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
-
양반 兩班내용 처음에는 관제상의 문반과 무반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다가 고려 말 조선 초기부터는 관제상의 문 · 무반 뿐 아니라 점차 지배 신분층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국왕이 조회(朝會)를 받을 때, 남향한 국왕에 대하여 동쪽에 서는 반열(班列)을 동반(東班: 문반), 서쪽에 서는 반열을...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조선 시대(후기) 신분제조선 후기 신분제의 가장 큰 특징은 하층 신분이 상층으로 이동해가는 것이었다. 양반층의 급격한 증가 현상과 외거 노비의 실질적인 소멸, 그리고 솔거 노비의 광범위한 도망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한 현상은 이 시기에 와서 비로소 시작된 것이 아니라 이미 임진왜란 때에 제도적으로 시행되고 있었다. 국가는...도서 다음백과
-
조선 후기의 신분제호적이나 족보를 위조하기도 했다. 향촌의 양반들은 향반 또는 토반이라 불렸다. 향반 아래에는 양인이나 노비가 양반을 모칭한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이 조선 후기에는 종전의 신분제와는 크게 다른 모습이 나타나게 되었다. 서민 지주가 등장하고 양반이 수공업이나 상업 같은 천시 받는 직업을 갖는 경우도 생겨났다...도서 다음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