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박제행 朴齊行, Park Je-haeng
    함께 출연하는 공통점을 노출하고 있다. 이후 박제행은 〈갈대꽃〉(1931), 〈살수차〉(1935), 〈바다여 말하라〉(1935), 그리고 〈춘향전〉(1935) 등에 출연하였다. 이중에서 〈춘향전〉은 경성촬영소에서 제작한 최초의 발성영화로, 박제행은 ‘구관사또’(‘변학도’로 추정)로 출연하였다. 박제행은 경성촬영소의...
    출생 :
    1900년
    데뷔 :
    〈나의 친구여〉(1928)
  • 남원시립국악단 남원시립국악관현악단, 南原市立國樂團
    공연, 창극 공연, 국악교육사업 등이 있다. 특히 남원시립국악단은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한 창극 공연에 주력하고 있는데, 창극 「흥부전」ㆍ「춘향전」, 창무극 「춘향전」, 창작 창극 「만복사저포기」ㆍ「남원뎐」ㆍ「남원골이야기」ㆍ「춘향 네 개의 꿈」ㆍ「여류명창 이화중선」, 국악뮤지컬 「시집가는 날...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조선문학연구논문집 朝鮮文學硏究論文集
    논문이 중국어로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고전과 현대의 시와 소설, 고전문학사 등 다양하며, 연구 대상은 최치원, 박지원, 김삿갓 등의 고전 작가와 〈춘향전〉, 〈심청전〉 등의 고전소설, 그리고 강경애, 나도향, 샤오훙[蕭紅] 같은 근현대 작가들까지 다루고 있다. 논문집에 실린 논문 제목은 다음과 같다. (1) 조선...
    시대 :
    현대
    저작자 :
    허전화[何鎭華]
    창작/발표시기 :
    1992년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1책
    간행/발행 :
    베이징 중국광파전시출판사(中國廣播電視出版社)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이규환 성파, 李圭煥
    작품 활동을 재개하였고, 1947년 〈민족의 새벽〉과 〈그들의 행복〉, 1948년 〈갈매기〉, 1949년 〈돌아온 어머니〉 등을 연출하였다. 그러다가 1955년 〈춘향전〉을 연출하여 개봉하였다. 이 작품의 성공으로 인해, 한국 영화는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다. 1956년에는 〈심청전〉을 개봉하였고, 그 이후 〈청춘비가...
    출생 :
    1904년 대구
    사망 :
    1982년
    데뷔 :
    1931년 9월 〈임자 없는 나룻배〉(시나리오, 감독)
  • 굿 · 탈춤이 된 고소설
    소개하는 말이다. ‘원님놀이’는 지역에 따라 ‘원님놀이굿’, ‘고딕놀이굿’ 등으로 불리는데 이곳에 ‘춘향’이라는 명칭이 보인다. 굿이 된 고소설은 〈춘향전〉 외에도 〈심청전〉, 〈흥부전〉과 군담 소설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 무신이 270여 종인 점으로 미루어 이 정도라면 고소설의 기여가 적지 않다...
  • 이구영 李龜永, LEE Gu-yeong
    왕평, 아랑의 배우였던 양백명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은 이후 연극영화계뿐만 아니라, 대중문화계의 동량으로 성장하게 된다. 당시 단성사는 조선극장의 〈춘향전〉(하와가야 감독)에 대항하기 위해 〈장화홍련전〉을 제작한 직후였는데, 〈장화홍련전〉의 촬영을 맡았던 이필우를 조선배우학교로 보내 후속 작업으로...
    출생 :
    1901년 경성 회현동
    사망 :
    1973년
    데뷔 :
    1925년 <쌍옥루>
  • 맹만식 孟晩植, MAENG Man-sik
    노인’ 역할을 맡아 연기했다. 한노인 역할 역시 노역으로 그가 가장 일관성 있게 수행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1961년에는 홍성기 프로덕션에서 제작한 〈춘향전〉에 출연한 바 있다. 영화사적 평가 그의 연기는 크게 두드러진 평가를 받기보다는, 묵묵히 다른 주연들을 보조하는 연기로 인식되곤 했다. 일제강점기...
    출생 :
    1908년
    데뷔 :
    1957년 <아리랑>
  • 광한루기 수산광한루기, 廣寒樓記
    설명과 느낌이, 본문 사이에는 비평이 들어 있다. 홍건적의 난이 일어난 고려 공민왕 때를 시간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등장인물의 경우, 월매와 춘향은 〈춘향전〉에서와 같은 이름이지만, 이몽룡은 도린 또는 화경으로, 방자는 금한 또는 김한으로 되어 있고 향단은 보이지 않는다. 국문으로 된 〈춘향전〉에는 미치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석금성 석정희, 石金星
    개봉한 안석영의 <심청(전)>을 들 수 있다. 해방 이후에도 그녀의 영화 출연은 이어졌다. 1955년 조미령(성춘향)과 이민(이몽룡) 주연, 이규환 감독의 <춘향전>이 만들어졌는데, 석금성은 월매 역으로 출연했다. 이병일의 <시집가는 날>에서는 맹진사의 처로 출연하여 제꾀에 넘어가는 해학적 인물을 그려냈다. 이후...
    출생 :
    1909년
    사망 :
    1995년 9월 30일
    데뷔 :
    1929년 <약혼>
  • 김신재 金信哉, KINM Sin-jae
    기록에 따라서는 그녀의 고향이 황해도 의주라는 설도 있다. 김신재는 여학교를 중퇴하고 일하던 직장에서 만난 최인규와 결혼했다. 당시 최인규는 〈춘향전〉의 전 조선 배급권을 확보한 고려영화사의 일을 맡아, 작품을 배급하는 일을 하고 있었다. 당시 최인규는 〈춘향전〉의 전 조선 배급권을 확보한 고려영화사의...
    출생 :
    1919년 만주의 안동
    사망 :
    1999년
    데뷔 :
    1937년 <심청전>
  • 김동욱 나손(羅孫), 金東旭
    넓은 시야에서 분류하고 있는 것도 특이하다. 가요의 작자와 연대의 고증, 실전(失傳)하거나 알려지지 않은 작품의 발굴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춘향전」에 대한 일련의 연구들은 ‘춘향전학(春香傳學)’을 정립할 만큼 연구사적 의미가 있는 방대한 업적들이다. 고전 소설의 서지학과 소설 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문학/고전산문
  • 남원시의 교육·문화·의료·복지
    2017년 기준 유치원 28개소, 초등학교 27개교, 중학교 14개교, 고등학교 9개교가 있다. 남원시가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판소리와 창극으로 만들어진 〈춘향전〉때문이다. 남원 주민들은 1931년부터 이몽룡과 성춘향이 만났던 단오에 춘향제를 올렸으나, 그 시기가 농번기에 해당해 최근에는 춘향의 생일이라고 알려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북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2건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 김자경오페라단
춘향전 / 김자경오페라단
춘향전 / 김자경오페라단
춘향전 / 김자경오페라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