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원시립국악단 남원시립국악관현악단, 南原市立國樂團공연, 창극 공연, 국악교육사업 등이 있다. 특히 남원시립국악단은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한 창극 공연에 주력하고 있는데, 창극 「흥부전」ㆍ「춘향전」, 창무극 「춘향전」, 창작 창극 「만복사저포기」ㆍ「남원뎐」ㆍ「남원골이야기」ㆍ「춘향 네 개의 꿈」ㆍ「여류명창 이화중선」, 국악뮤지컬 「시집가는 날...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조선문학연구논문집 朝鮮文學硏究論文集논문이 중국어로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고전과 현대의 시와 소설, 고전문학사 등 다양하며, 연구 대상은 최치원, 박지원, 김삿갓 등의 고전 작가와 〈춘향전〉, 〈심청전〉 등의 고전소설, 그리고 강경애, 나도향, 샤오훙[蕭紅] 같은 근현대 작가들까지 다루고 있다. 논문집에 실린 논문 제목은 다음과 같다. (1) 조선...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허전화[何鎭華]
- 창작/발표시기 :
- 1992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1책
- 간행/발행 :
- 베이징 중국광파전시출판사(中國廣播電視出版社)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굿 · 탈춤이 된 고소설소개하는 말이다. ‘원님놀이’는 지역에 따라 ‘원님놀이굿’, ‘고딕놀이굿’ 등으로 불리는데 이곳에 ‘춘향’이라는 명칭이 보인다. 굿이 된 고소설은 〈춘향전〉 외에도 〈심청전〉, 〈흥부전〉과 군담 소설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 무신이 270여 종인 점으로 미루어 이 정도라면 고소설의 기여가 적지 않다...
-
-
-
김동욱 나손(羅孫), 金東旭넓은 시야에서 분류하고 있는 것도 특이하다. 가요의 작자와 연대의 고증, 실전(失傳)하거나 알려지지 않은 작품의 발굴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춘향전」에 대한 일련의 연구들은 ‘춘향전학(春香傳學)’을 정립할 만큼 연구사적 의미가 있는 방대한 업적들이다. 고전 소설의 서지학과 소설 사회학적인 측면에서...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남원시의 교육·문화·의료·복지2017년 기준 유치원 28개소, 초등학교 27개교, 중학교 14개교, 고등학교 9개교가 있다. 남원시가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판소리와 창극으로 만들어진 〈춘향전〉때문이다. 남원 주민들은 1931년부터 이몽룡과 성춘향이 만났던 단오에 춘향제를 올렸으나, 그 시기가 농번기에 해당해 최근에는 춘향의 생일이라고 알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