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순환기질환의 식사요법심장기능장애로 순환기질환을 겪게 되었을 때, 신체 기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식사요법. 열량을 조절해 비만이 되는 것에 주의해야 하며, 탄수화물은 잡곡 위주로 섭취하고 설탕은 피한다. 동물성 지방은 피하고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식물성 지방을 섭취한다. 단백질은 육류보다는 생선, 우유를 통해 섭취하고 염...
-
혈액 및 혈액형성기관 질환의 식사요법혈액 속 적혈구 및 헤모글로빈 등의 농도가 정상 수치로 돌아오는 것을 돕는 식사요법. 빈혈에는 철분결핍성빈혈·재생불량성빈혈·거대적아구성빈혈·용혈성빈혈 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혈액 구성 성분과 혈액 생산을 촉진하는 철분과 비타민이 많은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간, 육류, 달걀, 콩, ...
-
수술 후의 식사요법위암이나 위궤양등으로 위절제수술을 받았다면 수술 후 식사요법에 주의해야한다. 음식물이 위에서 소장으로 한꺼번에 다량 이동하면서, 복부팽만·복통·오심·구토·발한·열감·어지러움·빈맥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수분이 적은 고단백, 고지방, 저탄수화물을 자주 소량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위 ...
-
알레르기성 질환의 식사요법알레르기는 특정 물질에 대해 면역체계에서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증세이므로, 알레르기성 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들의 식사요법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음식을 금하는 방법밖에 없다.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대체 음식물을 찾아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알레르기는 어떤 특정물질에 대해 특별히 과민...
-
위장질환의 식사요법경과에 따라 급성위염과 만성위염으로 분류된다. 급성위염은 과음, 과식, 식중독, 알레르기성 식품, 자극성 식품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며 이에 대한 식사요법은 1~2일 간의 절식(絶食) 후 증상에 따라 탄수화물 식품을 주로 한 유동식(미음·우유·수프)에서 연식(죽·야채즙·반숙란·흰살생선), 고형식으로 진전...
-
투석환자의 식이요법투석을 받고 있지 않는 한 50 mg/dL 이하의 투석전 혈청 요소질소 수치는 불충분한 단백 섭취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식사요법의 필요성 식이요법의 현실 신부전증의 식이요법은 여러 가지 문제점 (식사에 제한이 많고, 환자의 음식물을 따로 마련하여야 되는 번거로움과 평소에 좋아하던 음식 대신에 다른 음식을 섭취...
-
간 및 담낭질환의 식사요법간염 가장 많은 간질환은 급성간염이며 대부분 특수한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간염 식사요법의 기본원칙은 간의 보호와 파괴된 간의 조직을 보수하는 데 있다. 급성간염의 병세가 심한 초기에는 식욕이 없으므로 탄수화물을 중심으로 한 미음, 신선한 과즙이나 채소즙 등의 식품을 섭취하고 식욕이 증가하면...
-
청소년 비만 해결을 위한 식사요법병행될 때 가장 효과적으로 비만을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비만 청소년들은 운동을 하지 않고 극단적인 식사 제한만을 실시하여 비만 개선을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식사 요법을 평생 지속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며, 이를 그만 두면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아가는 요요현상이 일어나 체중 조절에 실패한다...
-
신장질환의 식사요법관계되는 부분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며 크게 급성신염과 만성신염으로 나뉜다. 급성신장염은 인후염·기관지염·폐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식사요법으로는 초기에 식사제한을 철저히 해야 하는데 특히 부종이 있을 때는 식염을 제한하여 처음 얼마 동안은 무염식으로 하며 증세가 다소 나아지면 일정기간 1일 3~5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