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연암집 燕巖集조선후기 문신·학자 박지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7권 6책. 신활자본. 1932년 박영철(朴榮喆)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박영철에 의하여 간행되기 전에도 1900년과 1901년 사이에 김택영(金澤榮)의 초간본(원집 6권 2책, 속집 3권 1책)이 나왔고, 1914년에 다시 초간본 원집과 속집...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한문학
-
박지원 뛰어난 문사이자 진보적인 지식인그러나 실제는 돌아갈 만한 농토가 없어서 다만 벼루 밭에다 붓갈이(문필생활)나 했을 뿐입니다. 더러 들판에서 갈이 하는 법을 보았지만······. - 《연암집(燕巖集)》 〈진과농소초문(進課農小抄文)〉 여기서 우리는 그의 생애의 한 부분을 알 수 있다. 그는 노론의 명문 반남 박씨 집안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 출생 :
- 1737년
- 사망 :
- 1805년
-
-
수봉유고 문박(文樸), 壽峯遺稿때 사림들이 분연히 일어나 국가를 위하여 헌신해야 할 것을 강조하고, 그 방도를 조긍섭에게 물은 것이다. 잡저의 「한국역대소사발(韓國歷代小史跋)」은 김택영의 『한국역대소사』에 붙인 발문이며, 「중편연암집발(重編燕巖集跋)」은 『연암집』 중편에 붙인 발문으로 박지원(朴趾源)의 문장을 극찬하고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190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박지원과 정약용의 실학 세계 사실주의 문학의 시발점때, 즉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진(眞)의 문학’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 참된 문학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공작관문고 자서(孔雀館文稿自敍)」, 『연암집』 권31(1900) 글이란 생각을 있는 그대로 표현해 내면 그만일 뿐이다. 저 사람들이 제(題)에 임하여서 붓을 잡고는 문득 옛 사람이 쓴 어구(語句)를 생각하고...
- 시기 :
- 1901년
-
열하일기 熱河日記내용 26권 10책. 필사본. 간본(刊本)으로는 1901년 김택영(金澤榮)이 ≪연암집 燕巖集≫ 원집에 이어 간행한 동 속집 권1·2(고활자본)에 들어 있고, 1911년 광문회(光文會)에서 A5판 286면의 활판본으로 간행하였다. 1932년 박영철(朴榮喆)이 간행한 신활자본 ≪연암집≫ 별집 권11∼15에도 전편이 수록되어 있다...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박지원(朴趾源)
- 창작/발표시기 :
- 1901년, 1911년, 1932년
- 성격 :
- 견문록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6권 10책
- 간행/발행 :
- 김택영, 광문회, 박영철
- 분야 :
- 문학/한문학
-
박규수 朴珪壽스무 살 무렵에는 효명세자와 교유하면서 《주역》을 강의하고 서로 나랏일을 의논할 정도였다. 박규수는 효명세자의 명으로 박지원의 글들을 모아 정리해 《연암집》을 만들어 올리기도 했다. 그는 주로 실학자들과 교류했고 중국 학자들 가운데에서는 고염무(顧炎武)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1830년 효명세자의...
- 출생 :
- 1807년
- 사망 :
- 1876년
-
연암소설연구 燕巖小說硏究易學大盜傳)」·「봉산학자전(鳳山學者傳)」까지 포함한 초기 9전(傳)을 제1기로 묶었다. 이 9전은 박지원이 18세 때부터 30세 때까지 지었던 작품들이다. 『연암집별집』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박지원이 44세 때에 지은 「호질(虎叱)」과 「허생(許生)」은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실려 있다. 이...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이가원(李家源)
- 창작/발표시기 :
- 1965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을유문화사
- 분야 :
- 문학/한문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