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망고스틴 mangosteen, mangostanier〈프랑스어〉
    껍질을 가지고 있으며 약간 납작한 공 모양으로, 탁구공보다 조금 크다. 칼로 열매 가운데를 약간 파서 한 바퀴 돌려 베어내면 껍질을 열 수 있다. 또는 꼭지를 따고 껍질 아래쪽을 손으로 눌러 벗겨내도 흰색의 보드라운 속살이 나온다. 손으로 눌러서 딱딱함이 없고 약간씩 들어가는 느낌이 나는 것이 맛있다. 겉껍질...
    분류 :
    물레나물과(Clusiaceae, Guttiferae)
    원산지 :
    말레이 반도
    학명 :
    Garcinia mangostana L.
    활용부위 :
    식용 : 열매약용 : 과일껍질, 나무껍질, 뿌리, 가지, 잎
    외국어명 :
    mangostano〈이탈리아어〉, mangostan〈스페인어〉, mangostan〈필리핀어〉, mangkhut(망쿳)〈타이어〉, manggis〈인도네시아어〉, manggis〈말레이어〉, マンゴスチン(망고스친)〈일본어〉
  • 움직도르래를 이용하면 얼마나 힘의 이득이 있나요?
    장치예요. 축바퀴는 받침점이 힘점과 작용점 사이에 있는 1종 지레와 같아요. 문의 손잡이가 작으면 문을 여는 데 보다 큰 힘이 들어갈 거예요. 또 수도꼭지 손잡이도 길이가 짧으면 물이 나오지 않게 잠글 때 젖 먹던 힘까지 써야 할 정도로 힘들 거예요. 문의 손잡이 크기, 자동차나 배의 핸들, 수도꼭지, 가스 밸브를...
    분야 :
    운동과 에너지
    교과단원 :
    초등 4학년 1학기 〈무게재기〉, 초등 6학년 2학기 〈에너지와 도구〉
  • 동요 童謠
    이에 물린 아이 놀리는 노래」 등이 있다. 먼저, 「빡빡머리 놀리는 노래」를 인용하면 아래와 같다. 중 중 대깨중 / 칠월이 번개중 / 소맷독에 빠진 중 / 대꼭지로 건진 중(전라북도, 『한국구전동요』) 위 노래는 빡빡머리를 ‘중’에 비유하고, 각 구절이 ‘중’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재미를 더하기 위해 중의...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구비문학
  • 한라봉 부지화, 漢拏峯
    부지화(不知火)’라고 불린다. 한국에는 1990년경 제주도에 도입되었다. 열매는 200~300g으로 일반적인 감귤류에 비해 상당히 큰 편이다. 모양은 대개 꼭지 부분이 튀어나와 있는 구형이지만 개체의 모양은 일정하지 않으며 꼭지가 튀어나와 있지 않은 것도 있다. 과피는 주황색으로 두께는 3.5~5mm이며 과피가 약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나무 , 열매
  • 감나무 시정(柿丁)
    된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시수(柿樹)라고도 한다. 작은 가지에 짧은 갈색 털이 있다. 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감(연시)은 생으로, 곶감·감꼭지·잎은 달여서 사용한다. 생약에서 시체(柿蔕)는 감꼭지를 말린 것이다. 쑥·참기름과 같이 쓰는 것은 좋지 않다. 땡감을 먹고 목이 메었을 때는 생무를...
    분류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Diospyros kaki
    분포지역 :
    중남부 지방(경기 이남)
    자생지역 :
    정원이나 마을 부근에 식재
    번식 :
    약효 부위 :
    열매·연시·곶감·갓 익은 감꼭지·잎
    생약명 :
    시체(柿蔕)
    키 :
    6~14m
    과 :
    감나뭇과
    채취기간 :
    여름(잎)·가을(열매·감꼭지)
    취급요령 :
    날것 또는 말려 쓴다.
    특징 :
    평온하며, 씁쓸하고 떫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열매 2개, 감꼭지 6개, 잎 5~6개, 곶감 3~4개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고욤나무
  • 바나나 Banana
    고르는 법 1. 꼭지 부위가 심하게 말라있는 경우는 피함 2. 흠집이나 검은색 짓무름이 발생한 제품은 피함(오랜 저장·유통 기간 동안 곰팡이, 세균 등의 오염이 가능) 적합 - 외관 : 과실의 크기와 모양이 고르며 껍질은 시들지 않고 신선해 보이는 것 - 색상 : 수확 시 색상은 녹색이며 후숙 과정을 통해 노란색으로...
    분류 :
    농산물 〉 과실류
  • 사모바르 samovar
    밑부분에 꼭지가 달려 있으며 대개 놋쇠로 만든다. 전통적으로 사모바르로 물을 끓일 때는 중심에 있는 수직의 통에 달군 숯을 넣어 가열한다. 차를 넣은 후 찻주전자를 '굴뚝' 위에 놓아 우려내는데, 보다 옅은 맛을 내기 위해서는 꼭지를 통해 찻잔에 물을 더 따라 붓는다. 18세기 중반 러시아인이 처음 개발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가지
    고르는 법 1. 꼭지가 싱싱하고 돌기가 뾰족한 것이 좋음 2. 취급 부주의로 내용물이 부서진 것은 피함(표면에 흠집이 있거나 꼭지가 떨어진 경우) 3. 짓무름, 깨짐이 있는 것은 피함 적합 - 외관 : 처음과 끝의 굵기가 거의 비슷하여 크기가 균일하며 모양이 바르고 표면이 매끈하고 살쪄 보이는 것 - 색상 : 색택...
    분류 :
    농산물 〉 과채류
  • 풋고추 green chilli
    특징인 고추의 열매를 생식하기 위한 것이 대부분의 목적이다. 특유의 향이 입맛을 돋워 주기 때문에 밥 반찬 중에서는 별미로 꼽힌다. 고르는 법 고추의 꼭지 부분이 마르지 않고, 크기와 모양이 균일하며 짙은 녹색이 선명한 것을 고른다. 열매의 모양이 곧고, 매끈하며 과육은 두꺼우면서도 연한 것이 좋다. 매운...
    분류 :
    농산물 > 과채류
    용도 :
    생식용, 저장용, 부침용, 조미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재료
  • 백자청화양각모란무늬 뚜껑있는 항아리(뚜껑) 白磁靑畵陽刻牡丹文有蓋壺(蓋)
    유물설명 중형의 뚜껑으로 항아리와 한 세트이다. 윗면은 볼록한 곡선을 이루며 아래 부분은 편평한 전을 이룬다. 윗면 중앙에는 보주형(寶珠形)의 꼭지가 달려있다. 내면에는 촉이 달려 있다. 보주형 꼭지 아랫부분을 청채(靑彩)하였다. 꼭지를 중심으로 사방에 구름을 양각으로 표현하고 청채하였다. 그 밑에는 세 개...
    분류 :
    유물 > 도자기
    크기 :
    높이: 13.6cmcm, 입지름: 13.8cmcm
    재질 :
    백자
  • 꽃싸움
    암꽃술이 더 굵고 든든하고 길어서 좋다. 제비꽃(오랑캐꽃)으로 노는 방법도 있다. 제비꽃은 뿔이 돋쳐서 오곳하게 갈고리처럼 생겼으나, 이 오곳한 꽃꼭지를 서로 어긋맞게 걸어 당기면 약한 꽃꼭지가 떨어지게 된다. 아카시아꽃을 따서 꽃잎을 하나씩 떼어내며 홀수와 짝수를 맞추는 싸움을 하기도 한다. 자기 향토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놀이
  • 요령 십이대영자 유적 조양십이대영자유적(朝陽十二臺榮子遺蹟), 遼寧 十二臺營子 遺蹟
    것을 알 수 있다. 잔무늬거울도 2개가 확인되었다. 그 조형 · 무늬 · 크기가 똑같고 지름 20.4㎝, 두께 5㎜∼6㎜이다. 뒷면의 가장자리 가까이에 3개의 꼭지가 3각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 밖에 Y자 동구(銅具) · 도끼 · 끌 · 패(牌)와 같은 청동기가 있었다. 2호묘는 1호묘의 남쪽으로 약 5m에 있다. 묘실은 길이...
    시대 :
    선사/청동기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5건

꼭지연잎꿩의다리
욕조 수도꼭지
노란꼭지버섯
꼭지고광나무
꼭지고광나무
이끼꼭지나방
이끼꼭지나방
꼭지고광나무
이끼꼭지나방
노란꼭지버섯
이끼꼭지나방
이끼꼭지나방
노란꼭지버섯
검정꼭지연
붉은꼬마꼭지나방
붉은꼬마꼭지나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