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박지원, 열하일기
    26권 10책.〈연암집 燕巖集〉에 수록되어 있다. 박지원(朴趾源:1737~1805)이 44세 때인 1780년(정조 5)에 삼종형 명원(明源)이 청나라 고종 건륭제의 칠순 잔치 진하사로 베이징[北京]에 가게 되자 자제군관의 자격으로 수행하면서 곳곳에서 보고 들은 것을 남긴 기록이다. 당시 사회 제도와 양반 사회의 모순을 신랄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고전문학
  • 열하일기 熱河日記
    〈연암집〉에 수록되어 있으며 26권 10책이다. 44세 때인 1780년 삼종형 명원이 청나라 고종 건륭제의 칠순 잔치 진하사로 베이징에 가게 되자 자제군관의 자격으로 수행하면서 곳곳에서 보고 들은 것을 남긴 기록이다. 당시 사회제도와 양반사회의 모순을 신랄히 비판하는 내용을 독창적이고 사실적인 문체로 담았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문헌
  • 열하일기 熱河日記
    조선후기 실학자 박지원이 청나라에 다녀온 후에 작성한 견문록.|내용 26권 10책. 필사본. 간본(刊本)으로는 1901년 김택영(金澤榮)이 ≪연암집 燕巖集≫ 원집에 이어 간행한 동 속집 권1·2(고활자본)에 들어 있고, 1911년 광문회(光文會)에서 A5판 286면의 활판본으로 간행하였다. 1932년 박영철(朴榮喆)이 간행한 ...
    시대 :
    조선
    저작자 :
    박지원(朴趾源)
    창작/발표시기 :
    1901년, 1911년, 1932년
    성격 :
    견문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6권 10책
    간행/발행 :
    김택영, 광문회, 박영철
    분야 :
    문학/한문학
  • 열하일기 The Jehol Diary, 热河日记
    열하일기》(熱河日記)는 조선 정조 때의 북학파인 박지원이 1780년(정조 4년) 청나라 건륭제의 만수절(萬壽節, 칠순 잔치) 축하 사절로 중국의 북경(당시의 연경)에 갔을 때 보고 들은 것을 남긴 견문기이다. 박지원은 자신의 삼종형(8촌 형)이자 사절단의 수장인 금성위 박명원의 자제 군관 자격으로 일행에 합류할 ...
    도서 위키백과
  • 박지원 (관련어 열하일기) 朴趾源
    열하일기》, 《연암집》, 《허생전》 등을 쓴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소설가이다. 이용후생의 실학을 강조했으며, 자유 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 소설을 발표했다.|실학의 아버지 박지원은 조선 후기 실학 사상의 한 조류인 북학의 대표적 인물이다. 북학은 18세기 이후 청나라의 새로운 학문인 고증...
    출생 :
    1737년
    사망 :
    1805년
  • 박지원 미중(美仲), 중미(仲美), 朴趾源
    정사로 북경으로 가자, 수행(1780년 6월 25일 출발, 10월 27일 귀국)해 압록강을 거쳐 북경·열하를 여행하고 돌아왔다. 이 때의 견문을 정리해 쓴 책이 『열하일기(熱河日記)』이며, 이 속에서 평소의 이용후생에 대한 생각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이 저술로 인해 문명이 일시에 드날리기도 했으나 문원(文垣)에서...
    시대 :
    조선
    출생 :
    1737년(영조 13)
    사망 :
    1805년(순조 5)
    경력 :
    한성부판관, 면천군수, 양양부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학자
    대표작 :
    열하일기, 허생전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반남(潘南)
  • 박지원 뛰어난 문사이자 진보적인 지식인
    장자 같고, 불공하기는 유하혜 같고, 술 마시기는 유령 같고, 저술하기는 양웅 같고, 스스로 견주기는 제갈량 같다”고 했다(《연암집》). 그의 저서 중에 《열하일기(熱河日記)》가 있다. 이 책은 당시에 풍미하던 존명배청의 풍조, 소중화 의식, 북벌론 등의 허구를 여지없이 깔아뭉개고 풍자했으며, 청나라의 좋은 점...
    출생 :
    1737년
    사망 :
    1805년
  • 박지원 〈열하일기〉 완성
    연암 박지원이 청나라 기행문을 탈고했다. 제목은 『열하일기』이다. 박지원은 친척형인 박명원을 따라 청나라 고종의 칠순 잔치에 갔다가 청나라의 문인, 명사들과 사귀며 그곳의 문물제도를 보고 느낀 점을 여러 분야로 나누어 기록했다. 6월 24일 압록강 국경을 건너는 데서 시작해 요동, 산해관(만리장성의 동쪽...
    시대 :
    1783년
    국가/대륙 :
    한국
  • 연암집 燕巖集
    실은 것이다. 이에 비해 1932년 박영철이 편집하여 간행한 중간본은 박지원의 모든 문장을 빠짐없이 싣는다는 취지 아래 종간의 필사본을 저본으로 하고 〈열하일기〉·〈과농소초〉 등을 별집으로 덧붙여 17권 6책의 신활자본으로 펴냈다. 김택영본은 원집에 민경석의 서와 김만식·김교헌·김택영의 발이 있고, 속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무화과 無花果, fig tree
    먹게 하며 설사를 멎게 한다'라고 효능을 설명하고 있다. 무화과 잎의 혈압강하 작용과 뿌리의 관절통, 근육통, 치질 예방 효과도 관심을 끄는 효능이다. 『열하일기』에 등장하는 무화과 연암 박지원이 쓴 『열하일기』 속에도 무화과가 나온다. 박지원은 18세기에 활동한 조선의 실학자이자 문필가이다. 44...
    분류 :
    뽕나무과(Moraceae)
    원산지 :
    지중해 동부 지역
    학명 :
    Ficus carica L.
    활용부위 :
    식용 : 과일약용 : 뿌리줄기, 뿌리, 잎
    외국어명 :
    fico〈이탈리아어〉, higo, higuera〈스페인어〉, イチジク(이치지쿠)〈일본어〉
  • 연암집 燕巖集
    글을 취사하지 않고 수집가능한 것들을 모두 모으고 박지원의 아들 종간(宗侃) 등이 편집한 57권 18책의 필사본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여기에다 『열하일기(熱河日記)』 · 『과농소초(課農小抄)』를 별집으로 더하여 합간하였다. 서지사항 책머리에 총목록이 있고, 권1 · 2는 연상각선본(烟湘閣選本)이라 하여 서(序...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한문학
  • 서울대학교미술관 미술관도 가고 캠퍼스 투어도 할 수 있는
    궐내에 설치한 왕실도서관이다. 이곳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비롯해 『조선왕조실록』, 역대 임금의 글씨를 모아서 엮은 『열성어필』, 박지원의 『열하일기』 필사본 등 28만 2000여 점의 옛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입구에 비치된 '어린이를 위한 규장각' 안내서를 참고하자. 해설을 듣고 싶다면 홈페이지에서 예약...
    위치 :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2건

열하일기
열하일기
열하일기
열하일기
열하일기
열하일기
열하일기
열하일기
열하일기
열하일기
열하일기
열하일기
열하일기 / 허생전
열하일기 / 허생전
열하일기 / 허생전
연암집속집 / 열하일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