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최익현 조선 후기의 문신
    일어나고 갑오개혁이 단행되자 〈청토역복의제소 請討逆復衣制疏〉를 올려 친일 개화파정권을 적으로 규정하면서 개화정책의 전반적 폐지를 요구했으며, 박영효(朴泳孝)·서광범(徐光範) 등 개화파의 처단과 역적들을 비호하는 일본에 대한 문죄를 요구했다. 1895년 8월 민비학살사건이 일어나고, 11월에 단발령(斷髮令...
    출생 :
    1833(순조 33). 12. 5, 경기 포천
    사망 :
    1907. 1. 1
    국적 :
    한말, 한국
    본관 :
    경주(慶州)
    호 :
    면암(勉菴)
    자녀 :
    장남 : 최영조(崔永朝), 차남 : 최영학(崔永學), 삼남 : 최영복(崔永福)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안국동 윤보선가 안국동 공덕귀가, 安國洞 尹潽善家
    개설 2002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고종은 19세기 말경에 건립된 이 집을 사서 일본에서 망명생활을 청산하고 돌아온 박영효(朴泳孝)에게 하사하였다. 박영효는 철종의 후궁인 숙의 범씨의 소생 영혜옹주(永惠翁主)와 혼인한 철종의 부마(駙馬)였다. 이 집은 그 후 주인이 바뀌었다가 전 대통령 윤보선의 선친인 윤치소...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유적
    분야 :
    생활/주생활
  • 박원양
    1884년 12월 17일(1884년 음력 11월 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박영교, 개화파의 핵심인물이자 갑신정변의 주동자인 박영효 형제의 아버지이며 박제당의 아들이다. 관직에 나가지 않고 학문을 연마하다가 뒤늦게 음서로 관직에 나가 현감, 도사 등을 지냈으며, 흥덕현감 근무 중에는...
    도서 위키백과
  • 이기 李沂
    건너가 일본의 침략을 호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의 정계요인들에게 한국의 보호국화를 취소하라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이때 망명중인 박영효를 비롯해 일본의 대륙낭인계와 접촉하여 단발을 하고 신학문교육과 식산흥업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한편, 일본의 발전에 감명을 받았다. 귀국 후 한성사범...
    출생 :
    1848(헌종 14), 전북 김제
    사망 :
    1909(융희 3)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급진 개화파 개화당
    조선 후기 선진문물의 도입을 통해 정치 개혁을 이루려 했던 정치 세력인 개화파의 한 부류이다.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등의 급진 개화파는 서양의 과학기술뿐만 아니라 근대적인 사상·제도까지 수용해야 하고 민씨 일파와는 타협이 아니라 타도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때문에 이들은 개혁의 중요한 문제로 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민영소 순약, 閔泳韶
    1902년 궁내부대신, 1904년에는 농상공부대신·중추원의장을 역임했다. 병조판서로 있을 때 왕의 밀지를 받아 이일직에게 일본에 망명중인 김옥균·박영효 등의 암살을 지시했으나 실패했다. 그뒤 홍종우를 상하이[上海]에 밀파시켜 김옥균을 암살하게 했다. 1910년 한일합병 뒤 일본정부로부터 자작작위를 받았다...
    출생 :
    1852(철종 3)
    사망 :
    1917
    국적 :
    한말, 한국
  • 홍종우 성숙, 洪鍾宇
    키메 박물관에서 일하면서 〈춘향전〉 등 한국의 고전을 번역했다. 1893년 7월 귀국하던 길에 도쿄[東京]에 머물면서 민씨정권으로부터 김옥균(金玉均)·박영효 등을 암살하라는 밀명을 받고 파견된 이일직(李逸稙)과 만나 김옥균을 암살하는 일에 가담할 것을 권유받았으며, 이 제의를 받아들여 동지로 가장하여 김옥균...
    출생 :
    1854(철종 5)
    사망 :
    미상
    국적 :
    조선, 한국
  • 독립협회의 창립 배경
    1884년 12월 4일 김옥균·홍영식·박영효·서광범·서재필 등 젊은 양반 계급 지식인들인 개화파는 국민 주권 국가 건설을 지향한 갑신정변을 일으켰다. 민중의 지지를 받지 못한 갑신정변은 외세의 개입으로 실패하였다. 개화파는 청군에게 살해당하거나 일본으로 망명하게 되었다. 1895년 12월 미국에 망명 중이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갑신정변의 배경
    실학의 북학 사상을 계승한 개화파는 김옥균·홍영식·박영효·서광범·서재필 등 젊은 양반계급 지식인들을 핵심으로 하나의 정치 세력을 형성해 가며 정부의 개화 정책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임오군란을 계기로 민씨 정권의 친청 수구 정책은 날로 횡포를 더해갔고, 청은 군대를 주둔시키며 조선의 식민지 지배를 획책...
  • 박문국 博文局
    민영목·김만식(金晩植) 등을당상관, 김인식(金寅植)을 주사, 일본인 이노우에 가쿠고오로[井上角五郞]를 고문으로 하여, 그동안 한성부 심문국에서 박영효(朴泳孝)·유길준 등에 의해 준비되어오던 근대신문의 창간작업을 맡게 되었다. 그리하여 같은 해 10월 30일 한국 최초의 근대신문인 〈한성순보〉를 창간하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갑신정변 발발
    10월 17일, 김옥균 ・ 박영효 ・ 서재필 ・ 서광범 ・ 홍영식 등이 갑신정변을 일으켰다. 이들은 일본과 손잡고, 우정국 낙성식 축하연장에 불을 지른 것을 신호로 민씨 정권의 주요 인물들을 살해했다. 김옥균 등은 고종과 명성황후의 신변을 확보한 후 새 정부 수립을 선포하고 14개조 정강을 발표했다. 정강에는 문벌...
    시대 :
    1884년 10월 17일
    국가/대륙 :
    한국
  • 박찬주 (교육인) Park Chan-ju
    박찬주(朴贊珠, 1914년 12월 11일 ~ 1995년 7월 13일)는 대한제국의 황족이다. 대한제국의 개화파 정치가였던 박영효의 서손녀이며,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인 이준용의 양자 이우의 부인으로 운현궁의 종부(宗婦)였다. 중앙여자고등학교의 설립자이자 사립학교인 추계학원의 초대 재단 이사장을 역임했다. 본관은 반남이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8건

박영효
박영효
박영효
박영효
박영효
박영효
박영효
박영효
박영효의 글씨
박영효의 가옥
서울 관훈동 민씨 가옥 전경
갑신정변의 주역들의 사진
최초의 태극기 원형
일본 망명생활
박영효(朴泳孝)
부마도위 박영효 가옥 사랑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