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비슈누파

다른 표기 언어 Vishnuism

요약 비슈누 신과 그의 화신(化身), 주로 라마와 크리슈나를 숭배하는 종파.
(산). Vaiṣṇavism. Viṣṇuism이라고도 함.

시바 신을 숭배하는 시바파, 시바 신의 성력(性力)을 숭배하는 샥티파와 함께 현대 힌두교의 중요 종파의 하나이다.

비슈누파의 주된 특성은 종교적 헌신인 박티가 커다란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신도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생사의 윤회에서 벗어나 비슈누 신의 존재를 향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는 신의 은총을 통해야만 도달할 수 있다. 비슈누 신은 목적(upeya)이기도 하지만 수단(upāya)이기도 하다. 신도로서는 선한 업(karman)과 지혜(jñāna)에 의한 보조수행을 해야 한다. 비슈누파는 야다바족 지도자라고 생각되는 바수데바 크리슈나(Vāsudeva-Krishna : BC 7~6세기경)에 대한 숭배에서 시작되었다. 바수데바 종파는 신격화된 성인 나라야나를 숭배하는 다른 종파와 합쳐져서 AD 2세기경의 유명한 종교 서사시 〈바가바드기타 Bhagavadgῑtā〉에서는 바수데바·크리슈나·나라야나가 비슈누 신의 대표적인 이름들로 나타난다. 곧이어 목동 크리슈나를 숭배하는 종파가 더해졌다. 비슈누파의 각 교파는 개인의 주체인 개아(個我 atman)와 신의 관계를 해석하는 데 따라서 차이를 드러낸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교파들의 교리는 다음과 같다.

①제한불이일원론(制限不二一元論 viśiṣṭādvaita):라마누자(11세기)와 관련되어 있고 남인도에서 널리 퍼진 슈리바이슈나바로 이어졌다.②이원론(二元論 dvaita):가장 중요한 제창자는 마드바(13세기)로 그는 비록 개아가 신에 의지하지만 그것은 신의 확장이 아니며, 신과 개아는 분리된 존재라고 주장했다.③이원불이론(二元不二論 dvaitādvaita):개아와 물질로 이루어진 세계는 신 자체와 서로 다르기도 하고 다르지 않기도 하다는 님바르카(12세기)의 주장이다.④순수일원론(純粹一元論 śuddhādvaita):환(幻 maya)의 이론(理論)없이 세계를 설명한 발라바의 주장이다.⑤분별과 무분별의 불사의론(acintyabhedābheda):차이타냐의 교리로 개아 및 물질로 이루어진 세계와 신의 관계는 사유에 의해 파악되는 것이 아니며, 서로 전혀 다르기도 하고 다르지 않기도 하다고 주장한다.

비슈누파는 이처럼 여러 철학적 교설들로 많은 추종자들을 모으기도 했지만 신앙심에 대한 수많은 대중적인 표현도 가지고 있다. 중세 말기에 라마난다와 그 제자들의 방언으로 쓴 작품들과 북부 인도 지방의 툴시다스, 구라자트 지방의 미라 바이, 마라타 지방의 남데브와 투카람 등과 같은 비슈누파 시인들이 쓴 작품들은 이 신앙심을 더욱 고취시켰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비슈누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