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근사록 近思錄
    고려 후기의 문신, 노숙 이인민이 원나라에서 들어온 『근사록』을 1370년에 4책으로 간행한 유교서.|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4책. 목판본. 경상북도 봉화의 충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근사록』은 원래 송나라 유학자인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장재(...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유교
  • 근사록 近思錄, Chin ssu lu
    중국 남송(南宋)의 철학자 주희와 여조겸이 공동 편찬한 성리학 해설서. (병). Jin si lu. (웨). Chin ssu lu.|'근사'란 자하가 '간절하게 묻고 가까이서 생각한 것'에서 따온 것이며, '인간들이 날마다 쓰는 것'과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사상이다. 이 책은 송대 이학가 주돈이(周敦頤)·정호(程顥)·정이·장재 4명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근사록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58호)
    문화재 정보 근사록(近思錄)은 남송의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함께 편저한 것으로 송대(宋代) 이학의 대표적인 저작이다. 2019년 12월 5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458호로 지정되었다., 서울특별시장, 서울시보 제3555호, 122~131면, 2019-12-05 《근사록》은 남송의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함께...
    도서 위키백과
  • 근사록 近思録, 近思錄
    근사록》(近思錄, 1175년경)은 주희(朱憙)와 그 학문적 친교가 깊었던 여동래(呂東萊) 두 사람이 지은 철학책이다. 이 책은 북송 시대 도학(道學)의 대표적 사상가인 주돈이, 장횡거(張橫渠), 정명도(程明道) 및 정이천(程伊川) 즉 주장이정 또는 도학사선생의 저술(著述)·어록(語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14분야로 ...
    도서 위키백과
  • 근사록 (보물)
    근사록(近思錄)은 고려 공민왕 때의 책으로, 대한민국 보물 제1077호이다. 《근사록》은 고려 공민왕 19년(1370년)에 이인민(李仁敏)이 원본을 번각한 책이다. 이 책은 송(宋)의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성리학의 기본이 되는 주돈이의 《태극도설》, 장재(張載)의 《서명(西銘)》·《정몽(正蒙)》 등 중요한...
    도서 위키백과
  • 근사록 (보물 제262호)
    문화재 정보 근사록(近思錄)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충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62호로 지정되었다. 근사록(近思錄)은 송나라 유학자인 섭채가 성리학의 기본이 되는 주돈이의『태극도설』과 장재의『서명』등 중요한 문헌만을 골라 만든 성리학의...
    도서 위키백과
  • 근사록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문화재 정보 근사록(近思錄)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전시립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다. 2012년 6월 22일 대전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58호로 지정되었다. 「근사록」은 주희(1130-1200)와 여조겸(1137-1181)이 주렴계·정명도·정이천·장횡거 등 송조 명유들의 문장에서 학문의 중심문제들과 일상생활에 요긴한 부분...
    도서 위키백과
  • 오자근사록발명 五子近思錄發明
    장재(張載)·주희(朱熹) 등 ‘오자(五子)’와 설선·호거인(胡居仁)·나흠순(羅欽順)·고반룡(高攀龍) 등 명나라 학자들의 논의를 선별하여 편찬한 책으로 『근사록(近思錄)』의 속편(續篇) 해설서이다. 편찬/발간 경위 시황은 서문에서 『근사록』에 수록된 주돈이‚ 정호‚ 정이‚ 장재의 논의는 반드시 주자의 논의와...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시황(施璜)
    창작/발표시기 :
    1705년(숙종 31)
    성격 :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4권 12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등
  • 오자근사록 五子近思錄
    呂祖謙)이 주돈이(周敦頤), 정호(程顥), 정이(程頤), 장재(張載) 등 네 학자의 글에서 학문의 중심 문제들과 일상 생활에 요긴한 부분들을 뽑아 편집한 『근사록』에, 왕우(汪佑)가 주희의 여러 저서들에서 관련 내용을 추가하여 『근사록』의 편집체제와 동일하게 만든 책이다. 내용 1175년에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
    시대 :
    조선
    저작자 :
    왕우(汪佑)
    성격 :
    유학서, 사상선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4권 4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근사록부주 近思錄附註
    서문만 실려 있다. 1982년에 이항로의 후손이 소장하고 있던 필사본이 경문사(景文社)에서 영인·간행되었다. 서지적 사항 14권 6책. 필사본. 내용 김평묵은 『근사록』이 도학(道學)에 의해 제시된 ‘마음을 전하는 긴요한 방법(傳心之要訣)’을 보여주고, 오경과 사서로 들어가는 입문 성격을 띤, 간결하고 함축적인...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평묵
    창작/발표시기 :
    1856년
    성격 :
    주석서,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4권 6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 근사록질서 近思錄疾書
    내용 14권 1책. 필사본. 이 책은 이익이 안산(安山) 첨성촌(瞻星村)에서 학업에 전념할 때 저술한 것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원래 『근사록』은 중국의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주돈이(周敦頤)·정호(程顥)·정이(程頤)·장재(張載) 등의 경학에 관한 학설을 발췌해 편집한 성리서이다. 이익의 『근사록질서...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익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주석서,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4권 1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해동근사록 속근사록(續近思錄), 海東近思錄
    내용 3책. 목판본. 『속근사록(續近思錄)』이라고도 한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근사록』은 북송사자(北宋四子)의 어록을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편찬한 성리학 입문서인데, 『해동근사록』은 이황(李滉)의 어록을 바탕으로 하여 편찬하였다. 이황의 글을 주자의 것과 병렬하여, 주자의 도통(道統)이 우리나라...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한응
    성격 :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5건

근사록
근사록
근사록
근사록
근사록
근사록
근사록
경북 봉화 고서 근사록 근사록집해 서
경북 봉화 고서 근사록 표지
경북 봉화 고서 근사록 인출 참여자
경북 봉화 고서 근사록 노숙 지문
경북 봉화 고서 근사록 인출 간기
경북 봉화 고서 근사록 어제서
경북 봉화 고서 근사록 권두경  소지2
경북 봉화 고서 근사록 권두경  소지1
경북 봉화 고서 근사록 권14 권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