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늘날의 역법
    현재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역법은 태양력에 기원을 두고 있다. 태양력이 계절의 변화와 일치하고 종교적인 축일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때때로 이러한 축일이 태음력의 계산법에 근거하므로 태음력의 계산법과 태양력의 계산법이 일치되어야 했다. 이를 위해 로마 공화력과 이집트력의 특징이 결합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서양의 역법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로마 공화력의 많은 부분이 현재 널리 사용되는 그레고리력으로 이어졌다. 유대력 초기 유대력도 12태음월을 바탕으로 했다. 이 역법은 태양의 경로와 관련이 있지만, 354일의 태음년이 365일의 태양년과 어떻게 조정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오늘날 사용중인 유대력에서, 년은 태양력...
  • 역법 曆法, calendar
    최초의 실용적인 역법은 이집트인들이 만들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로마인들은 서유럽에서 1,500년 이상 사용된 율리우스력을 만들었다. 오늘날 널리 사용중인 역법은 그레고리력인데, 달의 위상을 바탕으로 하는 종교적 축일과 태양의 운동에 따라 결정되는 계절적 활동과 관련된 날짜를 하나의 체계로 기술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역법의 기초
    역법의 기본계산단위는 일(日)이다. 일은 오늘날 관례적으로 자정에서 자정까지의 시간으로 측정되지만, 항상 그렇게 결정되어온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원시 부족들은 여명부터 여명까지로 계산한 반면, 어떤 부족들은 일몰부터 일몰까지를 하루로 계산했다. 2세기경부터 1925년까지 천문학자들은 정오부터 정오까지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세종시대 최첨단 역법서-칠정산
    우리 민족의 천문학은 세계 최고의 수준에 올라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왜 역법에 ‘칠정산’이란 이름이 붙었을까? 칠정(七政)이란 글자 그대로 ‘일곱 가지의...목성, 금성과 토성이라는 다섯 행성을 함께 아울러 칭한 것이다. 오늘날의 일곱 요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원래 정치란 하늘의 뜻을 이 땅 위에 실현...
    도서 과학향기 | 태그 한국사 , 조선 , 문헌
  • 칠정산 과학 한국의 상징
    기준과 소수점 여섯 자리까지 일치하는 계산이다. 아라비아의 회회력을 흡수한 〈외편〉은 원주를 360도, 1도를 60분으로 정한 새로운 기준을 담았다. 역시 오늘날 기준과 똑같다. 이 정도로 정교한 계산을 할 수 있는 나라는 당시 아라비아와 중국, 조선뿐이었다. 일본이 고유 역법 체계라고 세계에 자랑하는 《정향력...
  • 디오니시우스 Dionysius Exiguus
    새로 만든 부활절 계산표가 사용되면서 그의 그리스도교력이 널리 보급되었다(역법). 6세기 교회사가 카시오도루스는 그를 수사라고 부르지만, 전승에 따르면...525년 교황 성 요한네스 1세의 요청으로 연표를 작성했는데, 이것은 오늘날까지도 통용된다(서력기원). 이 연표는 아키텐의 빅토리우스가 제안한 바 있는...
    출생 :
    500경, 스키티아
    사망 :
    560경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역법 Calendar, 暦
    역법(曆法, 세시와 요일, 일식, 행사일 등을 아울러 이른다. 이러한 역법을 표기한 문서가 달력이다. 유의어로 기년법(紀年法)이 있으며 이는 천문학적 기년법을...사용된다. 달을 기준으로 한 것은 삭망월이라고 하고, 계절이 순환하는 주기(오늘날에는 태양이 일주하는 주기)를 태양년이라고 한다. 삭망월은 2...
    도서 위키백과
  • 전통시대 최고의 실용서, 역서 과학과 미신의 이중주
    않지만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다양한 계산법까지 실어놓았다. 즉 역법서는 오늘날 천문연구원에서 발행하는 『역서』에 실려 있는 다양한 천체 운동의 정보를...생활에 유용한 역서를 만들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전통시대의 역법을 역서와 관련된 일로만 한정해 “날짜를 정하는 방법”이라고 말했지만, 사실 전통...
  • 율리우스 카이사르 (Gaius) Julius Caesar
    이 이름은 카이사르가 로마력을 개정해 만든 태양력인 율리우스력과 마찬가지로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카이사르가 만든 율리우스력은 동방 정교회를 믿는 여러 나라에서 아직도 부분적으로 쓰고 있으며, 오늘날 서양에서 쓰는 그레고리력은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가 율리우스력을 약간 개량해서 만든 태양력이다...
    출생 :
    BC 100.7.12
    사망 :
    BC 44. 3. 15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책력 역서(曆書), 冊曆
    전통사회에서는 자연의 운행에서 얻어지는 것으로서의 의미가 더 컸다. 오늘날 달력이라고 하면, 대체로 1년 12개월의 날짜와 요일을 기록해 놓은 것으로 이해...개제(受命改制)의 천문사상이 담겨 있었다. 이는 농업 국가의 전통적인 역법의 기능, 다시 말해 적기에 농사일을 할 수 있도록 정확한 달력을 백성들에게...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설날, Lunar New Year’s Day
    가령 은 정월(殷 正月), 그리고 5월과 10월의 농공시필기 등과 같은 표현은 당시 역법(曆法)을 사용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은 정월은 은나라의 역법을 지칭하는데 이는 오늘날로 치면 음력 섣달에 해당된다. 이처럼 당시 부족국가들이 역법을 사용했다는 추정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따라서 역법을 통해 각 달을 가늠하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