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안동 김씨와 60년간의 세도 정치세도 정치의 본래 의미는 조광조가 도학의 원리를 정치 사상으로 심화시킨 데에서 주창된 것으로, ‘세상 가운데의 도리’인 세도(世道)를 실현하는 정치를 말한다. 조광조는 이를 위해 세도의 책임자가 정치를 이끌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조선 시대 순조, 헌종, 철종 대에 실제로 전개되었던 정치 형태를 칭할 때...
-
-
안동 김씨 세도의 시작과 김달순 옥사 (관련어 안동김씨)순조는 왕위에 오른 나이가 11살로서, 왕위에 오를 당시에는 왕비 자리가 비어 있었다. 그러나 정조가 생전에 안동 김씨 김조순의 딸을 자신의 며느리를 정해놓은 상태였다. 수렴청정을 시작한 후 어느 정도 정적들을 제거했다고 판단한 정순왕후는 1802년 순조의 혼례를 서둘기로 하였다. 정조가 일찍 점쳐놓은 김조순...
-
안동김씨 묘 출토 의복 安東金氏 墓 出土 衣服개설 1987년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안동김씨묘 출토 의복’은 1985년 중부고속도로 건설로 인하여 경기도 광주시 초월면 지월리 경수 부락에 있던 안동김씨(安東金氏) 묘역을 옮길 때, 허난설헌(許蘭雪軒: 1563∼1589)의 시아버지인 김첨(金瞻: 1502∼1584)과 15∼16세로 추정되는 그의 딸, 그리고 그의 손부(孫婦)인...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생활/의생활
-
안동김씨 성보 安東金氏 姓譜개설 『안동김씨성보(安東金氏姓譜)』는 16세기 후반에 간행된 족보로, 조선 전기에 간인된 『안동권씨성화보』와 『문화유씨가정보』가 내외보(內外譜)인데 비하여 동성보(同姓譜)이다. 그러나 이 족보에는 수록인물의 자녀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하단 자녀를 격칸으로 구분해 놓았고 자녀를 출생순으로 수록...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사회/가족
-
-
묵계서원 및 안동김씨 묵계종택묵계서원은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 선생과 응계(凝溪) 옥고(玉沽) 선생을 봉향(奉享) 하는 서원으로 조선 숙종 13년(1687)에 창건되었다. 보백당 선생은 조선 초기 성종 때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명신이며 응계선생은 세종 때 사헌부 장령을 지낸 바 있다. 고종 6년(1869)의 서원철폐령으로 사당(祠當)은...
- 위치 :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충효로 1736-5
- 문화재 지정 :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9호(1980년 6월 17일 지정)
-
안동김씨 북애공종택 安東金氏 北涯公宗宅개설 1981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안동김씨 북애공의 종택(宗宅)으로, 건립연대는 미상이나 전하는 바에 의하면 처음에는 노씨문중(盧氏門中)의 종택으로 창건되었다 한다. 그 후 외손인 황씨(黃氏)가 입주했으나 자손이 없자 그의 외손인 아주신씨(鵝洲申氏)에게 인계 입주시켰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신정왕후 조선 익종의 비왕실의 보위를 부탁했다. 그런데 시파가 우여곡절 끝에 벽파를 궤멸시키고 정권을 거머쥐자 어린 순조는 허수아비 국왕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조정에서는 안동 김씨와 그들의 추종자들이 정권을 농단했고, 지방에서는 탐관오리들의 가렴주구로 인해 민생이 도탄에 빠졌다. 그로 인해 왕권이 땅에 떨어지자 순조는 정사에...
- 출생 :
- 1808(순조 8)
- 사망 :
- 1890(고종 27)
- 본관 :
- 풍양(豊壤,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 시호 :
- 효유헌성선경정인자혜홍덕순화문광원성숙렬명수협천융목수령희강현정휘안흠륜홍경태운창복희상의모예헌돈장계지경훈철범신정왕후
-
안동김씨 태장재사 安東金氏 台庄齋舍내용 1981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안동김씨 태장재사는 시조인 태사 김선평(金宣平)의 단소(壇所)를 지키고 봉향(奉享)을 위해 건립한 재사(齋舍)이다. 1711년(숙종 37) 경 작은 집을 지었다가 1749년(영조 25)에 확장하였는데, 식수난과 질병이 겹쳐 사헌부 지평 김양근(金養根)이...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묵계서원 및 안동김씨 묵계종택 默溪書院 및 安東金氏..내용 1980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묵계서원은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과 응계(凝溪) 옥고(玉沽)를 봉향(奉享)하기 위해 건립한 서원이다. 서원은 1687년(숙종 13)에 창건되었으나, 1869년(고종 6) 대원군의 서원철폐령(書院撤廢令)으로 훼철(毁撤)되었다. 그 뒤 강당과 문루인...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