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섭 申㰔
    생애 및 활동사항 1880년(고종 17) 제2차 수신사 김홍집(金弘集)은 주일청국공사관 참찬관(駐日淸國公使館參贊官)이었던 황준헌(黃遵憲)이 당시 조선의 당면과제와 외교정책을 적어 놓은 『사의조선책략(私擬朝鮮策略)』을 가지고 와 고종에게 받쳤다. 부국자강(富國自强)을 위한 개화정책을 추진 중에 있던 정부는 개화...
    시대 :
    근대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지사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박제경 이순(而純), 朴齊絅
    개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이순(而純). 생애 및 활동사항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 후에 박영효(朴泳孝)가 수신사로 일본을 왕래할 때에 수행원의 한 사람으로 참가하여 일본의 새로운 제도와 문명을 살피고 요코스카[橫須賀] 군항을 시찰하는 등 견문을 넓혔다. 귀국 후에는 박영효·김옥균(金玉均) 등의 지도하에...
    시대 :
    근대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갑신정변
    직업 :
    학자
    대표작 :
    근세조선정감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반남(潘南)
  • 왜사일기 倭使日記
    까지는 제12책과 중복되어 있다. 제2책 중에는 날짜의 순서가 바뀐 부분도 있다. 내용은 첫째, 감사·강화유수·동래부사 등 각 지방관의 보고, 의정부·수신사·접견관의 보고, 둘째, 정부에서 감영·심영(沁營)·접견관 등에 내린 지시, 셋째, 〈문답수말 問答首末〉·〈문정관수본 問情官手本〉·〈대부관문답 大副...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만인소 萬人疏
    유명한 것은 개항 뒤 조정의 개화 정책에 반대해온 척사론자(斥邪論者)들이 1881년(고종 18)에 척사운동의 일환으로 올린 연명소이다. 전년도 여름에 제2차 수신사(修信使) 김홍집(金弘集)이 일본에 다녀온 뒤 주일청국공사관 참찬관 황준헌(黃遵憲)이 지은 『조선책략(朝鮮策略)』을 왕에게 진헌하였다. 그 외 1868...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가산유고 可山遺稿
    서(序)의 「문김한림이수신사작일본지행이서증별(聞金翰林以修信使作日本之行以序贈別)」은 1880년 당시 개화당의 거두였던 김홍집(金弘集)이 일본에 파견하는 수신사에 임명되었다는 소식을 듣고서 그에게 보낸 편지로서, 일본에 가게 되면 우리나라의 국위를 선양하고 뒤떨어져 있는 일본의 문화수준을 일깨워주고...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계렴
    창작/발표시기 :
    1900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간행/발행 :
    이수덕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연세대학교 도서관
  • 왜사일기 倭使日記
    중복 수록되어 있다. 수록된 기록을 형식에 따라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각 도의 감사와 강화유수·동래부사·덕원부사의 보고와 의정부의 품계, 수신사와 접견관의 보고. 둘째, 정부에서 감영·필영·동래부·덕원부·접견관 등에게 내린 지시. 셋째, 문정관수본(問情官手本)·문답수말(問答首末)·강수문답...
    시대 :
    근대
    저작자 :
    의정부
    창작/발표시기 :
    1875년 12월 26일 ∼ 1880년 12월 29일
    성격 :
    일지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4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치암문집 恥庵文集
    제문·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척사소(斥邪疏)」는 세간에서 말하는 「영남만인소(嶺南萬人疏)」라는 것으로, 재신(宰臣) 김홍집(金弘集)이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와서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朝鮮策略)』을 소개하여 개화정책이 적극 추진되자 이만손(李晩孫)을 소수(疏首)로 저자가 소부(疏副)가...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석규
    창작/발표시기 :
    1908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8권 4책
    간행/발행 :
    김병현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변수 한명(漢明), 邊燧
    京都)에서 양잠술과 화학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다 그 해 7월 임오군란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귀국하였다. 군란이 진압되고 제물포조약이 체결되자 수신사절인 박영효(朴泳孝)의 수행원으로 김옥균·서광범(徐光範)·민영익(閔泳翊) 등과 다시 일본으로 건너갔다. 여기서 차관교섭을 벌여 국채위임장에 대한 보장을...
    시대 :
    근대
    출생 :
    1861년(철종 12)
    사망 :
    1891년(고종 28)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원주(原州)
  • 홍시중 洪時中
    개설 1880년(고종 17)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김홍집(金弘集)이 황준헌(黃遵憲)의 저술 『조선책략(朝鮮策略)』을 국왕에게 바친 뒤, 이의 사본이 항간에 널리 유포되었다. 1876년 개항 이래 중앙 정부의 개화정책에 반대하고 전통적인 성리학적 세계관을 유지하던 위정척사 계열의 유생들은, 『조선책략』이 성현을...
    시대 :
    근대/개항기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분야 :
    역사/근대사
  • 우산 雨傘
    햇빛이 날 때에는 양산 구실도 하였고 비가 올 때에는 우산 구실도 하였다. 우산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확실하지 않다. 1876년부터 1883년까지 수신사(修信使)와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의 일본방문이 여러 차례 있었고, 1882년 4월에는 미국공사가 부임하였다. 선교사들은 더 일찍 우리나라에 왔으므로 이때에...
    시대 :
    근대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의생활
  • 태극기 사용 100주년 기념 태극기
    1982년은 태극기를 우리나라의 국기로 사용한 지 10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태극기는 고종 19년(1882년) 8월 22일, 박영효(朴泳孝)가 일본에 수신사(修信使)로 갈 때, 배 안에서 고안하여 처음 사용하였다고 한다. 그 이듬해인 1883년에는 태극기를 정식으로 우리나라의 국기로 채택, 공포하였으며, 1949년에는 문교부...
    발행일 :
    1982.8.22
    발행량 :
    4000000
    종수 :
    1
    액면가격 :
    60원
    디자인 :
    태극기
    우표번호 :
    1267
    인면 :
    33×23
    천공 :
    13
    전지구성 :
    5×5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4도색
    디자이너 :
    이부열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기헌문집 岐軒文集
    락(輓金西山興洛)」 등의 만시도 상당수 있다. 잡저의 「의상봉사(擬上封事)」는 1881년(고종 18) 영남유생들이 「척왜소(斥倭疏)」를 올릴 때 작성한 것으로 수신사(修信使)로 가는 김홍집(金弘集)을 맹렬히 통박하는 한편, 병인양요가 일어난 데에는 일본이 개입되었음을 주장하였고, 기독교는 혹세무민(惑世誣民...
    시대 :
    조선
    저작자 :
    배선회
    창작/발표시기 :
    1961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2책
    간행/발행 :
    배덕환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연세대학교 도서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1건

수신사
수신사 김기수
수신사일기
수신사일기
수신사 수행원 고영희
수신사 수행원 이용숙
수신사 수행원 현제순
수신사일기
수신사행렬
▲ {1차 수신사 김기수}
▲ {1차 수신사 김기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