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통학교 普通學校1906년 <보통학교령>에 따라 설치된 초등교육기관. 내용 구한말 신학제의 제정에 따라 설치된 소학교(小學校)를 보통학교로 변경하였다. 을사조약에 따라 설치된 통감부는 각종 법령을 반포하고 우리 나라 교육에 관하여 통제를 가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5∼6년제 소학교를 4년으로 단축하고, 심상과와 고등과로 나...
- 시대 :
- 근대
- 성격 :
- 초등교육기관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06년
- 분야 :
- 교육/교육
-
초등학교 (동의어 보통학교) 初等學校국민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초등교육을 실시하는 교육기관. 개설 초등학교는 나라에 따라 초등학교 · 보통학교 · 기초학교 · 소학교 등으로 일컫기도 한다. 근대 이후 세계 각국에서는 국민교육이 국가의 기본기능으로 인식되어 국민교육의 제도적 확립과 확충 · 강화책이 강구되었다. 이에 따라 각국의 초등학교...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보통학교 普通學校일제 강점기에 부산 지역의 초등 교육을 담당한 교육 기관. [개설] 우리나라의 초등 교육은 1895년(고종 32) 「소학교령」 공포로 근대적인 교육이 시작되었다. 1906년(고종 43)의 「보통학교령」 공포로 소학교가 보통학교가 되었고, 1911년에는 「조선 교육령」에 의하여 수업 연한 4년의 수준 낮은 초등 교육 제도...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배워야 산다 (관련어 보통학교) 문화, 어디에서 왔나우리는 흔히 “교육은 국가 백년의 대계”라고 한다. 교육이 국가의 발전과 미래를 결정하는 근본이라는 뜻일 것이다. 우리의 근대교육이 시작된 지 어느덧 백년이 지났다. 그 사이 우리 사회에서 줄곧 제기되었던 말이 ‘근대화’였고, 이는 교육의 발전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었다. 오늘날까지 발전된 우리 사회를 본...
-
고등보통학교 高等普通學校변천과 현황 1910년 이후 일제의 본격적인 식민지 통치가 시작되자, 중등교육에서도 일대 개정작업이 진행되었다. 위의 「조선교육령」 공포와 「고등보통학교설치규정」도 일련의 식민지교육 정책하에서 구상된 것이다. 이로부터 중등교육기관인 고등학교는 다시 고등보통학교로 바뀌고, 따라서 성격이 달라지게 된다...
- 시대 :
- 근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교육/교육
-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개설 1912년 4월에 확정하여 공표한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 이후에 이 맞춤법에 대한 개정 논의가 일어나서, 학무국에서 다시 위촉한 위원들의 토의를 거쳐 1921년 3월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를 공표하였다. 연원 및 변천 1912년 4월에 확정하여 공표한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은...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제도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개설 경술국치 뒤에 우리 나라의 보통학교에서 사용할 교과서를 편찬하기 위하여 조선총독부 학무국에서 위원을 선정하고, 1911년 7월부터 11월까지 5회의 회의를 거쳐 1912년 4월에 확정하여 공표한 한글맞춤법으로, 『역대한국문법대계』 제3부 제8책에 수록되어 있다. 연원 및 변천 1912년 4월에 확정하여 공표한...
- 유형 :
- 제도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창영초등학교 인천공립보통학교, 昌榮初等學校연원 및 변천 1907년 5월 6일 인천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초대 교장에 김윤정(金潤晶)이 취임하였다. 신교육을 통한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인천의 선각자들이 뜻을 모아 세운 인천 지역 최초의 공립학교였다. 설립 당시 수업연한 4년에 3명의 학생이 입학하였으나, 1907년 6월 사립 제영학교를 병합하여 2학급 74명으로...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
-
진도초등학교 광신학교, 珍島初等學校연원 및 변천 1904년 진도읍 동외리 당동양사재(養士齋)에 사립 광신학교(光新學校)로 설립되었다. 1909년 3월 공립으로 개편되어 진도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을 개칭하고, 수업연한 4년에 4학급으로 편성하였다. 가마골에 교사(校舍)를 마련하여 개교하였으며, 1910년 제1회 졸업생 10명을 배출하였다. 1912년 11월 화재로...
- 시대 :
- 현대
- 위치 :
-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성내길 9(구 성내리 54)
- 설립 :
- 1904년 4월 15일
- 성격 :
- 학교, 초등학교, 공립초등학교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