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구름 적란운, 積亂雲
    수직운의 한 종류로 번개와 천둥 소나기를 몰고 다니는 구름.|적란운이라고도 부르며 구름보다 훨씬 크고 위 아래로 두텁다. 밑바닥이 비층구름과 같은 높이(2km)에서 꼭대기는 새털구름과 같은 높이(10km)까지 솟아 거대한 탑 모양을 형성한다. 천둥과 소나기를 몰고 다니는 시끄러운 구름으로 소나기구름 또는 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적란운 쌘비구름, 積亂雲
    수직으로 발달한 웅대하고 짙은 구름. 0∼2㎞ 고도에서 나타나는 하층운 가운데 하나로 연직방향으로 발달한, 큰 산이나 거대한 탑 모양의 구름이다. 적란운의 상층부분은 대개 완만하거나 섬유상 또는 줄무늬이고, 거의 항상 편평하며, 자주 모루 모양이나 거대한 깃털 모양으로 퍼진다. 적란운의 아래 부분은 대개 매...
    유형 :
    하층운, 수직운
    상징 :
    Cb
    형태 :
    무모운, 다모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구름 적운, 積雲
    것은 이 구름을 단순화한 것이다. 고기압권에서 일사에 의한 대류 작용으로 생기는 구름으로 해가 지면 사라지며 다음날 좋은 날씨임을 예측하게 해 준다. 비구름과 달리 비를 뿌리는 구름이 아니지만 아주 적은 비를 내리기도 한다. 구름은 새털구름처럼 고도가 높은 곳에 있는 구름은 흰색이고 엷고, 비층구름처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비행접시 모양의 구름도 있나요?
    기본형은 권운(털구름), 권적운(털구름), 권층운(털층구름), 고적운(높쌘구름), 고층운(높층구름), 난층운(비층구름), 층적운(층구름), 층운(층구름), 적운(구름), 적란운(비구름)이에요. 비행기가 만드는 구름 구름은 대부분 상승하면서 만들어져요.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 부피는 커지면서 기온은 떨어져요...
    분야 :
    지구와 우주
    교과단원 :
    초등 3학년 1학기 〈날씨와 우리 생활〉
  • 높쌘구름 고적운, 高積雲
    고적운이라고도 한다. 구름(적운)이나 비구름(적란운)등 수직운이 변해서 된다. 구름 사이로 파란 하늘이 보이는데, 마치 풀밭 위에서 노는 목장의 양떼처럼 보인다고 해서 양떼구름이라고도 부른다. 대부분 물방울로 되어 있고 간혹 저온인 곳에서 빙정이 섞이는 경우도 있다. 저기압 진행방향의 앞에 서는 구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높층구름 고층운, 高層雲
    털층구름과 유사하지만 고도가 더 낮은 곳에 형성되며 수증기량이 많아 두텁게 보인다. 높층구름 중 엷은 것은 털층구름과 유사해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털층구름(햇무리구름)처럼 햇무리나 달무리 현상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비구름이나 비층구름처럼 많은 양의 비와 눈이 아니라 약한 비와 눈을 뿌리는 구름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적란운 積亂雲, cumulonimbus
    전체적인 특징을 가까운 곳에서 파악하기가 매우 업렵다. 일반적으로 천둥이나 번개, 돌풍을 일으키며, 이러한 현상에 우박이나 폭우, 폭설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적운이 대규모로 발달하는 경우 주로 나타나며, 고층운 또는 난층운의 일부로부터 적란운으로 발달되는 경우도 있다. 우리말로는 비구름이라 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