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층구름 中層雲, middle clouds
    고도 2~6km 사이에서 형성되는 구름.|고적운(높쌘구름)과 고층운(높층구름)이 여기에 속한다. 구름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구름 모양을 가지고 분류하는 것과 구름이 발생하는 높이를 가지고 하는 것이 있다. 중층구름구름이 발생하는 높이에 따라 상중하로 구분할 때 가운데 그룹에 속하는 구름들이다. 중층구름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중층구름 中層雲, middle clouds
    상공 2,000∼6,000m에 나타나는 구름의 총칭|상공 2,000∼6,000m에 나타나는 구름을 말한다. 중층 구름의 기온은 0℃에서부터 -25℃까지 분포하며 구름 내부에는 빙정 또는 빙정과 과냉각 수적으로 되어 있다. 고적운과 고층운이 여기에 속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하층구름 下層雲, low clouds
    많이 포함되어 수증기량이 많다. 상층구름이 흰 색의 엷은 구름이 넓게 퍼진 모양인데 반해 하층구름이 짙은 회색이나 검은색으로 두텁게 형성되는 이유는 수증기량이 많기 때문이다. 층쌘구름이나 층구름이 2km 아래에서 형성되는 데 반해 비층구름은 상층부가 7km까지 이르기 때문에 때로 중층구름으로 분류되기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높층구름 고층운, 高層雲
    고층운이라고도 부른다. 고도 2~5km에서 나타난다. 회색 또는 진한 회색이다. 구름이 해나 달을 덮기도 하는데 층이 엷을 때는 빛이 새어나와 해와 달의 윤곽을 볼 수 있다. 하늘을 덮고 있는 구름의 장막은 회색 또는 진한 회색이 뒤섞여 무늬처럼 보인다. 털층구름과 유사하지만 고도가 더 낮은 곳에 형성되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높쌘구름 고적운, 高積雲
    고적운이라고도 한다. 쌘구름(적운)이나 쌘비구름(적란운)등 수직운이 변해서 된다. 구름 사이로 파란 하늘이 보이는데, 마치 풀밭 위에서 노는 목장의 양떼처럼 보인다고 해서 양떼구름이라고도 부른다. 대부분 물방울로 되어 있고 간혹 저온인 곳에서 빙정이 섞이는 경우도 있다. 저기압 진행방향의 앞에 서는 구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구름의 분류
    Luke Howard)가 처음으로 라틴어를 이용해 구름의 주요 네 가지 유형인 ‘권운-작은 다발(wisp)’, ‘적운-쌓아올림(heap)’, ‘층운-층(layer)’, ‘비구름-비를 동반함(bringing rain)’을 기술하였다. 이 이름에 중층을 의미하는 알토(alto)라는 단어까지 포함된 조합을 이용하여 모든 주요 구름들을 묘사한다...
  • 고층운 高層雲, altostratus
    구름 분류의 10종 기본운형 중의 하나로 고적운과 함께 중층운에 속한다. 원명은 높은 하늘의 뜻인 'altum'과 층운 'stratus'로부터 파생되었다.보통 고도 2,000m 이상에서 발생하며, 두께는 수백~수천m까지 나타나기도 한다. 두꺼운 구름은 상부는 빙정으로, 중간부는 빙정과 과냉각 수적, 하부는 물방울로 되어 있으나...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고적운 高積雲, altocumulus
    구름 분류의 10종 기본운형 중의 하나로 보통 2,000~6,000m 고도에서 나타나는 중층운에 속한다. 원명은 높은 하늘의 뜻을 가진 'altum'과 적운 'cumulus'로부터 파생되었으며, 높쌘구름 또는 양떼구름이라고도 한다. 엷은 판자나 둥그스름한 덩어리 또는 롤(roll) 모양의 구름조각들이 모여서 된 백색이나 회색의 구름...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뇌우의 현상
    개요 적란운의 강한 상승류로 구름 방울과 빗방울은 구름 상부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수적과 빙정의 접촉에 의해 전하 분리가 이루어져, 상층 10㎞ 고도에는 양이온이, 중층 5㎞ 고도에는 음이온이, 하층 2㎞ 고도에는 양이온이 존재하게 된다. 전하량은 보통 40C(쿨롬)이고, 지면과의 전위차는 108V나 되며, 반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전선 前線
    또한 기울기가 완만하여 강수 구역이 넓으며 비교적 지속적으로 비가 내린다. 전선이 접근하면서 상층 대기에서 층운형 구름인 권운과 권층운이 발달하고, 순차적으로 중층과 하층에서도 층운형 구름이 나타난다. 온난전선은 한랭전선보다 느리게 이동하며, 속도는 25~35㎞/h 정도이다. 온난전선이 통과한 후에는 기온이...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창덕궁 인정전 인정전, 昌德宮 仁政殿
    모여 둥글둥글하게 장식된 운궁(雲宮)이 되어 내목도리나 보를 받고 있다. 중층건물이지만 내부는 하나로 터져 고주 위로는 대량을 걸고 고주 밖으로는 퇴량을...대량의 위치에 우물천장을 드리웠다. 천장 중앙에는 한 단을 높여 구름 사이로 봉황 두 마리를 채색하여 그려넣었다. 후면 고주 사이에 용상(龍床)을...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전리층 電離, ionosphere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관측된 지구자기장의 변화를 구름의 전기적으로 전도된 영역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 1925년 명확한 증거가 얻어지기 전까지...층을 케넬리-헤비사이드(Kennelly-Heaviside)층이라 불렀다. 전리층의 일반적 특징 약 70~80km 이하 고도의 하층 및 중층 대기는 전기적으로 중성인 원자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