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카를 5세 Charles V, Holy Roman Emperor, カール5世 (神聖ローマ..
    그 사이 자신은 고베르나도르 장군이 되었다. 그럼에도 플랑드르 사람들은 카를이 왕의 칭호를 받기를 바랐으며, 이는 그의 할아버지인 막시밀리안 1세 황제와 교황 레오 10세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그리하여 1516년 3월 14일 페르난도 2세의 장례식 직후에 당시 정신병을 앓고있던 어머니 후아나와 함께 카스티야와...
    도서 위키백과
  • 도릴라에움의 에우세비오 에우세비오, Eusebius of Dorylaeum
    단성론을 최초로 반대한 에우세비오의 고소로 인해 결국 유티케스는 콘스탄티노플의 주교 플라비아누스가 소집한 교회회의에서 면직당했고, 교황 레오 1세에게 파문당했다. 그뒤 449년 에페소스에서 열린 공의회(에페소스의 강도회의로 알려짐)의 조치로 직위를 되찾았으며, 에우세비오는 이 사건에서 맡은 역할 때문에...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리키메르 Flavius Ricimer
    그의 지위를 심각하게 위협했지만 그후에도 몇 년 동안 계속 권력을 유지했다. 465년 8월 15일 세베루스가 죽었고 2년 가량 지난 뒤 동로마 황제 레오 1세가 안테미우스를 서로마 황제로 임명했는데 리키메르는 안테미우스의 딸과 자신의 약혼이 성립되자 이를 묵인했다. 그러나 안테미우스와 레오가 함께 계획한...
    출생 :
    미상
    사망 :
    472. 8. 18
    국적 :
    로마
  • 에우티케스 Eutyches
    폴리스 교회회의는 에우티케스의 견해를 명백한 이단으로 간주하여 그를 폐위하고 파문했다. 그뒤 플라비아누스는 에우티케스의 이단설을 교황 레오 1세에게 보고했고, 레오는 449년 6월 13일 에우티케스주의를 단죄하는 유명한 〈Tome〉를 발표했다. 에우티케스는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 디오스코루스에게 호소했고...
    출생 :
    375경
    사망 :
    454
    국적 :
    콘스탄티노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에스테 왕가 House of Este
    3세로부터 모데나와 레조의 공작(1452)으로 임명되었고 교황 파울루스 2세로부터는 페라라 공작작위(1471)를 받았다. 에르콜레 1세 레오넬로와 보르소의 이복 형제인 에르콜레 1세(1471~1505)의 오랜 통치 기간은 페라라와 에스테 가문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에르콜레 1세는 나폴리 왕의 딸 레오노라와 결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칼케돈 공의회 Council of Chalcedon
    통일성을 주장했다. 또한 이 회의는 그리스도 안에 2개의 다른 본성이 있음을 확증하고 그리스도가 하나의 본성만 갖고 있다는 단성론을 부인한 교황 레오 1세의 〈토메 Tome〉를 지지했다. 칼케돈 공의회는 이러한 교리들을 신앙고백의 형태로 설명했다. 이외에도 몇몇 지역 교회회의들의 선언과 이전의 교회 공의회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교황 敎皇
    402 40 성 인노첸시오 402~417 41 성 조시모 417~418, 에울랄리오 42 성 보니파시오 418~419 43 성 첼레스티노 422~432 44 성 식스토 3세 432~440 45 성 레오 1세 440~461 46 성 힐라리오 461~468 47 성 심플리치오 468~483 48 성 펠릭스 2세 483~492 49 성 젤라시오 1세 492~496 50 아나스타시오 496~498 51 성 심마코...
  • 보두앵 (벨기에) Baudouin of Belgium, ボードゥアン1世 (ベルギー王)
    황금양모 기사단의 1,176번째 기사였으며 또한 교황의 그리스도 최고훈장의 마지막 생존 기사이기도 하였다. 보두앵은 독실한 로마 가톨릭 교도였다. 레오 요제프 수에넨스의 영향력을 통하여 보두앵은 자라나는 가톨릭 카리스마 혁신에 참가하였고, 파레르모니알의 프랑스 성당으로 순례 여행에 정규적으로 갔다...
    도서 위키백과
  • 칼로얀 Kaloyan of Bulgaria, カロヤン・アセン
    그는 가톨릭 세력과 연합하는 조건으로 인노켄티우스 3세에게 시메온 1세, 페터르 1세, 사무일이 가졌던 황제의 관과 권장을 수여할 것을 요구하였다. 칼로얀은...원하였다. 교황은 이러한 양보를 하고 싶지 않았고, 그의 사절인 추기경 레오가 불가리아의 수도 터르노보에 도착하였을 때, 그는 터르노보의 대주교인...
    도서 위키백과
  • 미카일 케룰라리우스 Michael Cerularius
    도중에 레오가 죽자, 교황사절 가운데 한 사람인 프랑스의 추기경 실바칸디다의 훔베르트는 교황의 자리가 공석이 된 기회를 이용하여 그에게 보복했다. 1054년 7월 16일 훔베르트는 콘스탄티노플의 하기아소피아 성당에 들어가 케룰라리우스와 그 밑의 성직자들을 파문했다. 이에 대응하여 케룰라리우스는 교회회의...
    출생 :
    1000경, 콘스탄티노플
    사망 :
    1059. 1. 21, 콘스탄티노플 근처 마디투스
    국적 :
    콘스탄티노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라파엘로 산치오와 줄리오 로마노, 〈십자가 현현〉 외
    모습이 그려져 있다. 특히 오른쪽 교황은 발치 아래 새겨진 글자에 적힌 대로 기독교 초기 시절의 클레멘스 1세(Clemens I, 88~97 재위)이다. 클레멘스 1세레오 10세의 얼굴을 모델로 그렸다. 그림 왼쪽 둥근 천막에서 나온 콘스탄티누스가 손을 높이 쳐들며 몰려드는 병사들의 사기를 북돋는 모습이 보인다. 그는...
    제작시기 :
    라파엘로 산치오와 줄리오 로마노 〈십자가 현현〉 1520~1524년 제작라파엘로 산치오 〈밀리우스 다리의 전투〉 1520~1524년 제작
  • 디오스코로스 Dioscorus
    of Ephesus) 의장직을 맡았다. 동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를 지지했던 그는 에우티케스의 성직을 복귀시킨 뒤, 에우티케스설을 비난했다는 이유로 교황 레오 1세를 파문시키고 단성론을 반대한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 성 플라비아노스를 물러나게 했다(→ 에페소스 공의회). 450년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죽은 뒤...
    출생 :
    ?, 알렉산드리아(이집트)
    사망 :
    454. 9. 4, 갈라티아(지금의 터키 창키리) 강그라
    국적 :
    알렉산드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아틸라와 레오 1세의 회담
아틸라와 레오 1세의 만남
교황 레오 1세와 아틸라의 만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