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슈누 신과 그의 화신(化身), 주로 라마와 크리슈나를 숭배하는 종파. (산). Vaiṣṇavism. Viṣṇuism이라고도 함.|시바 신을 숭배하는 시바파, 시바 신의 성력(性力)을 숭배하는 샥티파와 함께 현대 힌두교의 중요 종파의 하나이다. 비슈누파의 주된 특성은 종교적 헌신인 박티가 커다란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신도들...
특히 라마찬드라와 크리슈나를 최고신으로 숭배하는 힌두교 종파이다. 크리슈나파 등의 여러 세부 분파들이 있으며 이들을 통칭하여 비슈누파라 한다. 비슈누파는 시바파와 샥티파, 스마르타파와 더불어 힌두교의 주요 네 종파들 중의 하나이다. 여기서 종파는 신상을 예배하는 등의 종교적인 성격을 띠는 힌두교 분파를...
브라흐마에 근거한다. 가우디야 비슈누파는 여러 형상의 비슈누를 절대주인 아디푸르샤의 확장된 화신들로 보기 때문에 일신교로 분류된다. 가우디야 비슈누파 철학에 따르면 의식은 물질의 결과물이 아니라 영호의 징후라고 여긴다(이것은 모든 정신적 철학과 전통에서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모든 생명체(지바...
이 학파는 7세기 이후 남인도에서 활발하게 일어났던 박티(bhakti 신애) 운동의 일파인 비슈누파(비슈누 신 숭배)에서 생겼다. 초기에 이 운동을 지도하기 시작했던 브라만 중에서는 슈리랑감(지금의 타밀나두에 있음)의 사원 원장이었던 나타무니(10세기)가 유명했으며, 그의 뒤를 이은 사람은 주석서는 쓰지 않았지만...
영혼과의 합치가 베단타 학설의 바탕인 〈우파니샤드 Upanisad〉(힌두교 성전의 하나인 고대 철학서) 교설의 본질이라는 가르침을 발전시켰다. 그러므로 비슈누파(派)와 바가바타(비슈누의 열렬한 숭배자)파의 가르침은 정통적이다. 이 점에서 그는 모계의 선조인 슈리랑감의 야무나의 가르침을 계승했다. 그는 이러한...
과 사랑 또는 자비(산스크리트로 'karuṇā')는 그리스도교적 개념에서는 믿음보다는 사랑(그리스어로 'agapē', 라틴어로 'caritas')에 가깝다. 대승불교와 비슈누파(힌두교의 한 종파)가 보여주는 헌신의 형태는 그리스도교 및 유대교 전통의 믿음과 전적으로 다르지 않은 종교적 표현이다. 성서 히브리어에서 '믿음'은...
비슈누파·샤크티파와 함께 현대 힌두교를 형성하는 주요 세 교파를 이룬다. 시바파 안에는 고도의 철학체계를 갖춘 샤이바시단타와 사회적으로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 링가야트, 다슈나미 산니아신과 같은 금욕주의 교단들을 비롯하여 수많은 형태의 대중적 종파들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시바 신앙이 비(非)아리안계의...
많은데 그중 몇 군데는 중요한 어장이다. 이 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숲 지대에서는 티크·살(sal)·라크 목재가 생산된다. 구릉지대에서는 미키르족과 카차리족이 이동농경을 하고 있다. 하항이자 철도 종점인 실가트, 철도 교차점인 룸딩, 비슈누파 힌두교도들이 성스럽게 여기는 보르도와 같은 곳이 주요도시로 손...
열렬함에서 남인도의 종교 찬양 시인들인 알리바르와 비슷하다. 이 푸라나는 12권 약 1만 8,000송(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문헌이 인도 전역에 걸쳐 비슈누파교도들에게 엄청난 인기를 누리게 된 것은 크리슈나의 어린시절과 브린다바나의 목동들 사이에서 보낸 시절을 다루고 있는 제10권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사악...
샤크티파는 비슈누파·시바파와 함께 현대 힌두교를 특징짓는 주요종파로서 특히 벵골·아삼 지역에 신도가 많다. 샤크티는 최고의 여신이라고도 하며 혹은 남신의(흔히 시바의) 배우자라고도 한다. 종교적 성향인 사람들은 샤크티를 신의 의지로서, 절대복종을 요구하는 모신으로 숭배한다. 요기들은 샤크티가 신체...
문학적 가치가 높고 종교적 열망을 표현한 것으로 유명하며, 특히 인도의 비슈누파(비슈누 신을 신봉하는 종파로서 크리슈나는 이의 유명한 화신)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벵골족의 락슈마나 세나 왕(12세기말)의 궁정에 소속되어 있던 자야데바(Jayadeva)가 산스크리트로 지었다. 매우 독창적인 형식에서 후대에...
선교회에 속한 수도승을 말한다. 시바 신을 믿는 시바파 사두는 일반적으로 산니아신 또는 다슈나미 산니아신이라고 불리는 반면, 비슈누 신을 믿는 비슈누파 승려는 바이라긴이라고 불린다. 자신의 정신적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체계화한 요가의 가르침을 수련하는 고행자는 요긴 또는 요기라고 한다. 자이나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