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드라마에 몰아친 자율 정화 바람전두환 정권은 방송의 사회적 영향력을 고려해 박정희 정권 말기에 느슨해진 방송 심의도 대폭 강화하고 나섰다. 방윤이 1980년 8월 29일 발표한 이른바 TV 프로그램 정화 시행에 따른 세부 지침은 이후 방송 심의의 기준이 되었다. 『동아일보』 1980년 8월 30일자 기사는 "이 지침에 따르면 퇴폐적이고 저속한 방송...
-
방송선전협의회 放送宣傳協議會내용 총독부 사회교육과의 주동과 주선으로 창설되었다. 조선어 방송강좌를 통해서 대중의 일본적 교화 계몽의 실현을 도모하였으며, 수양강좌·부인강좌·상식강좌의 3부문으로 나뉘어 실행되었다. 각 부문의 강사는 총독부가 위촉하였으며, 이들 강사진과 총독부 관계관, 방송국의 3자 협의로 방송을 통한 교화 계몽...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37년
- 성격 :
- 친일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목록 List of progra..다음은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방송된 순서로 나열 및 정리한 것이다.ㄱㄴㄷ 찾기 1997년) 2011년 11월 12일 ~ 2012년 5월 26일, 2016년 7월 23일 ~ 2016년 12월 31일) 시즌 2: 2013년 8월 23일 ~ 2014년 1월 11일, 시즌 3: 2014년 7월 19일 ~ 2015년 2월 17일, 시즌 4: 2015년 7월 19일 ~ 2015년 10...도서 위키백과
-
조선교육문화텔레비젼방송 朝鮮敎育文化television放送내용 조선교육문화텔레비젼방송은 평양시 모란봉구역에 위치한 조선중앙방송위원회가 운영하고 있다. 이 방송의 전신은 1971년 4월 15일 시작한 개성텔레비젼방송으로 1997년 2월 16일부터 현재의 조선교육문화텔레비젼방송으로 개편되었다. 조선교육문화텔레비젼방송은 일반사람들이 알고 있어야 하는 상식을 비롯해...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언론·출판/방송
-
원산방송 元山放送내용 강원도 방송위원회가 강원도민을 위해 방송하는 지방 라디오 방송이다. 1946년 1월 1일 첫 전파를 송신했으며, 김일성의 신년사 ‘신년을 맞이하면서 전국 인민에게 고함’으로 첫 방송으로 내보냈다. 이 방송을 통해 북한의 지도자들은 강원도의 당원들과 근로자들을 영생불멸의 주체사상으로 무장시키고 지역...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언론·출판/방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남산 서울애니메이션센터 대한민국 방송 현대화의 출발점난다. 특히 유명 가수나 배우, 탤런트에 얽힌 비화는 호기심을 자극한다. 리라초등학교와 숭의여자대학교 언덕배기에서 옛 방송국 자리를 보며 한국방송 80여 년의 역사를 되짚어본다. 방송(Broadcast)이라는 말이 처음 사용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때다. 해군에서 각 함정 앞으로 동일한 전보를 개별적으로 불러내지...
- 건립시기 :
- 1957년 준공
- 면적 :
- 4,235㎡
- 소재지 :
- 서울특별시 중구 소파로 126
-
화면해설방송작가수행직무 DVS(Descriptive Video Service:시각장애인을 위한 각종 영상물의 정보접근성 보장수단으로 소리 없이 화면으로만 진행되는 부분(배경, 행동, 표정, 자막, 그래픽 등)을 시각적으로 설명하여 시각장애인이 비시각장애인과 동등하게 영상물을 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화면해설에...
- 교육수준 :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 숙련기간 :
- 1년 초과 ~ 2년 이하
- 작업강도 :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육체활동 :
- 청각, 손사용, 언어력, 시각
- 직무기능(자료) :
- 분석
- 직무기능(사람) :
- 말하기-신호
- 직무기능(사물) :
- 제어조작
- 고용직업분류 :
- [4111]작가
- 표준직업분류 :
- [2811]작가
- 표준산업분류 :
- [J591]영화, 비디오물,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
- 조사연도 :
- 2012년
-
한국방송공사의 아나운서 목록이 목록은 한국방송공사(KBS)에서 아나운서를 정리한 것이다. 과거 편성운영본부 → 예전 편성본부 → 현재 편성센터 아나운서실 부서이다. 연도 기수 남성 여성 1991년 (18기) 임수민(성평등센터장), 정용실(수신료국), 태의경, 성기영 1993년 (19기) 성세정 김성은(시청자센터장) 1994년 (20기) 이형걸, 최승돈(수신료...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