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높쌘구름 고적운, 高積雲
    중층구름의 한 종류로 양떼처럼 하늘에 퍼져 있는 흰색 또는 엷은 회색의 구름.|고적운이라고도 한다. 쌘구름(적운)이나 쌘비구름(적란운)등 수직운이 변해서 된다. 구름 사이로 파란 하늘이 보이는데, 마치 풀밭 위에서 노는 목장의 양떼처럼 보인다고 해서 양떼구름이라고도 부른다. 대부분 물방울로 되어 있고 간혹...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고적운 높쌘구름, 高積雲
    중층운에 속하는 조각 구름 또는 얇은 구름층. 2∼7㎞ 고도에서 나타나는 중층운 가운데 가장 상부에 형성되는 구름. 흰색이나 회색 또는 흰색과 회색이 섞인 조각구름 또는 얇은 구름층이다. 대개 음영이 있고 층, 둥근 괴, 두루말이 등의 구름들로 구성되어 있다. 부분적으로 섬유 모양이나 흩어진 모양일 때도 있으며...
    유형 :
    중층운
    상징 :
    Ac
    형태 :
    층상운, 렌즈운, 탑상운, 수술상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비행접시 모양의 구름도 있나요?
    구분하고, 떠 있는 높이에 따라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으로 구분해요. 10종의 기본형은 권운(털구름), 권적운(털쌘구름), 권층운(털층구름), 고적운(높쌘구름), 고층운(높층구름), 난층운(비층구름), 층적운(층쌘구름), 층운(층구름), 적운(쌘구름), 적란운(쌘비구름)이에요. 비행기가 만드는 구름 구름은 대부분 상승...
    분야 :
    지구와 우주
    교과단원 :
    초등 3학년 1학기 〈날씨와 우리 생활〉
  • 중층구름 中層雲, middle clouds
    고적운(높쌘구름)과 고층운(높층구름)이 여기에 속한다. 구름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구름 모양을 가지고 분류하는 것과 구름이 발생하는 높이를 가지고 하는 것이 있다. 중층구름은 구름이 발생하는 높이에 따라 상중하로 구분할 때 가운데 그룹에 속하는 구름들이다. 중층구름의 온도는 0℃에서 -25℃까지 분포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층쌘구름 층적운, 層積雲
    길게 퍼져 불규칙하게 층을 이루고 있다. 간혹 둘둘 말린 두루마리 모습으로 층을 지어 나타나는데 그래서 두루마리구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겉모습은 높쌘구름(양떼구름)과 비슷하지만 더 진한 회색이라서 구분하기 쉽다. 구름은 낮은 곳에 있는 하층구름일수록 수증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고 두터워서 색이 진해진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고적운 高積雲, altocumulus
    기본운형 중의 하나로 보통 2,000~6,000m 고도에서 나타나는 중층운에 속한다. 원명은 높은 하늘의 뜻을 가진 'altum'과 적운 'cumulus'로부터 파생되었으며, 높쌘구름 또는 양떼구름이라고도 한다. 엷은 판자나 둥그스름한 덩어리 또는 롤(roll) 모양의 구름조각들이 모여서 된 백색이나 회색의 구름으로 보통 음영을...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고적운 Altocumulus cloud, 高積雲
    고적운(高積雲, 높쌘구름이라고도 한다. 보통 지표면에서 2 ~ 7km 높이에서 나타난다. 구름의 입자는 대부분 작은 물방울로 되어 있으나 기온이 매우 낮을 때에는 일부가 빙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색깔은 흰색이나 회색이며 그림자가 나타나므로 입체감이 있다. 고적운의 엷은 부분에는 햇무리, 달무리 또는...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