흰찰쌀보리는 가용성 식이섬유가 일반쌀의 7배, 밀의 3.7배 높으며, 비타민과 칼슘, 철분등이 쌀에 비해 많아 식욕...
  • 월과 Oriental pickling melon, シロウリ
    월과(越瓜; lang)는 멜론의 재배품종이다. 채과(菜瓜)라고도 부른다.웹 인용 월과채 울외장아찌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나라즈케 奈良漬け, 奈良漬
    사케카스(사케를 만들 때 나오는 술지게미)에 담가 절인 쓰케모노의 하나이다. 삼국 시대에 술지게미로 담가 먹던 장아찌가 일본으로 전파되어 나라 지방에서 발전했다.뉴스 인용 이후 일제강점기 때 역수입된 울외(월과) 나라즈케가 군산 지역에 "나나스끼" 또는 "울외장아찌" 불리며 남아있기도 하다. 울외장아찌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울외장아찌
울외장아찌
햇 울외장아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