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군물사 軍物司
    1880년(고종 17)에 설치한 통리기무아문 아래의 한 관청.|무기제작과 도입에 관한 업무를 담당했다. 근대문물을 도입하고 개화정책을 추진하는 중심 기구로 설치된 통리기무아문에는 군물사를 비롯하여 사대·교린·군무·변정·통상·기계·선함·이용·전선·기연·어학 등 12사가 있어 개화행정을 담당했다. 1881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군물사 軍物司
    1880년(고종 17) 각종 병기제작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 소속 관서.|내용 각종 병기의 제작에 관한 업무를 맡아 보았다. 그러나 신사유람단이 일본의 문물을 시찰하고 귀국복명한 후 통리기무아문을 개편하면서 1년도 채 못 되어 1881년에 폐지되었으며, 1883년 기기창(機器廠)...
    시대 :
    근대
    성격 :
    관서
    유형 :
    제도
    시행일 :
    1880년
    폐지일 :
    1881년
    분야 :
    역사/근대사
  • 기기창 機器廠
    서양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던 조정에서는 특히 신식무기의 도입 및 제조에 관심을 기울였다. 1880년에 새로 설치된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에 군물사(軍物司)·기계사(機械司) 등을 두어 우선 제도를 정비하였다. 이어서 1881년 신사유람단과 영선사 일행을 파견하여 서양의 과학기술을 시찰, 습득하게 하였다...
    시대 :
    근대
    성격 :
    국방, 공장
    유형 :
    제도
    시행일 :
    1883년(고종 20)
    분야 :
    역사/근대사
  • 통리기무아문 統理機務衙門
    12월 21일 〈신설아문절목〉에 근거하여 신설되었는데, 사무 분담을 위해 사대사(事大司)·교린사(交隣司)·군무사·변정사(邊政司)·통상사(通商司)·군물사(軍物司)·기계사(機械司)·선함사(船艦司)·기연사(譏沿司)·어학사(語學司)·전선사(典選司)·이용사(理用司) 등 12사를 두었다. 수석인 총리대신은 현직 대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통리기무아문
    1962. 12사는 ① 사대사(事大司) ② 교린사(交隣司) ③ 군무사(軍務司) ④ 변정사(邊政司) ⑤ 통상사(通商司) ⑥ 기계사(機械司) ⑦ 선함사(船艦司) ⑧ 군물사(軍物司) ⑨ 기연사(譏沿司) ⑩ 어학사(語學司) ⑪ 전선사(典選司) ⑫ 이용사(理用司) 등으로 나뉘었다. 통리기무아문의 수장인 총리대신에는 영의정ㆍ좌의정...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