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남원시의 교육·문화·의료·복지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남원시의 교육기관, 문화시설, 의료시설, 복지시설 현황.

전통 교육기관으로는 남원향교·운봉향교가 있으며, 이밖에 용장서원·창주서원(이미지洲書院) 등의 서원과 유천사(楡川寺)·구천사(龜川寺) 등이 주요교육을 담당했다. 그중 남원향교는 구한말까지 중등교육기관으로서 이 고장 국립 최고학부의 역할을 해왔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1907년에 남원공립보통학교(지금의 용성초등학교)가 처음으로 설립되었으며, 1910년 일본인들에 의해 남원심상소학교(지금의 남원초등학교)가 세워졌다.

이후에 이백보통학교, 사립 만성학교 등도 설립되었다. 2017년 기준 유치원 28개소, 초등학교 27개교, 중학교 14개교, 고등학교 9개교가 있다.

남원시가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판소리와 창극으로 만들어진 〈춘향전〉때문이다. 남원 주민들은 1931년부터 이몽룡과 성춘향이 만났던 단오에 춘향제를 올렸으나, 그 시기가 농번기에 해당해 최근에는 춘향의 생일이라고 알려진 사월초파일에 제를 올린다. 그래서 사월초파일이 되면 남원시는 전국에서 유람객이 몰려들고 그네뛰기·씨름·춘향이뽑기·농악대회·남원명창대회 등 갖가지 행사들이 벌어진다.

국악의 본고장인 남원은 송흥록(宋興錄)·박초월(朴初月)·강도근(姜道根) 등 숱한 명창들을 배출했으며, 시립국악원은 국립민속국악원으로 승격되었다. 또한 남원문화원에서는 지역 사회교육사업과 애향운동사업으로 문화재 및 유적지 답사를 실시하며, 이밖에 고유 민속예술의 발굴·전승에 힘쓰고 있다.

이 고장 사람들은 봄이 오면 용담이나 유림에 모여 향음과 사례를 행하는 풍속이 있다. 민속놀이로는 줄다리기와 보절면 괴양리 뒤 계룡산 밑에서 음력 7월 15일(白仲)에 행하는 삼동(三童)굿놀이가 대표적이다. 또한 삼국시대부터 전해오는 놀이로서 음력 정초에 남북이 편을 갈라 용을 만들어서 싸우는 용마놀이가 유명하다.

특히 춘향제 행사 가운데 하나로 용마를 만들어 시가행진을 한다.

설화로는 춘향전과 관련된 근원설화 외에 〈호성암전설〉·〈바람바위전설〉·〈귀정사의 삼일왕정전설〉등 지명·자연물·사찰에 얽힌 내용이 많이 전한다. 민요는 〈모심기노래〉·〈논매기노래〉 등의 노동요와, 〈액막이노래〉·〈지네밟기노래〉·〈상여노래〉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도서관으로는 남원시 공공도서관이 있다.

2016년 기준 의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 1개소, 병원 1개소, 의원 58개소, 특수병원 1개소, 요양병원 4개소, 치과병원 21개소, 한의원 22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40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은 노인여가복지시설 493개소, 노인주거복지시설 1개소, 노인의료복지시설 13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 11개소, 여성복지시설 1개소, 장애인복지생활시설 2개소, 어린이집 66개소가 있다.

춘향제

남원 춘향제 현장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전라북도

전라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남원시의 교육·문화·의료·복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