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덕고려학우회 독일유학고려학우회(獨逸留學高麗學友會), 留德高麗學友會연원 및 변천 독일에 유학 중인 한인학생들을 중심으로 1921년 1월 1일 베를린에서 유럽 최초의 유학생단체인 유덕고려학우회(留德高麗學友會, 獨逸留學高麗學友會)가 결성되었다. 창립 당시 주요 인물로는 김갑수(金甲洙)·윤건중(尹建重) 등 약 11명이 있었다. 설립 목적은 학생 자체의 발전과 친목을 도모하고 한인의...
- 설립 :
- 1921년 1월 1일
- 성격 :
- 해외한인, 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교육을 위해 아이를 외국에 보내도 될까요 초등학생자녀 심리상담 : 아이교육조기유학의 경우도 마찬가지지만, 영어 ‘공부’를 위한 단기연수는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영어 자체를 ‘학습’하기에는 한국만 한 곳이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학구열과 학습체계는 미국 대통령도 부러워하는 실정이니까요. 아이를 외국에 보낼 때는 무엇보다도 보내는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남들이 다 간다고...
-
-
고려의 건국과 정치사의 전개기반을 마련하였다. 성종은 유학을 정치이념으로 활용하여 내외의 정치제도를 정비하였다. 중앙의 정치기구로 3성6부 체제를 마련했고, 지방에 처음으로 12목(牧...정비를 마무리지었다. 이후 정비된 제도를 바탕으로 귀족문화가 크게 발달하여 숙종·예종·인종대까지 전성기를 맞이했다. 정비된 고려의 체제는 12세기...
-
유학제거사 儒學提擧司이색(李穡)·정오(鄭䫨) 등이다. 또한, 충숙왕 때에는 홍양파(洪陽波)·노백경(盧伯敬)·정사겸(鄭思謙)·백운빈(白雲賓) 등 중국의 유학자들이 유학교수로서 고려에 와 고려의 문신들과 교유하기도 하였다. 한편, 그 기능은 다른 행성에서와 마찬가지로 학교·제사·교양·전량(錢粮)·저술 등의 일을 관장하는 것...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289년(충렬왕 15)
- 시행처 :
- 정동행성(征東行省)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
고려의 문학과 예술했으나, 유학의 발달과 관련하여 한문학 특히 한시가 유행했다. 후기에는 신흥관료들이 〈한림별곡〉·〈관동별곡〉과 같은 경기체가와 어부가를 발달시켰다. 한편으로 〈청산별곡〉·〈정읍사〉와 같이 민중의 감정과 생활모습을 자유분방하게 표현한 장가(長歌)도 유행했다. 또한 이인로(李仁老)의 〈파한집〉, 최자...
-
성리학 신유학, 性理學수집해 들여 왔고, 김양감(金良鑑)·윤언이(尹彦頤) 같은 대학자가 사신의 임무를 띠고 송에 가는 한편, 중국 사신들이 고려에 빈번히 왔다. 중국에 유학가는 고려의 학생들도 적지 않았다. 또한 고려 시대 학자였던 최충(崔冲)의 구재학당(九齋學堂)의 재명이 솔성(率性)·성명(誠明)·대중(大中) 등 성리학자들이...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도학 道學문화전통을 이해하는 수준이었다. 고려시대에는 그러한 전통과 더불어 문장(文章)을 중시하여 사장(詞章)의 발달을 보게 되었다. 고려의 과거제도는 유학을 더욱 성행시킨 계기가 되었다. 유학은 외래사상 가운데 가장 먼저 우리 나라에 전래되어 의식·무의식간에 가치관의 바탕을 이루면서 우리 나라 문화 형성에 중요...
- 시대 :
- 고대/초기국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과학 科學외국유학을 마친 유능한 인재들은 귀국하지 않아 연구 인력의 부족은 심각했다. 두뇌유출과 연구인력 부족이라는 난제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학계의 격렬한 반대를 무릅쓰고 1971년 한국과학원(KAIS)이 설립되었다. 한국과학원은 파격적으로 유리한 조건 때문에 유능한 교수진과 우수한 학생들을 끌어들이는 데 성공...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