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권설직 權設職
    외국으로 보내는 사절인 서사(書使)·부사·서장관(書狀官) 또는 종사관 등과 국내 각 지방에 특수한 목적으로 파견하는 어사도 권설직으로서 여러 가지 임무가 주어졌으며, 조선 후기부터 제도화된 암행어사도 이것의 하나이다. 이 밖에 경차관(敬差官)·차사원(差使員) 등도 역시 지방에 파견되는 권설직이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이중노동시장
    높은 임금, 양호한 노동 조건 외에도 비교적 혜택받은 승진 기회, 업무상 규칙의 정비, 고용안정과 같은 것들이 특징이다. 이와 달리 제2차 시장에서는 대체적으로 임금이나 노동조건이 열악하며 승진 기회도 적고, 노사관계는 제도화되어 있지 않은 데다 자의적이고 상대적으로 실업률도 높아서 노동력의 이동현상도 크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전호 佃戶
    1/3이나 1/4로 경감되는 수도 있었으며, 반대로 가혹한 지주의 수탈이 있을 경우에는 반타작보다 많아지기도 했다. 또한 국유지의 지주경영에서는 1/4로 제도화한 경우도 있었다. 전호는 자신이 경작하는 토지에서는 독립된 주체였지만, 토지를 경작하기 위해서는 농장주로부터 생산수단 및 노동수단의 일부(농우·농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북스테후데 Dietrich Buxtehude
    대조를 이룬다. 그의 성악곡 중 일부는 크리스마스 5주 전 일요일마다 늦은 오후에 성마리아 교회에서 열린 성악·기악 연주회인 유명한 '아벤트무지크'를 위해 작곡한 것이었다. 이 연주는 1673년 북스테후데가 이전부터 내려오던 관습을 처음으로 제도화한 것으로 뤼베크의 자랑거리가 되었고 19세기까지 계속...
    출생 :
    1637
    사망 :
    1707. 3. 9, 뤼베크
    국적 :
    덴마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부브노프 Andrey Sergeyevich Bubnov
    스탈린 지지자가 되었다. 1929~37년 교육부 인민대표위원으로 재직하면서 소련에서의 진취적이고 실험적인 교육과정을 마무리지었다. 그는 의무보통교육을 제도화하려고 힘썼으며 실용적인 산업기술을 습득하여 훈련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교육체계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1930년대 후반 대숙청 때 체포되어 교수형...
    출생 :
    1883. 4. 4(구력 3. 23), 러시아 이바노보보즈네센스크
    사망 :
    1940. 1. 2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암행어사의 기원
    어사의 불시 파견이나 암행감찰이 용인되기 시작했다. 16세기에 들어 지방수령과 무장의 자질이 떨어지고 이들의 비리문제가 계속 커지자 마침내 암행어사가 제도화되었다. 암행어사라는 명칭은 1509년(중종 4) 11월 기록에 처음 나타나는데, 성종 말기에서 이 사이에 공식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점차 제도로 자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여수·순천 10·19사건 여수·순천사건, 麗水順天十一九事件
    1만 여 명으로 밝혀졌다. 이승만 정부는 이 사건을 계기로 각계각층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국가보안법 제정, 정치적 반대세력에 대한 무제한적인 탄압을 제도화시켰다. 또한 대대적인 숙군을 단행, 좌익계와 광복군계를 포함한 모든 반이승만 성향의 군인을 제거해 강력한 반공국가를 구축하게 되었으며, 미국은 이 사건...
  • 헌병경찰제 憲兵警察制
    행정경찰·사법경찰까지 장악했다. 1910년 6월에는 일제가 한국 경찰권을 탈취하는 동시에 헌병병력을 경찰병력과 기구상 통합시킴으로써 헌병경찰제를 제도화시키기에 이르렀다. 이로써 치안조직이 통일되어 주차헌병사령관이 통감부 경무총감에, 헌병분대장이 도경찰부장에 위임되었다. 헌병경찰은 조선총독부에 계승...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인디그나도스 운동 15M 운동, Indignados movement
    이어 의석수 3위를 차지하면서 스페인 정치에 새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포데모스를 운영하는 중요한 원칙은 군중의 힘을 정치적 권력에 이를 수 있도록 제도화하며, 수평적 연대와 상향식 의사결정이 가능한 혁신적 정치방식을 창출하는 것이었다. 포데모스는 광장에서 실현된 토론 문화를 온라인과 연결해 정당의 중요...
  • 학사승지 學士承旨
    중국 송나라의 한림원에는 학사승지가 거의 없었으나, 고려에서는 제도화되어 한림학사와 함께 왕의 행행 때 호종하고 왕의 명령을 작성하는 일을 맡아보았다. 정원은 1명이었다. 문종(1047~83 재위)대 이전에 송의 한림학사원(翰林學士院) 제도를 본떠 한림원을 두면서 설치되었다. 학사승지는 문종관제에 의하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관직
  • 노르다우 Max Nordau
    Lügen der Kulturmenschheit〉을 내놓아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작품은 19세기의 제도가 인간의 필요에 얼마나 맞지 않는가를 신랄하게 공격한 것으로 특히 제도화된 종교를 가차없이 비판했다. 이 책은 러시아와 오스트리아에서 금서가 되었으나 많은 언어로 번역, 약 73판까지 출판되었다. 노르다우는 1892년 파리...
    출생 :
    1849. 7. 29, 부다페스트
    사망 :
    1923. 1. 23, 파리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민주자유당 民主自由黨
    구현, ② 복지경제 실현, ③ 법질서 존중, ④ 기회 균등 등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수호한다는 기조 위에서 '의회와 내각이 함께 책임지는 의회민주주의'를 제도화하려는 출범 당시의 정치적 목적을 분명히 한 선언이었다. 한편 창당선언문에서 "……민주·번영·통일의 새로운 민족사를 위한 중추적 일꾼이 될 것을 다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