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잔틴건축, 포스트 콘스탄티누스 교회 ・ 기독교 건축의 전파건축은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동방정교가 형성되는 과정과 궤를 같이하며 지역의 전통 건축과 합해져서 비잔틴건축으로 이어진다. 대체적인 경향은 바실리카 교회를 표준 양식으로 삼아 제식을 중요하게 여긴 지역 전통 및 동방정교에 맞춰 복잡하게 분화되어갔으며 이 과정에서 이 지역의 중앙집중형 건축 전통이...
-
에페스 유적 터키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고대 유적 터, Efes하는 시설들 사이에 있었다. 당시에는 시 낭송이나 음악회 등 소규모 공연과 대표자 회의가 치러지기도 했고, 정치적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바실리카(Basilica) 지금은 거의 터만 남아 있는 바실리카는 시공회당에서 바리우스 욕장까지 이어지는 165m의 길이다. 건물은 아우구스투스 황제 때 건립된 것이다...
- 위치 :
- 셀축 시가에서 버스 10분
- 가격 :
- 30TL / 고급 주택 터는 별도로 15TL
- 이용 시간 :
- 매일 08:00~19:00 / 겨울철: ~17:00
-
-
비잔틴건축, 4세기 밀라노와 산로렌초이들 교회는 다양한 평면 구성과 튼실한 시공 상태를 보여주면서 당시 밀라노의 기독교가 사회에 깊이 뿌리내리며 활성화되었음을 증명하고 있다(도 3-37). 바실리카 교회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중앙집 중형 평면을 실험했으며 바실리카 교회를 사용할 경우에도 여러 방향으로 변형, 응용했다. 가장 대표적인 교회는...
-
로마 건축, 트라야누스와 공공 건축점에서 또 다른 중요성을 갖는다. 트라야누스의 포럼에서는 공공시설을 전문화한 뒤 기념비적 처리를 더했다. 시설을 신전, 바실리카, 도서관만으로 한정해서 문화적 집중도를 높였다. 바실리카는 시민들의 상거래와 소규모 집회 등을 위한 종합시민센터로서 로마 건축에서 공공성을 대표하는 시설이기 때문에 들어가는...
-
바로크건축, 비뇰라와 로마 스쿨없었고 종교개혁 이후 신교의 영향으로 유행한 중앙집중형에서 탈피해서 로마 기독교의 원형으로 돌아간 것이 핵심이었다(도 7-1). 트랜셉트 없는 3랑식 바실리카로 전체 구성을 짰다. 알베르티의 성 안드레아가 가까운 선례지만 알베르티가 선형 구성을 약화시킨 것과 달리 비뇰라는 바실리카 원형을 지키며 세 개의...
-
서양의 스테인드 글라스충분히 살펴보기가 어렵다. 그러나 라틴 교회의 교부들, 즉 락탄티우스, 프르덴티우스, 성 히에로니무스의 기록에 의하면 초기 그리스도교의 바실리카 색유리창에 대해 언급되어 있으며 5세기의 시인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는 프랑스 리옹의 색유리창에 대해 묘사하고 있다. 또한 교황 레오 3세(795~816 재위)는 로마...
-
로마네스크 건축, 석조 천장의 등장로마네스크 건축의 표준 구성이 된다. 새로운 실험은 부르고뉴에서 먼저 시작했다. 초기 기독교 건축이 전파된 이래 이 지역에서는 평면은 홀 교회와 바실리카 교회를, 구조는 목조 평천장을 각각 오랫동안 사용해왔다. 10세기에 접어들면서 이것으로 부족해진다. 클뤼니가 수도원 부흥 운동의 중심지가 되고 동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