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은 삼년산성
    신라 삼국통일의 전초기지, 삼년산성 삼년산성은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어암리 산 1-1번지 해발 325m인 오정산에 위치하고 있는 석축산성으로 사적 제235호로 지정되어 있다. 삼년산성은 전체적으로 보아 서쪽으로 열린 계곡을 둘러싸고 있다. 이른바 사방이 높고 중앙이 오목한 고로봉형 지형에 산성을 축조하였다. ...
    시대 :
    신라
    소재지 :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어암리 산1-1
    종류 :
    석성
  • 보은 삼년산성
    충북 보은군 보은읍 성주 1길 104에는 신라시대 산성인 ‘삼년산성’이 있다. 둘레 1.7km, 넓이 8~10m, 높이 13~20m 규모의 삼년산성은 난공불락의 요새다. 성벽 아래에 서면 정육각형 벽돌로 깎아 쌓은 정교한 솜씨와 높고 튼튼한 기품에 압도된다. ‘삼년산성’이라는 이름은 성을 쌓는 데 3년이 걸렸기 때문이라고도 ...
    위치 :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성주1길 104
    문화재 지정 :
    사적 제235호(1973.05.25 지정)
  • 삼년산성 (동의어 보은 삼년산성) 오항산석성(烏項山石城), 三年山城
    삼년산성(三年山城)은 충청북도 보은군 오정산에 축조된 신라의 포곡식 석축 산성이다. 이 산성은 신라 자비마립간 13년(470)에 축조된 성곽으로, 축조 시기 및 운영 시기가 명확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성이다. 삼년산성은 한국 성곽 연구의 기준이 되는 산성이며, 6세기 중엽 신라의 북진과 관련된 중요한 유적이다....
    시대 :
    고대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삼년산성 (동의어 보은 삼년산성) 사적 제235호, 三年山城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오정산(烏頂山)에 있는 신라시대의 석축산성.|둘레 1.68㎞. 사적 제235호. 오정산의 능선을 따라 세 봉우리와 서쪽 골짜기를 잇는 포곡식 산성을 이루고 있으며, 산은 높지 않지만 꼭대기에서 바라보면 평야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470년(자비왕 13)에 축조했는데, 〈삼국사기〉에 따르면 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 보은 삼년산성 (관련어 보은삼년산성) Samnyeonsanseong
    문화재 정보 보은 삼년산성(報恩 三年山城)은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에 있는 돌로 쌓은 산성으로 신라 자비왕 13년(470)에 쌓았으며, 소지왕 8년(486)에 고쳐 세웠다. 1973년 5월 2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35호로 지정되었다. 삼년산성은 돌로 쌓은 산성으로 신라 자비왕 13년(470)에 쌓았으며, 소지왕 8년(486)에 고쳐...
    도서 위키백과
  • Samnyeonsanseong 보은 삼년산성
    Samnyeon Sanseong Fortress (literally "Three-Years' Mountain Fortress") is the ruins of a Silla fortress and wall that was built beginning in the year 470. The fortress was reconstructed in 486. The ruins are located in present-day Boeun, South Kore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town of ...
  • 보은 매곡, 報恩郡
    탄부면 고승리와 삼승면 선곡리에서는 돌화살촉 · 돌도끼 · 돌칼 등의 청동기시대 유물이 출토되었다. 산성으로는 삼국시대에 축성된 보은읍 어암리의 보은 삼년산성(사적, 1973년 지정)이 가장 오래된 산성이다. 그 밖에 회인면 중앙리에 매곡산성(昧谷山城)의 터와 회남면 남대문리의 호점산성(虎岾山城)의 터가...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신라 삼년산성 축조
    신라가 삼년산성(지금의 충청북도 보은군)을 완공했다. 성을 다 쌓는 데 꼬박 3년이 걸려 삼년산성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으로 전해진다. 구들장처럼 납작한 자연석을 활용해 한 층은 가로로, 다음 층은 세로로 쌓아 성벽이 매우 견고한 산성이다. 이 때문에 삼년산성은 5세기 후반 신라의 축성 기술을 대표하는 산성...
    시대 :
    470년
    국가/대륙 :
    한국
  • 보은 報恩郡
    백제와 신라의 접경지였다. 757년(경덕왕 16)에 삼년군으로 개칭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에 보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조선에 들어 1406년(태종 6)에 보은이 되었고, 1413년에는 충청도 이관되었다. 별호는 삼산이었다. 1893년(고종 30)에 2만여 명의 동학교도들이 보은장에서 대대적인 집회를 열고, 이전의 교조...
    위치 :
    충청북도 남부
    인구 :
    30,950 (2024)
    면적 :
    584.26㎢
    행정구역 :
    1개읍 10개면 246개리
    사이트 :
    http://www.boeun.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 보은군의 유물·유적·관광
    나무(천연기념물 제207호), 보은읍의 보은 백송(천연기념물 제104호), 외속서원의 소나무(천연기념물 제352호)가 있다. 법주사를 중심으로 한 문화관광자원과...잘 정비되어 있어 연간 187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모여들고 있다. 그밖의 관광지로는 신라시대에 축조된 삼년산성과 조선시대 동헌 등이 있으며, 화남면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 보은군의 교육·문화·의료·복지
    도서관은 군민들의 독서와 문화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보은문화원은 지역문화발전에 기여하고 보은군의 향토예술제인 속리축제를 1979년 이래 매년 개최하고...간에 벌어지는 물다리기가 있다. 전래되는 설화로는 〈거북바위전설〉·〈삼년산성전설〉·〈쌀바위전설〉 등이 있으며, 민요로는 〈대추노래〉·〈모찌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 보은군의 연혁
    시대에는 백제와 신라의 접경지였다. 470년(자비왕 13)에 신라는 이곳에 삼년산성을 쌓아 국경 지대의 방어를 강화했다. 502년(지증왕 3)에 삼년산군을 두었으며...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했다. 조선에 들어 1406년(태종 6)에 보은으로 개칭했으며, 1413년에는 현감을 두고 경상도로부터 충청도로 소속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6건

보은 삼년산성
보은 삼년산성
보은 삼년산성
보은 삼년산성 아미지
보은 삼년산성 서문지
보은 삼년산성 서문지
보은 삼년산성 성벽
보은 삼년산성 성벽
보은 삼년산성 성벽
보은 삼년산성 성벽
보은 삼년산성 성벽
보은 삼년산성 성벽
보은 삼년산성 성벽
보은 삼년산성 성벽
보은 삼년산성 전경
보은 삼년산성 전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