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형직 金亨稷
    북한 자료에 따르면, 평양 숭실학교를 마쳤고, 1917년 3월 23일 강동군에서 항일운동 단체인 조선국민회를 결성했으며, 활동과정에서 일제경찰에 붙잡혀 옥고를 치렀으며, 석방된 후에는 만주로 망명했다고 한다. 비합법적인 조선국민회와 함께 학교계·비석계·향토계와 같은 계(契) 형식의 합법적인 조직을 결성한 것...
    출생 :
    평남 대동, 1894
    사망 :
    1926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김형직 金亨稷郡
    양강도의 북서부에 자리한 군.|동쪽은 김정숙군, 서쪽은 자강도의 화평군·자성군·중강군, 남쪽은 자강도의 낭림군, 북쪽은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있다. 행정구역은 김형직읍 1개읍과 고읍노동자구·남사노동자구·노탄노동자구·녹림노동자구·연포노동자구·월탄노동자구 6개구, 금창리·대응리·두지리·...
    위치 :
    양강도 북서부
    인구 :
    57,729 (2008)
    면적 :
    1,472.6㎢
    행정구역 :
    1개읍 6개구 9개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김형직 Kim Hyong-jik, 金亨稷
    김형직(金亨稷, 1894년 7월 10일~1926년 6월 5일)은 김일성의 아버지로, 독립운동가였다. 그리고 김보현의 아들이다. 김정일의 친할아버지자, 김정은의 증조할아버지다.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 남리 만경대에서 태어났다. 숭실학교를 졸업한 후 만경대에 있는 순화학교 교사를 하였다. 조만식은 그의 학교 선배라고 알...
    도서 위키백과
  • 김형직 金亨稷郡
    개설 김형직군은 동쪽으로 김정숙군(金貞淑郡), 서쪽으로 자강도의 화평군(和平郡) · 자성군(慈城郡) · 중강군(中江郡), 남쪽으로 자강도의 낭림군(狼林郡), 북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 동부지방과 접해 있다. 동경 126°53′∼127°35′, 북위 41°08′∼41°39′에 위치하며, 면적은 약 1,472.6...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김형직사범대학 金亨稷師範大學
    개설 평양시 동대원구역 삼마동에 위치해 있는 김형직사범대학은 해방 이후 북한 지역의 교원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던 평양교원대학을 모체로 하는 북한 최고의 사범교육기관으로 대학교원을 양성하고 있다. 설립목적 김형직사범대학의 전신인 평양교원대학은 해방 이후 북한 지역의 교원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학교교육
  • 김형직군의 산업과 교통
    경지면적은 군면적의 4.5%에 불과하며, 쌀·옥수수·콩·감자·아마·홉 등이 재배된다. 특히 고추는 이 지방의 특산물로 유명하며, 이밖에 300여 종의 약초재배와 가축사육·양잠·양봉이 활발하다. 과거에는 화전지역이 대부분이었으나 현대적인 임업 중심지역으로 바뀌어 임산자원을 이용한 공업생산액이 전체생산액...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김형직군의 자연환경
    북부의 압록강 연안을 제외한 지역은 높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으며, 남부에서 북부로 갈수록 더 낮아진다. 서쪽 경계로 뻗어내린 낭림산맥에는 쾌상봉(1,244m)·오가산(1,227m)·도령봉(1,542m)·천리산(1,869m) 등이 있으며, 동·남쪽 경계를 따라 전지산(1,621m)·남사산(1,785m)·대감투봉(1,873m)·희색봉(2,185m...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김형직군의대학 金亨稷軍醫大學
    내용 김형직군의대학은 군의장교 양성과 의학연구를 전담하는 군교육기관으로, 평양시 대동강구역 문흥동에 위치해있다. 이 학교는 1950년 11월에 군의학교로 설립되었으며, 1984년경 현재의 교명으로 개칭되었다. 이 학교의 편제는 임상의학부, 동의학부, 약학부, 구강학부 등의 학부를 갖추고 있고, 입학생은 군복무...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학교교육
  • 김형직군의 연혁
    속하게 하였다. 1954년에는 양강도를 신설하면서 후창군의 남부지역인 남신면·칠평면을 분리시켜 자강도로, 송전리를 신파군으로 분리시키면서 후창군은 양강도에 속하게 되었다. 1961년에는 후창읍을 월탄리로, 포삼리를 후창읍으로 개명했으며, 1988년에는 김일성의 아버지 이름을 따서 김형직군으로 개명하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김형직군의 문화와 관광
    김형직군 군내리에 있는 조리대군락과 600년이 된 문창느티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월탄리에 망미정과, 금창·고읍·갈전·죽전 등지에 옛 성터가 있다. 직령고개 주변의 직령무림은 아름다운 명승지로 잘 알려져 있다. 대학·전문학교는 없고, 고등중학고교 이하 각급 학교와 도서관·영화관·군중문화회관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김형직사범대학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
    그 다음에는 1972년 9월 평양 제1 사범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75년 3월 23일 김형직사범대학으로 개칭하였다. 또한 김형직사범대학은 북한의 중심적인 교원양성기관으로 내각 교육성에서 직접 관리한다. 수업연한은 예과 1년, 본과 5년을 합하여 6년이다. 이 대학은 다른 사범대학과 교원대학의 교원을 양성하며 계획적...
    도서 위키백과
  • 김형직 Kimhyongjik County, 金亨稷郡
    1988년 김일성의 아버지 이름을 따서 김형직군으로 개칭하였다. 압록강에 접하고 있고 북쪽 맞은편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이다. 군 남단에 최고봉인 희색봉(2185m)를 시작으로 하는 높은 산들이 늘어서 있어 평균 고도가 1000m에 가까운 산악 지대이며 농지는 적고 임업과 목재 가공업이 주산업이다. 량강도의 최서단...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6건

김형직
김형직과 강반석
김형직군
김형직군
김형직군(金亨稷郡)
평양 김형직사범대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