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천둥소리 (2000년 드라마) ホ・ギュン 朝鮮王朝を揺るがした男《천둥소리》는 2000년 10월 18일부터 2001년 4월 12일까지 방송되었던 KBS 2TV 수목 드라마로 김탁환의 소설 《허균, 최후의 19일》을 원작으로 하여 제작했다. 2001년 3월 30일 종영할 계획이었으나 후속작으로 기획된 명성황후의 명성황후 역 캐스팅 문제를 고려하여 같은 해 4월 12일 막을 내렸다. 한편, 이 작품은...도서 위키백과
-
북인 北人李爾瞻, 1560~1623), 수찬 정여립(鄭汝立, ?~1589), 영의정 정인홍(鄭仁弘, 1535~1623), 공조참의 조목(趙穆, 1524~1606), 최영경(崔永慶, 1529~1590), 참찬 허균(許筠, 1569~1618), 병조판서 홍여순(洪汝諄, 1547~1609). 이들 중에서 박여룡·정여립은 이이(李珥)의 학통을, 유몽인은 성혼(成渾)의 학통을, 이발은 민순...
- 시대 :
- 조선
- 성격 :
- 정치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왕실의 광대가 되기를 거부한, 최북 崔北일어나더니 크게 소리를 질렀다. 그 소리가 숲 속 나무들 사이로 울려 퍼져, 보금자리를 찾던 새들이 모두 짹짹거리며 날아가 버렸다. 무오년(1618년)에 허균이 북경에 갔더니, 한 성관(星官)이 “청구(靑丘) 방면에서 규성(奎星)이 빛을 잃었는데, 당대의 한 문장대가가 죽은 것이다.” 했다. 허균은 자기가 죽어서...
- 출생 :
- 1712년
- 사망 :
- 1786년
-
사명당대사집 사명당집(四溟堂集), 泗溟堂大師集주관하였다. 서지 사항 『사명당대사집』은 7권 1책(2책)의 목판본이다. 『사명당집(四溟堂集)』이라고도 한다. 혜구가 편찬한 최초의 목판본에는 1612년에 허균(許筠)이 쓴 「석장비명병서(石藏碑銘並序)」와 의승장 뇌묵 처영(雷默處英)이 쓴 발문이 들어 있다. 한편 성일이 간행한 중간본에는 1640년 중관 해안(中觀...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석주집 石洲集삭제되어 전하지 않는다. 권필의 시문에는 다른 사람과 증답(贈答)한 작품이나, 다른 사람과 함께 수창(酬唱)한 작품이 많다. 의의와 평가 권필의 시는 허균(許筠)을 비롯하여 김만중(金萬重) · 양경우(梁慶遇) · 남용익(南龍翼) · 홍만종(洪萬宗) 등 조선의 여러 문인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남용익은 그의 『호곡...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문학/한문학
-
수박 서과, watermelon에는 수박이 '서과'란 이름으로 수재되어 있다. 갈증을 없애주고 황달 치료에 효능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에 수박이 도입된 것은 허균이 지은 조선시대의 음식 품평서 『도문대작(屠門大嚼)』에서 고려를 배신하고 몽고에 귀화하여 고려인을 괴롭힌 홍다구(洪茶丘)가 처음으로 개성에 수박을...
- 분류 :
- 박과(Cucurbitaceae)
- 원산지 :
- 남아프리카 열대, 아열대의 건조한 초원지대
- 학명 :
- Citrullus lanatus (Thunberg) Matsumura & Nakai이명 : Citrullus vulgaris, Citrullus battich
- 활용부위 :
- 식용 : 열매약용 : 열매껍질, 씨
- 외국어명 :
- cocomero〈이탈리아어〉, scandia〈스페인어〉, pakwan〈필리핀어〉, buah susu〈인도네시아어〉, buah susu〈말레이어〉, スイカ(스이카)〈일본어〉
-
시화 詩話송시풍을 강조하였다. 조선 중기의 시화 조선 중기에는 삼당시인(三唐詩人) 등의 출현으로 당시풍이 진작(振作)되고 있었다. 이 시기 대표적인 시화로 허균(許筠)의 『성수시화(惺叟詩話)』, 양경우(梁慶遇)의 『제호시화(霽湖詩話)』, 이수광(李睟光)의 『지봉유설(芝峰類說)』, 신흠의 『청창연담(晴窓軟談)』, 유몽인...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한문학
-
-
-
비빔밥에 없어서는 안 되는 재료는?떡가루 또는 되게 쑨 죽을 버무리고 고춧가루와 소금을 섞어서 만든 장"이라고 설명해놓았습니다. 고추장에 관한 가장 이른 기록은 1611년(광해군 3년) 허균이 쓴 《도문대작(屠門大嚼)》에 나오는 '초시(매운 메주)'를 들 수 있습니다. 고추장에 대한 다른 문헌으로는 조선 숙종 때 실학자 홍만선이 쓴 《산림경제(山林...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