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름 고층운, 高層雲
    중층구름의 한 종류로 장막처럼 하늘을 넓게 덮으며 퍼진 구름.|고층운이라고도 부른다. 고도 2~5km에서 나타난다. 회색 또는 진한 회색이다. 구름이 해나 달을 덮기도 하는데 이 엷을 때는 빛이 새어나와 해와 달의 윤곽을 볼 수 있다. 하늘을 덮고 있는 구름의 장막은 회색 또는 진한 회색이 뒤섞여 무늬처럼 보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고층운 높층구름, 高層雲
    중층운에 속하며 회색이나 암색의 얇은 구름층. 회색이나 푸른빛이 도는 줄무늬 섬유와 같이 균일한 모양을 갖는 얇은 구름층이다. 하늘의 전체나 부분을 덮고, 우유빛 유리를 통해 보는 것처럼 희미하게 해를 드러내는 엷은 부분들이 있다. 고층운에서는 무리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2∼7㎞ 고도에서 나타나는 중층...
    유형 :
    중층운
    상징 :
    As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비행접시 모양의 구름도 있나요?
    떠 있는 높이에 따라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으로 구분해요. 10종의 기본형은 권운(털구름), 권적운(털쌘구름), 권층운(털층구름), 고적운(높쌘구름), 고층운(구름), 난층운(비층구름), 층적운(구름), 층운(구름), 적운(쌘구름), 적란운(쌘비구름)이에요. 비행기가 만드는 구름 구름은 대부분 상승하면서...
    분야 :
    지구와 우주
    교과단원 :
    초등 3학년 1학기 〈날씨와 우리 생활〉
  • 중층구름 中層雲, middle clouds
    고적운(높쌘구름)과 고층운(구름)이 여기에 속한다. 구름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구름 모양을 가지고 분류하는 것과 구름이 발생하는 높이를 가지고 하는 것이 있다. 중층구름구름이 발생하는 높이에 따라 상중하로 구분할 때 가운데 그룹에 속하는 구름들이다. 중층구름의 온도는 0℃에서 -25℃까지 분포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구름 Cloud, 雲
    雲)은 2천 ~ 7천 미터 높이에서 형성된다. 이들은 물방울로 구성되며 과냉각된 경우도 있다. 고층운 (Altostratus, As / 층운형) 고층운(高層雲)은 구름·흰색차일구름이라고 한다. 얼룩이 없는 고른 모양을 나타낼 때도 있고, 줄기가 있는 섬유나 털 모양의 조직을 나타내기도 한다. 2,000 ~ 7,000m의 이상의 높이...
    도서 위키백과
  • 고층운 高層雲, altostratus
    m까지 나타나기도 한다. 두꺼운 구름은 상부는 빙정으로, 중간부는 빙정과 과냉각 수적, 하부는 물방울로 되어 있으나, 얇은 구름은 물방울로만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줄무늬를 이룬 베일 모양의 구름으로 옅은 회색 또는 옅은 흑색을 띄며, 하늘 전체를 덮는 경우가 많다. 우리말로는 구름이라 하며, As로 표시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