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동학 東學1860년(철종 11) 4월에 최제우(崔濟愚)가 창도한 종교. 개설 동학은 그 교지(敎旨)가 시천주(侍天主) 신앙에 기초하면서도 보국안민(輔國安民)과 광제창생(廣濟蒼生)을 내세운 점에서 민족적이고 사회적인 종교이다. ‘동학’이란 교조 최제우가 서교(西敎:천주교)의 도래에 대항하여 동쪽 나라인 우리 나라의 도를 ...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종교·철학/천도교
-
동학의 발생과 전파동학의 창시자인 최제우는 1824년 경북 월성의 몰락한 양반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가 성장하던 시기는 세도정치의 폐해로 백성들의 생활이 극도로 피폐해지고, 외세의 개항요구는 심해지던 때였다. 당시 백성들을 버티게 하였던 유교와 불교는 사회적 지도 역량을 상실하였으며, 새로 들어온 서학(천주교) 세력은 전통적...
- 시대 :
- 19세기
-
동학 東學1860년 최제우(1824~1864)가 일으킨 민족종교 수운(水雲) 최제우가 서학(천주교)에 대항하고자 민간 신학에 유(儒)·불(佛)·선(仙)의 교의를 혼합하여 창시하였다. ‘후천개벽(後天開闢)’과‘인내천(人乃天)’의 사상으로 19세기 조선의 사회불안에 동요하던 민중들에게 급속히 보급되었다. 1894년의 동학혁명에 영향...
-
-
전봉준 (관련어 동학) 명숙, 全琫準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로서 부패한 관리를 처단하고 시정개혁을 도모했다. 전라도 지방에 집강소를 설치하여 동학의 조직 강화에 힘썼으며, 일본의 침략에 맞서 싸우다가 체포되어 교수형을 당했다. 한국 민중 저항사의 상징 전봉준은 우리 역사상 최초로 일반 민중들을 역사의 주역으로 이끌어 낸 인물이다. 그는 민...
- 출생 :
- 1855년
- 사망 :
- 1895년
-
한국 신종교의 현황 (관련어 동학)한국의 신종교를 거론할 경우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반에 걸친 시기와 1950~70년대에 걸친 시기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첫번째 시기에 나타난 신종교는 동학·증산교·대종교·원불교 등이 대표적이며, 2번째 시기에는 통일교·대순진리회·천부교·영생교 등이 유명하다. 동학은 서학, 즉 서양종교 및 서...
-
동학, 수운 최제우영화 정보 "동학, 수운 최제우"는 2012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박기륭 : 최제우 역 송경의 : 조영화 역 정기선 : 최경상 역 조윤정 : 박씨부인 역도서 위키백과
-
청나라 시대, 동학 혁명과 청일 전쟁서양의 선진기술만을 받아들이려는 양무 운동보다 훨씬 차원이 높은 것이라 하겠다. 서양의 뛰어난 사상·정신은 그리스도교에 연원을 두고 있다고 판단한 동학의 창시자 최제우(崔濟愚)는 이를 서학(西學)이라 칭하였으며 서양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해서는 서학보다 강인한 사상, 즉 정신 무장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
동학운동 동학농민운동, 東學運動개설 이 운동은 처음 교조 최제우(崔濟愚)의 신원운동(伸寃運動)을 통하여 정치운동으로 성장하고 뒤에 민란과 결합하여 동학농민운동으로 전개되었는데, 황현(黃玹)이 “동학이 난민과 합쳐졌다”라고 표현한 것은 이 경우를 가리킨 것이다. 역사적 배경 동학농민운동에 있어서 동학은 농민의 요구를 횡적으로 연결시킨...
- 시대 :
- 근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