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골품제가 신라의 대표적인 신분 제도로서 성골, 진골과 1~6두품으로 나뉘어 정치적 진출과 생활 전반에 걸쳐 차별되었음.
신라의 신분제는 대표적으로 골품 제도에 의해 규정되었다. 골품 제도는 성골과 진골이라는 2개의 골과 6두품으로부터 1두품에 이르는 6개의 두품을 합쳐 모두 8개의 신분 계층으로 나누어졌다. 이 가운데 성골은 김씨 왕족 가운데에서도 왕이 될 수 있는 자격을 가진 최고의 신분이었는데, 진덕여왕을 끝으로 소멸되었고, 태종무열왕 이후에는 진골 출신이 왕위에 올랐다. 골품 제도는 개인의 정치적인 출세, 혼인, 가옥의 크기, 의복의 색깔, 우마차의 장식 등 사회 생활 전반에 걸쳐 여러 가지 특권과 제약이 가해지는 세습적인 신분 제도였다. 그러나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규정은 정치적 진출에 대한 것으로, 중앙의 주요 관청의 장관직이나 주요 군부대의 장군직은 진골이 아니면 취임할 수 없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