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유형 | 유적 |
---|---|
분야 | 생활/주생활 |
요약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에 있는 조선후기 김계행과 옥고 관련 생활유적. 서원.
내용
1980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묵계서원은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과 응계(凝溪) 옥고(玉沽)를 봉향(奉享)하기 위해 건립한 서원이다.
서원은 1687년(숙종 13)에 창건되었으나, 1869년(고종 6) 대원군의 서원철폐령(書院撤廢令)으로 훼철(毁撤)되었다. 그 뒤 강당과 문루인 읍청루 · 진덕문 · 동재 등을 복원하였으며, 서원 옆에는 보백당선생의 신도비와 비각을 건립하였다.
강당(講堂)은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기와지붕인데, 평면은 어간(御間 : 건물의 중앙칸)의 3간 우물마루를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형(中堂挾室形)의 일반적인 평면형태를 취하고 있다.
종택은 정면 6칸, 측면 6칸 규모의 口자형 건물이다. 사랑채는 전면(前面)의 중문 왼쪽에 자리잡고 있는데, 사랑채가 서쪽에 위치한 관계로 사당(祠堂)도 사랑채 왼쪽인 서쪽에 자리잡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경상북도 문화재도록』(동해문화사, 1995)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유적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묵계서원 및 안동김씨 묵계종택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