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통리기무아문 統理機務衙門
    청의 총리각국사무아문을 참조하고 군국기무까지 통괄할 정1품 아문을 설치하여 1880년 12월 <신설아문절목>에 근거하여 신설되었다. 사대사·교린사·군무사를 비롯한 12사를 두었다가 1881년 11월 7사로 축소했다. 그러나 1882년 대원군이 재집권하자 삼군부의 부활과 함께 폐지되었다. 7월 대원군의 실각 후 기무처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통리기무아문 統理機務衙門
    1880년(고종 17) 12월 21일 변화하는 국내외정세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외의 군국기무(軍國機務)를 총괄하는 업무를 관장하던 정1품아문(正一品衙門) 관청.|역사적 배경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개항한 뒤, 주로 대외관계의 변화에 대응한다는 필요성에서 신설된 것이나 대외관계만을 전담하는 기구는 아니었다. 이 아...
    시대 :
    근대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880년(고종 17) 12월 21일
    폐지일 :
    1895년(고종 32) 3월
    분야 :
    역사/근대사
  • 통리기무아문
    정부 기관 정보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은 1880년(고종 17년) 음력 12월 21일에 설치된 관청이다. 조선 최초의 근대적 기구이다. 임오군란으로 인해 1882년(고종 19년) 6월에 폐지되었다. 문호개방 후 조선 정부는 개화정책의 일환으로 행정기구의 개혁에 착수했다. 1880년 12월에 서양 국가들과의 외교ㆍ통상에 대...
    도서 위키백과
  • 신사유람단 (관련어 통리기무아문) 紳士遊覽團
    1880년 12월 근대문물을 수용하기 위한 기구로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한 후 서구문물의 조사를 위해 신사유람단을 파견했다. 1881년 2월 통리기무아문은 조준영·박정양·엄세영 등 12명을 민정시찰을 위한 동래부 암행어사로 임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서 일본 메이지 유신 이후의 국정을 살피도록 했다. 이들은 4월 28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개화정책 開化政策
    급격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국가 기구로는 부적합하였다. 즉, 대외통상의 새로운 과제에 적응하기 위한 정부 기구의 개편이 요청되었다.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의 설치는 이러한 새 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 기구 개혁의 첫 출발이었다. 1880년 음력 12월(양력 1881년 1월) 설치된 통리기무아문은...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통리기무아문 설치 개화 정책을 총괄하는 기구
    12월, 개화 정책을 총괄하는 기구인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이 신설됐다. 통리기무아문은 1882년 임오군란으로 대원군이 재집권한 후 폐지된다. 참조
    시대 :
    1880년 12월
    국가/대륙 :
    한국
  • 감공사 監工司
    내용 1880년 12월 정부는 종래의 의정부·육조(六曹)와는 별도로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이라는 새로운 기구를 설치하고, 그 아래에 12사(司)를 두었다. 1881년 7월 신사유람단이 귀국하여 시찰 결과를 국왕에게 복명한 이후 국왕 이하 정부내 소장 개화세력들에 의하여 정부기구의 개편이 추진되어, 같은 해 11월...
    시대 :
    근대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881년 11월
    폐지일 :
    1884년 10월 21일
    분야 :
    역사/근대사
  • 감공사 監工司
    1880년 12월 정부는 종래 의정부·6조와는 별도로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고, 그 아래에 12사를 두었다. 1881년 11월 통리기무아문의 12사가 7사로 개편되고, 각 사의 명칭과 업무가 조정될 때 7사의 하나로 설치되었다. 관원으로는 사무를 관장하는 당상경리사와 실무를 담당하는 부경리사를 두었다. 1882년 11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군무사 軍務司
    내용 1880년(고종 17) 설치 당시에는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에 소속된 12사의 하나였으며, 군무당상(軍務堂上)에는 민겸호(閔謙鎬)와 윤자덕(尹滋悳)이 임명되었다. 이듬해 11월 통리기무아문의 기구가 12사에서 7사로 개편될 때에도 존속되었으며, 그 때 군무사에는 총무국·참모국·교련국 등 3국이 설치되었다...
    시대 :
    근대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880년
    분야 :
    역사/근대사
  •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장정 통서장정(統署章程),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章程
    제정 목적 1880년 개화 정책이 시작되며 그 추진 기구로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이 창설되었다. 흥선대원군 때 설치한 삼군부(三軍府)를 없애고 그것을 대체하기 위해 설치된 통리기무아문은 국정 전반을 관리하는 성격을 지닌 기구였다. 그러나 1882년 임오군란 이후 흥선대원군이 재집권하며 통리기무아문은...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경제·산업/경제
  •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일반적으로 외무아문으로 일컬어진다. 1880년 12월에 설치된 통리기무아문이 1882년 6월 임오군란으로 폐지되었다가 그해 7월에 기무처라는 이름으로 다시 설치되었다. 같은 해 11월 기무처는 외교통상의 사무를 관장하는 통리아문과 군국기무·편민이국 등의 내정 일체를 관장하는 통리내무아문으로 각각 분리·설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군물사 軍物司
    무기제작과 도입에 관한 업무를 담당했다. 근대문물을 도입하고 개화정책을 추진하는 중심 기구로 설치된 통리기무아문에는 군물사를 비롯하여 사대·교린·군무·변정·통상·기계·선함·이용·전선·기연·어학 등 12사가 있어 개화행정을 담당했다. 1881년(고종 18) 조준영·박정양·홍영식·어윤중 등 62명의 신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