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각잡기 東閣雜記조선시대 문신 이정형이 고려후기부터 조선 선조 때까지 정치와 명신들의 행적을 기록한 역사서. 내용 2책. 필사본. 고려 말 이성계(李成桂)가 조선을 건국한 배경으로부터 선조 때까지 정치와 명신(名臣)들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 ‘본조선원보록(本朝璿源寶錄)’이라고도 하며 상·하 두권으로 되어 있다. 상권은 ...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정형(李廷馨)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명종·선조 연간
- 성격 :
- 역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이정형 덕훈(德薰), 李廷馨書)·성력(星曆)·복서(卜筮)·술수(術數)에도 통달했다 한다. 이원익(李元翼)·이호민(李好民)·이수광(李睟光) 등과 가깝게 지냈다. 1617년(광해군 9) 춘천의 문암서원(文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동각잡기』·『황토기사』·『용사기사(龍蛇記事)』·『수춘잡기(壽春雜記)』·『지퇴당집』 등이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49년(명종 4)
- 사망 :
- 1607년(선조 40)
- 경력 :
- 형조좌랑, 사간원정언, 예조정랑, 형조참의, 우승지, 장례원판결사, 예조참판, 호조참판, 삼척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동각잡기, 황토기사, 용사기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경주(慶州)
-
지퇴당문집 知退堂文集疏) 4편, 차(箚)·묘갈명·승첩비·영모록(永慕錄) 각 1편, 제문 10편, 서(書) 8편, 전책(殿策) 1편, 잡저 1편, 권5에 수춘잡기(壽春雜記) 1편, 권6∼11에 동각잡기(東閣雜記) 5편, 권12·13에 황토기사(黃兎記事) 2편, 권14에 세보(世譜) 1편, 연보 1편, 권15에 행장 1편, 제문 8편, 만사 27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정형(李廷馨)
- 창작/발표시기 :
- 1870년(고종 7)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5권 6책
- 간행/발행 :
- 이진기(수집), 이규복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해동기화 海東奇話정재륜의 『공사문견록(公私聞見錄)[東平聞見錄]』, 최자(崔滋)의 『보한집(補閑集)』, 이제현(李奎報)의 『백운소설(白雲小說)』, 이정형(李廷馨)의 『동각잡기(東閣雜記)』, 찬자 미상의 『남계집(南溪集)』, 이이명(李頤命)의 『소재집(疎齋集)』, 김시양의 『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 이처사(李處士 : 李墍)의...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야담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소장/전승 :
- 서울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
풍암집화 楓巖輯話내용 『어우야담』·『국당배어』·『부계기문』·『기재잡기』·『태평한화』·『용재총화』·『공사견문록』·『청파극담』·『동각잡기』·『추강냉화』·『석담일기』·『필원잡기』 등 총 45종에 달하는 문헌으로부터 뽑은 자료들을 대체적으로 연차순으로 수록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이본으로는, 국내본으로...
- 저작자 :
- 유광익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야담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7권 7책, 7권 2책, 1책, 3책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장서각 도서, 김약슬, 조윤제, 안춘근, 시데하라, 아가와, 야스요시도 문고
-
후자경편 後自警編중에서 특기할만한 사실을 효우·학문·충의 등의 작은 글씨로 병기하였다. 본문에서 인용한 여러 책들의 목록을 기술하였다. ≪국조야적 國朝野籍≫·≪동각잡기 東閣雜記≫·≪해동야언 海東野言≫·≪추강냉화 秋江冷話≫ 등의 야사류와, ≪퇴계집 退溪集≫·≪율곡집 栗谷集≫ 등의 문집류, ≪명신록 名臣錄...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창집(金昌集)
- 창작/발표시기 :
- 1700년
- 성격 :
- 유학서, 자경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권 6책
- 분야 :
- 교육/교육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육선생유고 六先生遺稿육선생사실 六先生事實>에는 사육신에 관련된 이야기를 여러 전적에서 뽑아 인물별로 실었다. 대개 ≪추강기사 秋江記事≫·≪치재일기 恥齋日記≫·≪동각잡기 東閣雜記≫·≪오음집 梧陰集≫·≪용재총화≫·≪패관잡기≫·≪석담일기 石潭日記≫·≪지봉유설≫·≪여헌집 旅軒集≫ 등을 참고하여 뽑았다. 이 책은...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박팽년 성삼문 이개 하위지 유성원 유응부(朴彭年 成三問 李塏 河緯地 柳誠源 兪應孚)
- 창작/발표시기 :
- 1658년(효종 9)(간행)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3책
- 간행/발행 :
- 이경억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
계축자 癸丑字않다. 성현(成俔)의 《용재총화 慵齋叢話》의 홍문관(弘文館)판 《증보문헌비고 增補文獻備考》에 계축자에 대한 기사가 보이고, 또한 민주면(閔周冕)편 《동각잡기 東閣雜記》에도 유사한 내용이 있을 뿐이다. 다만 이인영(李仁榮)의 《청분실서목 淸芬室書目》에는 계축자 중에서 가장 이른 것은 동월(童越)의...
- 시대 :
- 조선
- 성격 :
- 인쇄유물, 활자
- 유형 :
- 유물
- 제작시기 :
- 1493년(성종 24)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연려실기술 燃藜室記述400여 종에 이른다. 주로 인용된 서책은 ≪고려사≫·≪국조보감≫·≪동국통감≫·≪삼국사절요≫·≪조선왕조실록≫ 등의 정사류보다는 ≪동각잡기 東閣雜記≫·≪기재잡기 寄齋雜記≫·≪식소록 識小錄≫·≪해동잡록 海東雜錄≫ 등의 야사류가 주가 된다. 또한, 문집류만도 100여 종에 이르는데, 그 활용한 빈도대로...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긍익(李肯翊)
- 창작/발표시기 :
- 1776년(영조 52) 이전, 1934년(번역), 1966년(국역출간)
- 성격 :
- 역사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계유출판사(1934), 민족문화추진회(1966)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