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세종시대 최첨단 역법서-칠정산우리 민족의 천문학은 세계 최고의 수준에 올라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왜 역법에 ‘칠정산’이란 이름이 붙었을까? 칠정(七政)이란 글자 그대로 ‘일곱 가지의...목성, 금성과 토성이라는 다섯 행성을 함께 아울러 칭한 것이다. 오늘날의 일곱 요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원래 정치란 하늘의 뜻을 이 땅 위에 실현...
-
전통시대 최고의 실용서, 역서 과학과 미신의 이중주않지만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다양한 계산법까지 실어놓았다. 즉 역법서는 오늘날 천문연구원에서 발행하는 『역서』에 실려 있는 다양한 천체 운동의 정보를...생활에 유용한 역서를 만들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전통시대의 역법을 역서와 관련된 일로만 한정해 “날짜를 정하는 방법”이라고 말했지만, 사실 전통...
-
-
책력 역서(曆書), 冊曆전통사회에서는 자연의 운행에서 얻어지는 것으로서의 의미가 더 컸다. 오늘날 달력이라고 하면, 대체로 1년 12개월의 날짜와 요일을 기록해 놓은 것으로 이해...개제(受命改制)의 천문사상이 담겨 있었다. 이는 농업 국가의 전통적인 역법의 기능, 다시 말해 적기에 농사일을 할 수 있도록 정확한 달력을 백성들에게...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설 설날, Lunar New Year’s Day가령 은 정월(殷 正月), 그리고 5월과 10월의 농공시필기 등과 같은 표현은 당시 역법(曆法)을 사용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은 정월은 은나라의 역법을 지칭하는데 이는 오늘날로 치면 음력 섣달에 해당된다. 이처럼 당시 부족국가들이 역법을 사용했다는 추정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따라서 역법을 통해 각 달을 가늠하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