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영유아보육법 嬰幼兒保育法영유아의 보호 및 교육에 관하여 규정한 법률. 개설 영유아 및 가정의 복지 증진을 위하여, 영유아의 보호 및 교육에 관하여 규정한 법률로1991년 1월 14일 법률 제4328호에 의해 최초로 제정되었다. 내용 이 법률(제14597호)은 제정 목적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영유아의 심신을 보호하고 건전하게 교육하여 ...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률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91년 1월 14일
- 시행처 :
- 보건복지부
- 분야 :
- 교육/교육
-
-
보육교사 保育敎師내용 유아교육진흥법>(1982)과 <영유아보육법>(1991)의 제정을 통해서 유치원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유치원 교사라 하고, 영유아 보육시설 및 아동복지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로 개칭, 그 자격기준을 강화하여 보육교사직을 전문화하였다. 보육교사가 근무하는 보육시설이라 함은 보호자가 근로 또는 질병 기타...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영유아 보육료 및 양육 수당 지원 사업 嬰幼兒 保育料 및 養育 手當 支援 事業영유아 보육료 및 양육 수당 지원 사업을 시행하게 되었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으로는 영유아 보육료 및 양육 수당 지원 사업의 법적 근거로서 「영유아 보육법」 제34조[무상 보육]과 제34조의 2[양육 수당]가 있다. [내용] 영유아 보육료 및 양육 수당 지원 사업은 영유아의 보육료와 교육비를 지원하거나 양육...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새마을유아원 어린이집, 새마을幼兒園있어 예산의 중복투자, 시설과 기준의 상이함 등 많은 제약 요인이 있었다. 이로 인해 정부는 탁아시설 체계를 정비하기 위해 1991년 1월 14일 「영유아보육법」을 제정 · 공포하고, 그동안 「유아교육진흥법」에 의거하여 설치 · 운영되어 온 새마을유아원을 1993년까지 「교육법」에 의한 유치원이나 「영유아보육법...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교육/학교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어린이집託兒所)라 불리었으나 1968년 정부방침에 의하여 어린이집으로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 1982년부터 한동안 새마을유아원으로 지칭된 일도 있었으나 1991년 「영유아보육법」에 의해 어린이집으로 명칭이 통일되었다. 내용 유치원은 교육부의 지도 · 감독을 받는 반면, 어린이집은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국의 지도 · 감독...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교육
-
-
-
보모 保姆제도적인 개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혼 여성의 사회 진출이 급증한 1980년대까지도 국가의 보육 대책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지만, 1990년대 초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되면서 국가 책임의 근거가 마련되었다. 「영육아보육법」은 보육 시설의 설치 운영에 대한 법적 기준과 보육교사에 대한 자격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