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성산산성 성산산성 전성(城山山城前城), 城山山城
    성산산성(城山山城)은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좡허시[庄河市]에 있는 둘레 3110m의 고구려 중대형 포곡식 석축 산성이다. 후성산산성과 함께 벽류하(碧流河)를 사이에 두고 요동의 방어선이 차단하지 못한 적군이 동남진하거나 요동반도 남단에 상륙한 적이 북쪽으로 진출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축조하였을 것으로 추...
    시대 :
    고대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성산산성
    성산산성(城山山城)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성산산성 - 충청남도 천안시 직산면 관서리 성산산성 - 전라북도 김제시 교촌동 교동리 성산 성산산성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신부리 성산산성 -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성산리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86호) 성산산성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괴산리, 가야읍 광정...
    도서 위키백과
  • 함안 성산산성 조남산성, 咸安 城山山城
    등에 대한 발굴조사에서는 많은 신라 목간들이 출토되어, 축조 시기와 역역 동원체제 등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역사적 변천 성산산성은 함안산성이라고도 불린다.『함주지(咸州誌)』고적조(古蹟條)에는 “가야국의 구허(舊墟)로 군의 북쪽 5리 성산 위에 있다. 주위는 4,383척이며, 지금도 성의...
    시대 :
    고대/삼국/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함안 성산산성
    신라 지방행정체계를 알 수 있는 목간(木簡)이 출토된 성산산성 성산산성(사적 제 67호)은 함안군 가야읍 조남산(해발 139.4m)의 정상부를 둘러싸고 있는 둘레 1.4km 정도의 석축성이다. 성벽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연경사를 이루고 있는 산 정상부를 따라 가다가 동쪽 계곡을 가로질러 축조되어 있다. 보은 삼년산성...
    시대 :
    신라
    소재지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광정리 조남산 일대
    종류 :
    석성
  • 고려성산산성 마둔고려성산산성(馬屯高麗城山山城), 高麗城山山城
    내용 마둔촌의 서쪽에 있는 고려성산에 있다. 고려성산산성이라고 칭하는 산성이 다수 있기 때문에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마둔고려성산산성(馬屯高麗城山山城)’이라고도 부른다. 성벽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석축으로 쌓았으며, 능선을 따라 축조된 성벽의 길이는 약 4㎞에 이른다. 주위에는 벽류하를 사이에 두고 동쪽...
    시대 :
    고대/삼국
    건립시기 :
    고구려시대
    성격 :
    성곽, 산성
    유형 :
    유적
    소재지 :
    중국 요령성 보란점시 묵반향 마둔촌
    분야 :
    예술·체육/건축
  • 파주 오두산성 오도성(烏島城), 坡州 烏頭山城
    바뀌어 왔다. 산의 모습이 까마귀, 비둘기, 자라의 머리 모양과 닮았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이와 같은 산의 명칭 변화 때문에 산성의 명칭도 오도성(烏島城), 오도성산성(烏島城山城), 오도산성(烏島山城), 오두산성(鰲頭山城), 오두산성(烏頭山城) 등으로 변화하였다. 형태와 특징 오두산 정상(해발 109.1m)을 감싸고...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천생산성 천생성산, 天生山城
    내성과 외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생산은 멀리서 보면 산 정상 위로 깎은 듯한 장방형 암반이 드러나는데, 이것이 마치 성처럼 보여 천생성산으로도 부른다. 건립 경위 천생산성은 『인동부읍지(仁同府邑誌)』에 혁거세가 성을 세웠다고 적혀 있으나 이는 후대에 전승된 기록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경상도...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함안 성산산성 Sŏngsansansŏng (Haman)
    문화재 정보 함안 성산산성(咸安 城山山城)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에 있는 삼국시대의 성곽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67호로 지정되었다. 함안의 서북쪽에 있는 성산에 둘레 약 1,4km에 걸쳐 돌로 쌓은 삼국시대의 산성으로 조남산성(造南山城)이라고도 한다. 성을 쌓은 연대는 정확히 알 수...
    도서 위키백과
  • 산성막걸리 금정산성막걸리
    방법 1. 쌀은 씻어 불린 후 고두밥을 지어 식힌다. 2. 1에 누룩가루와 물을 넣어 발효시킨다(20℃ 이상). 3. 하루가 지나 술이 익으면 체에 밭친다. 참고사항 산성막걸리는 300여 년 전 부산의 금정산성 지역에 밀을 심고 막걸리를 제조하기 시작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산성의 물맛이 좋아서 이 물로 빚은 막걸리는 얼음...
    분류 :
    발효식품류 > 주류 > 약주 및 탁주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
  • 창녕 성산산성
    문화재 정보 창녕 성산산성(昌寧 城山山城)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에 있는 산성이다. 1983년 12월 20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86호 성산산성으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낙동강을 앞에 두고 있는 작은 산성이다. 신라 진흥왕 23년(562)에 초계, 의령 방면의 왜적을...
    도서 위키백과
  • 마둔고려성산산성
    성 정보 마둔고려성산산성(馬屯高麗城山山城)은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에 위치한 고구려의 산성이다. 자연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의 능선을 따라 축조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성주군 경산, 星州郡
    등지에 크고 작은 270여 기의 고분이 산재하여 있다. 성곽으로는 가야산 상봉의 가야산성지(加耶山城址, 일명 白雲山城)를 비롯하여 독용산성(禿用山城) · 성주읍성지 · 성산성지 등이 있다. 불교 유산으로는 가천면에 성주 금봉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1992년 지정), 성주읍 예산리에 신라 애장왕 때 조성...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9건

성산산성
성산산성
성산산성
성산산성 동문지
성산산성 동문지
고려 성산산성(요하)
함안 성산산성
함안 성산산성
함안 성산산성
성산산성 동문지
성산산성 전경
함안성산산성
성산산성 축조 구분점
성산산성 남벽 능선
성산산성 내부 전경
성산산성 동성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