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영양기관의 생장
감나무는 3월이면 휴면을 끝내고, 4월에 발아 신장하여 개화결실기를 거쳐 10월 하순에 과실이 성숙하고 11월 낙엽과 동시에 깊은 휴면(休眠)에 들어가 1년을 경과한다. 이러한 과정을 매년 거듭 되풀이 하다가 나무가 노쇠하여 일생을 마치게 된다.
재식된 나무는 4~5년째부터 과실이 달리기 시작하여 15년 되면 성과기에 이르고 40년이 지나면 노쇠하여 생산량이 줄고 품질이 저하되며 해거리가 심해진다.
(1) 뿌리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 공급하고 식물체를 지지한다. 감나무 뿌리의 활동은 5월부터 시작하여 6월 하순~7월 상순경에 최성기(最盛期)에 달하고 이후 한동안 완만한 신장을 계속하다가 9월 하순경에 다시 2차 신장을 하고, 10월 하순경 휴면기에 들어간다. 새로 발생한 뿌리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게 되는 시기는 개화기 무렵인 5월 하순에서 6월 상순경이다.
뿌리의 분포형태는 대목(臺木)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공대(共臺)를 대목으로 사용한 품종은 뿌리가 땅속 깊이 신장하는 반면, 고욤대를 사용한 품종은 뿌리가 수평으로 신장하는 경향이다.
품종에 따라서도 뿌리 분포가 다른데, 나무모양이 개장성인 품종은 뿌리가 넓게 신장하나 직립성인 품종은 수평으로의 신장 범위가 좁다. 그림은 개장성인 부유와 직립성인 평핵무의 뿌리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땅속 깊이 있는 뿌리도 생육하기 위해서는 적당량의 산소가 필요하며 뿌리의 호흡은 5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왕성하나 한여름 고온 시에만 호흡이 약간 줄어들고 다시 호흡이 왕성해진다.
감 뿌리의 활동이 시작되는 지온(地溫)은 12℃, 뿌리 신장최적지온은 21~24℃이다. 고온에 의해 활동이 억제되는데 25~26℃ 이상이 되면 생육이 억제되고, 10~11℃ 이하로 되면 휴면(休眠)에 들어간다.
(2) 가지
감나무는 전형적으로 정부우세성(頂部優勢性)을 나타내고, 선단의 새 가지는 생육이 왕성하고, 기부의 새 가지는 세력이 뚜렷하게 약하다.
새 가지는 4월 상순경에 발아하여 4월 중 ・ 하순 잎이 전개됨과 동시에 급신장하며, 6월 하순에는 거의 신장을 정지하고 굳어지기 시작한다. 영양 상태 등 환경에 따라 6월 하순경부터 다시 2차 신장을 하여 여름가지와 8월 하순 가을가지가 된다. 이들 여름가지와 가을가지는 양분의 소비와 병해충을 유발하기 쉬울 뿐 좋은 점은 없다.
(3) 잎
4월 발아가 시작되면 인편(鱗片)이 벗겨지면서 잎이 전개된다. 가지의 아랫잎은 빠른 시기에 완성되지만 크기가 작고 둥근 편이며 얇고 노화가 빠르다. 위쪽 잎은 크고 두꺼우며 생장기간이 길다. 가지의 아랫잎은 5월 상순에 크기가 거의 완성되지만 중간 잎은 5월중 ・ 하순, 선단부 잎은 6월 상순에 크기가 거의 완성된다.
잎의 색은 짙은 녹색을 띠나 발아기의 어린잎은 품종의 특색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사곡시, 횡야, 의문, 이두 등은 붉은색을 띠는 노란색이며, 차랑과 대안단감 등은 노란색, 미가도는 짙은 녹색이다.
잎의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중 빛의 강도가 최대 제한요인이다. 잎이 햇볕에 쪼이면 광합성이 증가되는데, 잎의 광합성 능력이 최대치에 달하면 그 후부터 조도가 증가되어도 광합성 속도는 증가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감나무의 광포화점에 도달되는 조도는 30~40klux이고, 광합성의 속도와 호흡 속도가 같아 외견상 광합성의 증가가 보이지 않는 보상점은 1.5~2.0klux이다.
온도도 잎의 광합성 속도에 큰 영향을 주는데 감에서는 25℃일 때 광합성 능력이 최고치에 도달되며 온도가 30~40℃로 계속 상승하면 반대로 광합성은 떨어진다. 8월은 30~32℃ 이상, 9월은 25~29℃ 이상, 10월은 20~22℃ 이상일 때 광합성이 급속하게 저하된다.
생식기관의 생장
(1) 꽃
감꽃은 과실을 맺는 암꽃과 꽃가루를 내는 수꽃, 암수 중간의 양성화(兩性花)가 있다. 품종에 따라서 암꽃만 맺는 것, 암꽃과 수꽃이 함께 맺는 것, 암꽃과 수꽃이 달리고 양성화도 함께 피는 것 등이 있다. 현재 재배되고 있는 품종들은 대부분 암꽃만 맺는 품종으로 부유, 차랑 등이고 암꽃과 수꽃을 맺는 양성화 품종은 선사환, 조홍시, 만어소, 화어소 등이다.
암꽃은 암술과 수술이 있으나 수술은 퇴화하여 꽃가루가 없다. 4개의 꽃받침, 4개의 꽃잎 아래쪽에는 큰 씨방이 있다. 씨방 속에는 종자가 생길 8개의 자실(子實)이 있으며, 암술머리의 선단은 4갈래로 나누어져 있다. 암꽃은 개화 시에 이미 분화가 완성되어 있어 작은 과실 모양을 하고 있다. 종자가 들어갈 자실(子實)은 감꼭지와 아주 가깝게 있다.
수꽃은 엽액에 대개 2~5개의 꽃이 집산화서(集散花序)로 착생한다. 수꽃에도 암술이 있으나 암술이 퇴화되어 기능이 소실되어서 결실이 안 된다. 수술수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11~25개가 있는데 선사환은 19개, 정월은 14개 정도이다.
감의 꽃눈은 혼합꽃눈으로 새 가지 선단으로부터 대개 3~4개의 엽액에 형성되어 같은 눈 속에 꽃눈과 가지로 자랄 영양눈이 함께 있다. 꽃눈의 분화는 전년도 7~8월에 이루어진다. 꽃은 5월 하순부터 6월 상순에 개화하며 새 가지의 중앙부 꽃 특히 기부로부터 2번째 꽃부터 먼저 피고 다음으로 기부 및 선단부 꽃이 핀다.
(2) 과실
가. 과실의 구조
과실은 씨방이 비대한 것으로 진과(眞果)에 속한다. 과실의 모양은 세장(細長)인 것으로부터 편평한 것까지 모양이 여러가지가 있다. 과실은 크게 외과피, 중과피, 내과피, 과심(果心)과 유관속(維管束)으로 구분된다.
외과피(外果皮)는 과실의 제일 바깥쪽이 큐티큘라층으로 덮여있는 것으로 한 겹의 표피세포층이다.
큐티큘라는 지방과 유사한 물질로 섬유질과 펙틴질로 결합된 구조로 이것이 표피를 보호한다. 큐티큘라층은 균열이 잘 되므로 표피가 균열되면 과피가 더러워지는 얼룩과가 생기기 쉽다. 표피세포층 밑에는 2열의 하피세포층이 있고 이 세포는 크고 세포막은 아주 두껍다. 하피세포층 밑에는 세포막이 두꺼운 수 개의 석세포층으로 되어 있다. 보통 이곳까지를 과피로 취급한다.
중과피(中果皮)는 대부분 먹을 수 있는 부분으로 부드러운 유조직 세포로 되어 있다. 유조직 속에는 대형의 탄닌 세포가 있는데 크기, 모양, 분포와 밀도는 품종에 따라 다르다.
내과피(內果皮)는 종자가 들어 있는 자실(子實)을 둘러싼 여러 개의 유조직 세포층으로 되어 있으며, 반투명으로 탄닌 세포가 거의 없다.
과실의 중앙부를 수(髓)라 하며 이 수는 무른 유조직 세포로 되어 있다. 이 조직은 열매꼭지로부터 들어온 유관속을 통해 과실 기부로 들어가고 일부는 갈라져서 꼭지 쪽으로 간다. 종자가 발달되지 않을 때는 과실 내에 유관속도 발달되지 않으며 그로 인해 틈이 생길 수도 있다. 그러므로 부유나 서촌조생 같은 품종은 과정부가 눌린 것 같이 약간 들어간 과실이 많이 생긴다 .
나. 과실의 비대(肥大)
개화와 수정이 끝나면 어린 과실은 비대를 계속한다. 과실비대현상은 2중 S자형의 곡선을 이루게 되는데 크게 3기로 나눌 수 있다.
제1기의 비대는 비대 속도가 극히 빠르며 개화 후 약 50일간(7월 하순에서 8월 상순까지)이다. 이 기간 중에는 10일 간에 2~3배 크기로 비대한다.
제2기는 8월 상 ・ 중순에서 9월 상 ・ 중순까지로 완만하게 발육하다가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이 기간은 만생종일수록 길고 조생종일수록 짧다. 제 2기의 비대는 종자가 발육하기 때문에 완만한 비대가 이루어진다고 하나 평핵무와 같은 종자가 없는 품종도 같은 현상을 보여 반드시 종자발육 때문만은 아닌 것 같다. 오히려 제2기 비대의 일시적 정지는 여름철의 고온과 건조, 뿌리 생장의 멈춤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제3기 비대는 9월중 ・ 하순 이후부터 성숙 때까지로 착색(着色)과 아울러 양적으로 가장 많이 비대하는 시기이다.
과실비대에 있어서 초기의 유과기에는 주로 세로 비대가 이루어지며, 후기에는 꼭지 부분의 기부(基部)가 비대하면서 가로 비대가 이루어진다. 과실비대량은 개화 후 21일을 경계로 하여 성숙기까지 약 60배 정도 양적으로 비대한다.
다. 과실 발육의 주요 요인
과실의 크기는 세포수와 세포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세포수와 크기는 품종에 따라 동일 품종이라도 착과수(着果數)에 따라 다르다. 세포수는 1과당 1,500만 개에서 많은 것은 2억 개로서 정도 차가 많고 과실이 클수록 세포수도 많다.
부유는 약 7천만 개이고 평핵무는 약 2천5백만 개 정도다. 세포의 크기는 평핵무가 부유의 약 3배이다. 큰 과실을 얻으려면 세포의 크기보다는 먼저 세포수가 많아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따르게 된다.
세포분열은 꽃눈 분화에서 시작하여 개화 후 1개월까지 계속되지만 개화 수정 직후의 유과기(幼果期)까지 세포수가 거의 결정된다. 그러므로 전년도 저장 양분이 세포수를 지배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세포비대는 주로 개화 후부터 성숙 완료기까지 계속되는데 지난해의 저장양분보다는 새로이 생성된 뿌리와 잎으로부터 양분을 공급받아 이루어진다. 과실이 양적으로 가장 많이 비대하는 제3기는 단순히 세포비대에 의한 것이므로 성숙기를 맞이하여 수확기를 늦추면 과실비대가 현저하게 증가한다.
감잎 하나는 일생동안 19g 정도의 과실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므로 수체(樹體) 양분저장과 더불어 200g의 과실 한 개를 키우는데 필요한 잎 수는 15~20엽이다.
감의 비대적온은 과실 발육기를 통해서 주 ・ 야간의 온도가 25~25℃, 25~20℃, 20~20℃일 때 과실 발육이 좋고 과실비대 2기 기간이 단축되어 빠르게 과실비대 3기에 도달하게 된다.
라. 과실의 성숙(成熟)
과실의 성숙 판정은 열매꼭지(果梗)의 색, 과육의 경도, 과피색, 과육의 성분 변화, 과실의 호흡량, 개화 후 일수, 적산온도 등을 지표로 삼고 있으나 과실의 종류에 따라 기준을 달리한다. 일반적으로 감은 과피색이 90% 이상 황색으로 착색될 때를 성숙기로 보며 과정부가 선홍색을 띨 때 당도가 높고 단감은 떫은맛이 없어진다.
과피의 붉은색은 표피세포에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 색소들의 발현은 온도와 햇빛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 색소들 중 리코핀은 붉은색을 띠게 하는데 생성 적온은 20℃ 전후이고 이보다 높으면 색의 발현이 불량하다.
조생종은 개화 후 120일, 만생종은 150일이면 성숙한다. 감의 떫은맛은 과육 내의 탄닌 때문이며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탄닌은 가용성에서 불용성으로 변하여 일정 단계에 도달하면 떫은맛을 느끼지 못한다. 과육 내의 갈색반점은 가용성 탄닌이 불용성으로 응집한 것이다.
떫은맛을 느끼지 못할 때의 가용성 탄닌 함량은 0.1%이며 전 탄닌 중불용성 탄닌의 비율이 90% 이상 되는 때이다. 대개의 단감은 10월 중 ・ 하순이면 떫은맛이 완전히 빠져 떫은맛을 느끼지 못하지만 10월 중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는 떫은맛이 덜 빠진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본 내용은 농촌진흥청의 저작물로 공공누리유형의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http://lib.rda.go.kr)에서 농업기술길잡이를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