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에스테 왕가

다른 표기 언어 House of Este

요약 중세와 르네상스 시기 이탈리아 역사에서 커다란 역할을 한 롬바르디아 출신의 왕가.

개요

13세기 구엘프(교황파)와 기벨린(황제파) 간의 다툼에서 처음으로 전면에 등장했다.

구엘프의 지도자였던 에스테 왕가의 군주들은 각각 다른 시기에 걸쳐 페라라·모데나·레조 및 다른 봉토와 영지를 받았다. 이 가문의 사람들은 13~16세기에 줄곧 페라라를 다스렸으며, 중세 후반부터 18세기말까지는 모데나와 레조를 통치했다.

기원

에스테 가문은 10세기의 대가문인 오베르텐기 왕조의 분가였다.

오베르텐기 왕조는 루니자나·제노바·밀라노에서 권력과 부를 누렸으며 봉건 가문인 말라스피나가와 팔라비치니가를 일으켰고 마사와 파로디에서 변경백의 지위를 얻었다. 그후 여러 가지 변화를 겪은 다음 오베르텐기 왕조 사람들은 베네치아 땅으로 옮겨가 에스테·몬셀리체·로비고·프리울리에 영지를 소유하게 되었다. 에스테 가문이라는 명칭은 파도바에서 남서쪽으로 27㎞ 떨어진 곳에 있는 에스테 성(城)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했으며, 최초로 가문을 세운 사람은 변경백 알베르토 아초 2세(1097 죽음)였다.

그의 아들인 바이에른 공작 벨프 4세로부터 가계가 시작되었는데, 여기서 하노버 선제후뿐만 아니라 바이에른·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들이 나왔다. 다른 아들인 우고는 프랑스에 정착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셋째 아들 폴코 1세(1136경 죽음)가 에스테가의 2번째 대(代)를 이었다.

그러나 폴코 1세와 그의 후계자인 오비초 1세(1193 죽음)는 선대의 봉건 가계로부터 물려받은 관직과 칭호 이외에 더이상의 업적을 이루지는 못했다. 그러나 오비초 1세 생전에 그의 아들 아초 5세(아버지보다 먼저 죽음)가 페라라의 유력한 두 경쟁 가문 중 한 가문의 상속녀와 결혼함으로써 에스테가는 페라라에서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지니기 시작했다. 오비초의 뒤를 이은 그의 손자 아초 6세는 페라라에서 상당한 권력을 얻었으나 일찍 죽음(1212)으로써 당분간 가문의 힘이 약해졌다.

1240년에 후손인 아초 7세는 교황 그레고리우스 9세가 결성한 구엘프 동맹과 손잡고 페라라에서 권력을 되찾았다(구엘프와 기벨린). 이로써 에스테 가문의 진정한 페라라 통치가 시작되었다.

페라라의 영주

1264년 아초의 상속자인 오비초 2세(1264~93)는 구엘프의 세력을 등에 업고 종신 영주가 되었다.

페라라 영지의 법적 영주인 교황은 처음에는 이에 반대하지 않았으나 나중에는 에스테 가문의 통치에 이의를 제기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오비초 2세의 권력은 점점 커져 1288년 스스로 모데나의 영주가 되었고 1289년에는 레조의 영주가 되었다. 14세기에 에스테 가문은 교황과의 대립뿐만 아니라 매우 위험한 경지에까지 이른 내부의 불화로 힘겹고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그런 가운데에서도 계속 가문의 지위를 굳혔으며 절름발이 니콜로라 불리던 니콜로 2세(1361~88)가 다스리던 시절에는 유명한 에스테 성을 세웠다.

건축가 바르톨리노 다 노바라가 지은 이 성은 페라라의 세력을 나타내는 상징이 되었으며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이 도시를 보호했다. 니콜로 2세의 형제이며 계승자인 알베르토 5세(1388~93)는 유명한 페라라대학교를 세웠다. 이 대학교는 1391년 교황 보니파키우스 9세의 승인을 얻었다.

알베르토의 아들인 니콜로 3세의 통치(1393~1441) 기간에 에스테 가문은 페라라 지배를 한층 더 강화했으며 전이탈리아의 정치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페라라의 주도권을 쥐려던 파도바인들을 물리친 후 니콜로는 이탈리아의 여러 공국 사이의 정치·군사적 분쟁의 중재자가 되어 영토를 확장했다. 니콜로는 호색한으로 유명했기 때문에 페라라 사람들은 "포 강 양쪽에는 온통 니콜로의 자식들뿐이다"라고 말하고는 했다. 니콜로는 아들 우고와 자신의 젊은 2번째 아내 파리시나 말라테스타 사이의 불륜 관계를 알아채고 두 사람의 목을 베었다.

한편 그는 자신의 신앙심을 알리는 데 전념해, 성묘(聖墓)와 빈의 성 안토니우스 성지 순례를 계속했고, 1438년에는 종교회의를 주재했다. 이 회의는 동방정교회와 로마 가톨릭을 통합하려 했으나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했다(이 회의는 나중에 피렌체에서 소집되었음). 그는 밀라노 공국들에 대한 에스테 상속자의 승계권을 얻을 듯했으나 1441년 12월 26일 갑자기 죽었는데 독살된 것으로 추정된다.

니콜로 3세가 에스테 공국의 영토와 재정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 내에서 공국의 정치적 지위를 높인 반면, 그의 서자로서 후계자에 선출된 레오넬로(1441~50)는 예술과 문화 분야에서 페라라에 뚜렷한 업적을 남겼다.

인문주의자 구아리노 베로네세에게 교육받았던 레오넬로는 아버지의 명령에 따라 페라라로 갔다. 그의 통치 기간에 페라라는 인문주의 문화의 활기찬 중심지가 되어 많은 화가(피사넬로, 야코포 벨리니, 반 데르 웨이덴, 만테냐)·건축가(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학자(구아리노 베로네세가 중심이 됨) 들로 북적거렸다.

페라라·모데나·레조의 공작들

레오넬로의 형제이며 계승자인 보르소(1450~71)는 약간의 군사적 실패를 겪기도 했으나 국가를 유지하고 나라의 미적·문화적 권위를 높였을 뿐만 아니라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3세로부터 모데나와 레조의 공작(1452)으로 임명되었고 교황 파울루스 2세로부터는 페라라 공작작위(1471)를 받았다.

에르콜레 1세

레오넬로와 보르소의 이복 형제인 에르콜레 1세(1471~1505)의 오랜 통치 기간은 페라라와 에스테 가문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에르콜레 1세는 나폴리 왕의 딸 레오노라와 결혼해 상당한 정치적 지원을 얻었다. 그러나 몇 차례의 시련을 겪기도 했는데, 레오넬로의 아들인 조카 니콜로의 왕위 찬탈 기도를 물리쳐야 했으며 그후에는 베네치아와 교황 식스투스 4세의 적대적인 동맹에 맞서야 했다. 당시의 상황은 전쟁이 일어나기 직전까지 갔는데(1482~84) 그후 충분히 만족스럽지는 못하나마 바뇰로 평화협정을 맺음으로써 페라라는 임박한 위험에서 벗어났다.

에르콜레는 이탈리아의 주요세력가와 결합할 수 있는 혼인관계를 맺어 정치적 지위를 강화했다. 그의 세 딸 가운데 루크레치아는 볼로냐의 안니발레 벤티볼리오와, 이사벨라는 만토바의 프란체스코 곤차가와, 베아트리체는 밀라노의 루도비코 스포르차와 결혼했다. 그의 큰아들 알폰소는 처음에 밀라노의 안나 스포르차와 결혼했고 다음에는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딸인 유명한 루크레치아 보르자와 재혼했다.

이러한 공국의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에도 불구하고 에르콜레는 예술에 대한 후원을 계속할 수 있었다. 그는 시인 보이아르도를 장관으로 임명했고 시인 아리오스토를 극진히 대접했으며 연극과 뮤지컬을 지원했다. 또한 페라라를 확장하고 아름답게 가꾸어 유럽에서 가장 훌륭한 도시로 만들었다.

알폰소 1세

에르콜레의 아들인 알폰소 1세(1505~34)는 어려서는 거칠고 무례했으나 일단 정권을 쥔 후에는 현명하고 확고하게 처신했다.

먼저 그는 이복 형제 줄리오와 또다른 형제 페란테의 음모를 저지했으며 이들을 무기징역에 처했다. 그후 베네치아와의 전쟁(1509)에 온 힘을 집중했는데, 기계학과 대포 설계에 솜씨를 보였다. 또한 폴레셀라 해전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에르콜레 1세 때 잃었던 로비고의 폴레시네 지역을 되찾았다. 그러나 이무렵 영토를 확장하려는 교황의 야심이 그를 위협해왔다. 알폰소는 이탈리아에서 프랑스의 이익을 계속 옹호함에 따라 교황 율리우스 2세와 충돌하게 되어 모데나(1510)와 레조(1512)를 잃었으며 파문당했다.

메디치 가문의 교황인 레오 10세와 클레멘스 7세는 에스테 가문을 파멸시키려 했으나 레오 10세는 일찍 죽었고 클레멘스 7세는 정치 기반이 취약해 뜻을 이루지 못했다. 알폰소는 1523년 레조를 회복하고 1527년에는 모데나를 회복했다. 알폰소는 1534년에 죽었다. 그의 뒤를 잇는 계승권은 그의 적자들뿐만 아니라 그의 정부(情婦) 라우라 에우스토키아 디안티의 자식들에게도 주어졌는데 이 서자들에게서 나중에 모데나와 레조의 공작들이 나왔다.

에르콜레 2세와 알폰소 2세

알폰소의 아들이며 계승자인 에르콜레 2세(1534~59)의 통치 기간에는 군사 사건(1557~58년의 전쟁은 힘든 것이었지만)보다 개인적인 일이 더 관심을 끈다.

에르콜레는 프랑스의 왕 루이 12세의 딸 르네와 결혼했는데 르네는 페라라에서 루터교를 받아들였다. 그녀는 루터교의 열렬한 수호자가 되었으며 자신의 궁정에 유명한 이단자들과 개혁주의 사상가들의 집회소를 마련했다. 페라라의 교황 대리였던 에르콜레는 그녀의 행동을 막으려 했으며 심지어 잠시 투옥까지 했으나 소용이 없었다. 에르콜레의 뒤를 이은 그의 큰아들 알폰소 2세(1559~97)는 5번째이며 마지막 페라라 공작이었다. 그는 폴란드의 왕으로 선출되려 했고 투르크에 맞서 십자군을 조직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왕조와 관련되어 더욱 중요한 일은 그가 3차례 결혼했으나 자식을 보지 못했으며 1567년 교황 피우스 5세가 교회영토에 대한 서자(庶子)의 통치를 명백히 금지시켰다는 사실이다. 알폰소는 몹시 실망하고 낙담해 나라가 부패하는 상황을 방치했다. 죽기 전에 그는 공작령을 사촌인 체사레(1562~1628)에게 물려주었으나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

1598년 페라라에 대한 교황의 직접 통치가 수립되었고 에스테 가문의 주요가계는 끝이 났다.

권력의 쇠퇴

체사레가 모데나와 레조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이탈리아의 정치에서 에스테 가문이 지녔던 커다란 영향력은 그의 시대에 끝이 났으며, 찬란했던 전임자들에 비해 궁정의 문화도 뒤떨어졌다.

17세기에 모데나 공작을 지낸 사람 가운데에서는 30년전쟁의 격동기에 재위했던 프란체스코 1세(1629~58)가 가장 중요한 인물일 것이다. 그의 백성들은 유명한 1630년의 흑사병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 이 전쟁에서 그는 처음에 스페인과 제휴했으며 그 다음에는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는데, 이것이 페라라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중에 그는 스페인과 화해하려 했으나 역설적이게도 스페인과 싸우던 전장에서 말라리아에 걸려 죽었다. 그는 대단한 야심가였으며, 비록 정치에서는 실패했으나 예술을 후원해 문필가들을 돌보고 미술품을 수집했다(그를 모델로 한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훌륭한 초상화와 잔 로렌초 베르니니가 만든 아름다운 흉상이 남아 있음). 프란체스코 1세의 계승자들 가운데 가장 기억할 만한 인물은 리날도 1세(1694~1737)이다.

그는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출신의 샤를로테 펠리키타스와 결혼함으로써 오랫동안 끊겼던 에스테가의 분가를 다시 결합시켰다. 그는 재위 기간 내내 신성 로마 제국의 정치에 관여했다. 방탕아로 알려진 그의 아들 프란체스코 3세(1737~80)는 오스트리아 황후 마리아 테레지아로부터 롬바르디아 통치권을 받았다. 부드럽고 상냥한 에르콜레 3세(1780~96)는 1796년 프랑스 혁명군이 모데나에 쳐들어오자 그곳을 포기했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에 마리아 베아트리체 데스테(에르콜레 3세의 살아남은 유일한 딸)와 마리아 테레지아의 아들 아스부르고로레나 대공 페르디난트 사이의 아들인 프란체스코 4세 공작(1814~46)이 모데나로 돌아왔다.

그는 모데나에 오스트리아-에스테 가계를 세웠으나 이 가계는 그의 아들 프란체스코 5세(1846~59) 때 모데나가 사르데냐-피에몬트와, 그리고 그후 이탈리아와 연합하려고 반란을 일으켜 막을 내렸다. 자녀가 없던 프란체스코 5세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자인 프란츠 페르디난트를 상속자로 선정했는데 그는 1914년 사라예보에서 살해되었다.

오늘날 에스테가의 성(姓)과 문장을 가질 권리를 지닌 사람은 로베르트 대공으로 여겨진다. 그는 아스베르크의 카를과 보르보나-파르마의 지타 사이의 둘째 아들이며 1953년 사보이-아오스타의 공주 마르게리타와 결혼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에스테 왕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