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층운 層雲, stratus
    수도 있다. 층운은 안개와 같이 겉보기가 일정한 구름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층운은 일반적으로 지표면의 가열이나 풍속의 증가로 인해 안개층이 높은 고도로 서서히 상승하여 발생한다. 어떤 경우에는 해상에서 형성된 안개가 이동하여 육지에 상륙하여 층운으로 되는 경우도 있다. 우리말로는 구름이라 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구름 안개구름, 層雲
    하층구름의 한 종류로 안개와 비슷한 회색의 구름.|고도 2km 미만에서 형성된다. 안개구름이라고도 부르며 구름을 이루고 있어 층운이라고도 부른다. 회색의 구름이 지면 가까이에 떠 있어 안개처럼 보인다. 원래 안개와 구름은 성질이 같으며 형성되는 위치가 지표면이면 안개, 고도가 높은 곳이면 구름이라고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층운 층구름, 層雲
    상승 기류가 약할 때 수평으로 발달하는 구름. 일반적으로 회색의 일정한 운저를 갖는 구름층, 안개비, 빙정주(氷晶柱)나 안개눈(霧雪)현상이 나타난다. 구름을 통해 해를 볼 때 윤곽이 뚜렷이 구분된다. 층운은 매우 낮은 온도를 제외하고는 무리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층운은 띄엄띄엄 떨어져 있는 조각구름의 형태...
    유형 :
    하층운
    상징 :
    St
    형태 :
    무상운, 단편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구름 고층운, 高層雲
    뒤섞여 무늬처럼 보인다. 털층구름과 유사하지만 고도가 더 낮은 곳에 형성되며 수증기량이 많아 두텁게 보인다. 높구름 중 엷은 것은 털층구름과 유사해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털층구름(햇무리구름)처럼 햇무리나 달무리 현상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쌘비구름이나 비층구름처럼 많은 양의 비와 눈이 아니라 약한 비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고층운 높층구름, 高層雲
    2∼7㎞ 고도에서 나타나는 중층운 가운데 고적운 아래에 형성되는 구름. 약자는 'As'이며 '높구름'이라고도 한다. 고층운은 두터운 권층운같이 보인다. 회색이나 푸른빛이 도는 줄무늬 섬유상의 균일한 모양을 갖는 얇은 구름층이다. 하늘의 전체나 부분을 덮고, 우유빛 유리를 통해 보는 것처럼 희미하게 해를...
    유형 :
    중층운
    상징 :
    As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층운 (관련어 층구름) Stratus cloud, 層雲
    층운(層雲)은 하층운으로, 구름 또는 안개와 비슷하여 안개구름이라고도 한다. 층운은 보통 지표면에서 0 ~ 2km 정도의 고도에 나타나는 작은 물방울의 집합체이다. 안개가 공중으로 떠오른 것 같은 낮은 구름으로 여러 조각으로 나뉜 구름 조각이 되는 수도 있어, 구름 사이로 푸른 하늘이 보일 때도 있다. 구름이 아...
    도서 위키백과
  • 층적운 層積雲, stratocumulus
    층적운은 고적운의 구름조각이 커져서 생기거나 고층운이나 난층운의 밑에서 발생하는 경우와 난층운이 변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층적운은 층운이 상승하여 되는 수가 있으며 또 층운의 높이는 변하지 않더라도 대류가 강해진다든지 파동성 기류에 의하여 층적운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다. 우리말로는 구름이라 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구름 층적운, 層積雲
    부른다. 진한 회색의 구름이 길게 퍼져 불규칙하게 을 이루고 있다. 간혹 둘둘 말린 두루마리 모습으로 을 지어 나타나는데 그래서 두루마리구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겉모습은 높쌘구름(양떼구름)과 비슷하지만 더 진한 회색이라서 구분하기 쉽다. 구름은 낮은 곳에 있는 하층구름일수록 수증기를 많이 포함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층적운 층쌘구름, 層積雲
    0∼2㎞ 고도에서 나타나는 하층운 가운데 하나. 약자는 'Sc'이며 '구름'이라고도 한다. 층적운은 비교적 습한 공기가 상승할 때 형성된다. 높은 고도에서는 기압이 낮기 때문에 공기가 위로 상승하면 팽창한다. 상승기류에 의해 형성되고 유지되는 구름은 비의 형태로 지표에 떨어지기 위해서는 물방울의 크기가...
    유형 :
    하층운
    상징 :
    Sc
    형태 :
    층상운, 렌즈운, 탑상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겹층적운 複層積雲, stratocumulus duplicatus
    층적운이 두개이상의 을 가지고 존재하고 있을 때를 말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비행접시 모양의 구름도 있나요?
    유방구름이 만들어지기도 해요. 구름의 기본 모양 1803년 하워드는 구름의 과학적 분류 방법을 제안하였어요. 이에 따르면 층상 구름( 모양), 적운상 구름(더미, 무리), 권운상 구름(섬유, 털)의 3가지로 분류해요. 먼저 모양을 기준으로 10종의 기본형으로 구분하고, 떠 있는 높이에 따라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으로...
    분야 :
    지구와 우주
    교과단원 :
    초등 3학년 1학기 〈날씨와 우리 생활〉
  • 하층구름 下層雲, low clouds
    비층구름(난층운), 구름(층적운), 구름(층운) 등이 속한다. 고도가 낮아 상층구름에 비해 기온이 높은 상태에서 응결이 되기 때문에 빙정이 아닌 작은 물방울로 되어 있다. 또한 하층구름이 형성되는 하층대기가 지면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곳이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불규칙하고 지표면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많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층을 이루고 있는 구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