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광합성하는 도롱뇽의 느긋한 오후얼마나 좋을까. 배고프면 햇빛을 쪼이는 것으로 충분하니 남의 것을 탐낼 까닭이 없다. 식물은 엽록체라는 세포가 있어 햇빛과 물 그리고 공기만 있으면 양분을 만들고 부산물로 산소를 내보낸다. 동물처럼 남의 몸을 먹고 배설물을 내보낼 필요도 없다. 머리 위에 이파리까지 돋을 것도 없이 그저 피부가 초록빛으로...
-
감 재배, 정지 ・ 전정 재배기술경우라 할 수 있다. (3) T/R률 나무의 지하부(root)에 대한 지상부(top)의 무게 비율을 말한다. 적정 T/R률은 수령, 토양조건, 재배법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양분과 수분이 풍부할 때는 뿌리가 깊게 뻗지 않으므로 T/R률이 높다. 나무는 T/R률의 균형을 맞추려는 성질을 가지므로 강전정을 하여 지상부의 양을 줄이면...
-
이상적인 자세된다. 앞에서 본 자세를 측정할 때는 추선을 기준으로 똑같은 거리에 발이 놓이게 서야 한다. 이때 신체의 오른쪽과 왼쪽이 균형 있게 양분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는 코와 입을 양분하고 복장뼈, 배꼽, 두덩뼈의 중앙부분을 통과하여야 한다. 또한 귓불, 어깨, 손가락 끝, 유두, 엉덩뼈능선, 무릎뼈, 가쪽관절융기 중앙...
-
농경지, 토양 유실 방지대책경사가 15˚이상인 지역이 많으며, 상하경 재배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고랭지 밭토양은 보통 밭토양에 비하여 토양 유실량이 4∼6배 정도로 많다. 양분은 대부분 유출수와 함께 유실되며 침투수와 유실토에서는 적은 양이 유실된다. 이와 같은 경향은 사양토, 양토, 식양토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토성별...
-
감 재배, 생육특성 재배환경과 품종4~5년째부터 과실이 달리기 시작하여 15년 되면 성과기에 이르고 40년이 지나면 노쇠하여 생산량이 줄고 품질이 저하되며 해거리가 심해진다. (1) 뿌리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 공급하고 식물체를 지지한다. 감나무 뿌리의 활동은 5월부터 시작하여 6월 하순~7월 상순경에 최성기(最盛期)에 달하고 이후 한동안 완만...
-
감자, 생장단계별 관리요령인해 매우 건조한 시기이다. 씨감자를 심은 후 토양이 마르면 싹에서 나오는 뿌리의 발달이 떨어지고 뿌리내림(활착)이 불량하게 되어 씨감자 자체의 수분과 양분으로 생육하다가 결국 말라 죽게 된다. 특히 비닐멀칭재배 시 심을 때 토양 수분이 부족한 상태에서 흙을 덮으면(피복) 이후 어느 정도 비가 내려도 빗물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