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체제운동 新體制運動, New Order Movement
    1940년 6월 24일 고노에 후미마로[近衛文] 총리가 기자회견에서 발표한 성명 이후 추진되기 시작한 일본의 정치운동.|고노에의 측근인 고토 류노스케[後藤隆之助], 아리마 요리야스[有馬賴寧], 가자미 아키라[風見章] 등은 당시의 신관료와 혁신적 학자들을 모아 쇼와 연구회[昭和硏究會]를 만들고, 신체제운동을 통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선거
  • 신체제운동 (관련어 신체제 운동) 新体制運動, 新體制運動
    신체제운동이란 제2차 세계 대전기 일본 제국에서 고노에 후미마로가 중심이 되어 시도한 제3의 위치적 정치 운동이다. 고노에는 독일의 나치당과 이탈리아의 국가 파시스트당을 모방하여 유일합법정당이자 동시에 국민동원조직인 단체를 결성하려 했다. 메이지 유신에서부터 시작된 제국주의-소시민-시민혁명 노선을 비...
    도서 위키백과
  • 김오성 김형준, 金午星
    계몽운동에 힘썼으며 조선농민사 상임이사가 되기도 했다. 1943년에는 조선문인보국회 수필 평론부회 평의원으로 선출되었고, 해방 뒤에는 조선문학건설본부에 참가했다. 문단에 나온 것은 〈능동적 인간의 탐구〉(조선일보, 1936. 2. 23~29)를 발표하면서부터이다. 이어 〈네오 휴머니즘론〉(조선일보, 1936. 10. 1~9...
    출생 :
    평북 용천, 1908
    사망 :
    미상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국민총력조선연맹 國民總力朝鮮聯盟
    그 구체화 방책으로 이른바 신체제운동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백인제패의 세계 질서를 대신할 일본 중심의 동아블럭 건설을 위해서 천황귀일(天皇歸一)의 정치와 우선적 전체주의 체제를 확립하려는 운동이며, 만민익찬(萬民翼贊)의 국가중심주의체제를 완성하자는 것이었다. 이리하여 그 실행기관으로 국민정신총동원...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홍난파 모리가와 준, 홍난파의 친일
    동우회'사건으로 변절의 길을 걷게 됩니다. 그는 모리가와 준(森川潤)이란 이름으로 창씨개명을 한 뒤 '악단과 직업을 통하여 나라와 사회에 이바지하고 신체제운동을 하기 위해' 결성된 조선 최대의 친일음악단체 조선음악협회의 23명 평의원(조선인 일곱 명, 일본인 16명) 가운데 한 사람으로 선정되어 적극적인 친일...
    출생 :
    1898년
    사망 :
    1941년
  • 대정익찬회 大政翼贊會, Imperial Rule Assistance Association
    이는 고노에가 중심이 되어 추진해온 신체제 수립운동의 결실로서, 총력전을 치르기 위해 일국일당제를 실현시키려는 군부에 대항하여 국민 각계각층의 유력인사를 결집해 강력한 국민조직을 만들고자 한 것이었다. 총재는 고노에가 겸임하고 사무총장 아리마 요리야스[有馬賴寧] 아래 5국 23부를 두었다. 지방행정구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정춘수 명옥(明玉), 鄭春洙
    종교정책’을 발표하였으며, 『동양지광(東洋之光)』 1942년 1월호에 「응징의 이유 세 가지」, 『국민문학(國民文學)』 1942년 3월호에 「기독교와 신체제운동」 등의 글을 발표하였다. 1944년 3월 교단상임위원회를 열어 교회 통폐합과 전투기 헌납을 골자로 하는 「애국기(愛國機) 헌납 및 교회병합 실시에 관한 건...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국민훈련후원회 國民訓鍊後援會
    이며, 이광수(李光洙)·주요한(朱耀翰)·가나자와(金澤勇) 등이 중견급으로 참가했다. 조직의 목적은 중일전쟁의 전시체제가 미일전쟁의 결전 체제로 옮아가는 과정에서 강조된, 이른바 신체제 운동 및 고도 국방 국가의 건설 계획과 관련되는 것이다. 내용은 천황귀일의 만민익찬체제(萬民翼贊體制)의 확립을 위해서 ①...
    시대 :
    근대
    설립 :
    1940년
    성격 :
    친일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손홍원(孫弘遠)
    분야 :
    역사/근대사
  • 조선연극협회 朝鮮演劇協會
    이서구, 상무이사에 김관수, 이사에 박진·유치진·최상덕 등을 천거했다. 협회가 하는 일은 연극인의 지도·양성, 연극에 관한 조사, 지방 순회공연에 대한 지도·개선, 연기인의 표창 등의 사업을 벌여 연극을 통해 연극신체제운동, 즉 국민연극운동에 기여하고자 했다. 1942년 7월 조선연극문화협회에 흡수·통합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입헌정우회 日本立憲政友會, Rikken Seiyukai
    의회의 참여를 늘려야 한다는 입장을 표방했다고 볼 수 있다. 지주계급과 재벌세력의 지지를 받았으며 주요 경쟁정당인 민정당보다 보수적인 강령을 채택했다. 1930년대에 양당은 점차 군부에 밀려 세력을 잃게 되었으며, 입헌정우회는 1940년 신체제운동으로 해체되었다. 1945년 이후 많은 옛 당원들이 자유당을 조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조선연극문화협회 朝鮮演劇文化協會
    및 변천 일제는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직후 국가총동원법안(國家總動員法案)을 만들어 ‘국민정신총동원(國民精神總動員)’의 표어를 내걸고서 이른바 신체제운동(新體制運動)을 전개하였다. 연극의 경우 ‘국민연극(國民演劇)’이라는 국책극(國策劇)을 강요하고, 그 추진모체로 1940년 12월 22일에 조선연극협회(朝鮮...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942년 7월 27일
    성격 :
    어용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45년 8월
    설립자 :
    가라시마[辛島驍]
    분야 :
    예술·체육/연극
  • 국민연극 國民演劇
    국가이념', '국가정신'은 곧 내선일체에 의한 황민의식을 말하며, '신체제' 역시 일본의 전시체제를 의미한다. 중심적 단체 및 조직으로는 극단 현대극장(대표...특히 청춘좌에서는 1942년 국어극연구부를 설치하여 연극일본화운동인 '연극용어의 국어화운동'까지 전개하였다. 대표적 작가로는 유치진을 비롯하여 함세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