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윤두수 尹斗壽
    정랑으로 있을 때, 명종비 인순왕후(仁順王后)의 외삼촌으로 권세를 누리던 이조판서 이량(李樑)이 아들 정빈(廷賓)을 이조좌랑에 천거하자 이에 반대하다가 대사헌 이감(李戡)의 탄핵을 받고 벼슬에서 쫓겨났다. 같은 해 이량이 반대파 사림의 숙청을 꾀하다가 유배됨에 따라 다시 기용되어 수찬이 되었다. 그뒤...
    출생 :
    1533(중종 28)
    사망 :
    1601(선조 34)
    국적 :
    조선, 한국
  • 사헌부 상대, 司憲府
    따라 감찰사(監察司)·어사대·사헌부의 명칭이 반복되다가 1369년(공민왕 18) 사헌부로 정착되어 조선으로 이어졌다. 특히 1298, 1308년 장관인 대부와 대사헌이 각각 정2품과 종2품으로 승격한 것은 충선왕의 개혁정치와 관련된 사헌부의 기능강화와 지위 상승책에 기인한 것이었다. 조선은 건국 후 고려의 사헌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윤휴 희중(希仲), 尹鑴
    南原). 초명은 윤갱(尹鍞). 자는 희중(希仲), 호는 백호(白湖)·하헌(夏軒). 이조참판 윤호(尹虎)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윤희손(尹喜孫)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윤효전(尹孝全)이며, 어머니는 첨지중추부사 김덕민(金德民)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아버지의 임지인 경주부의 관사에서 만득자(晩得子: 늦게 낳은...
    시대 :
    조선
    출생 :
    1617년(광해군 9)
    사망 :
    1680년(숙종 6)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학자
    대표작 :
    독서기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남원(南原)
  • 송인수 미수, 宋麟壽
    李楨) 등을 문하에 두었다. 1537년 김안로 등이 몰락하자 유배에서 풀려나 1538년 예조참의 겸 성균관대사성으로 후학들에게 성리학을 강론했다. 이어서 대사헌·이조참판 등을 지냈는데, 윤원형(尹元衡)·이기(李芑) 등의 미움을 받아 1543년 전라도관찰사로 좌천되었다. 관찰사로 있으면서 〈사서삼경〉을 간행하는 등...
    출생 :
    1499(연산군 5)
    사망 :
    1547(명종 2)
    국적 :
    조선, 한국
  • 송치규 宋穉圭
    김정묵(金正默)의 문인이다. 1798년(정조 22) 경상도관찰사 한용화(韓用和)의 천거로 영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그뒤 호조좌랑·공조참판·대사헌 등에 잇따라 임명되었지만 취임하지 않았다. 그가 평생을 두고 벼슬을 사양한 것은 스승 김정묵이 뜻하지 않은 사건에 연루되어 억울하게 유적(儒籍)에서...
    출생 :
    1759(영조 35)
    사망 :
    1838(헌종 4)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민암 閔黯
    1678년(숙종 4) 당시 인조반정에 대한 잘못된 기록을 바로잡기 위한 변무부사로 복평군(福平君) 연(㮒)과 함께 청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했다. 1680년 대사헌으로 있다가 경신대출척으로 남인들이 대거 실각하자 파직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다시 기용되어 대사헌·대제학·병조판서를 역임하면서 김수항(金壽恒...
    출생 :
    1636(인조 14)
    사망 :
    1694(숙종 20)
    국적 :
    조선, 한국
  • 홍서봉 휘세, 洪瑞鳳
    삭직당한 뒤 칩거했다. 1623년 김유(金瑬) 등과 함께 인조반정을 일으켜 그 공으로 정사공신 3등에 책록되고 익녕군에 봉해졌다. 그뒤 병조참의·대사간·대사헌·병조참판·도승지 등을 역임했고, 1628년 유효립(柳孝立)의 역모를 고변하여 영사공신 2등에 책록되고 지의금부사에 올랐다. 그뒤 예조판서·대사헌...
    출생 :
    1572년(선조 5)
    사망 :
    1645년(인조 23)
    국적 :
    조선, 한국
  • 정탁 鄭琢
    겸직하고,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1572년(선조 5) 이조좌랑이 되고, 이어 도승지·대사성·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1581년 대사헌에 올랐으나, 장령 정인홍(鄭仁弘), 지평 박광옥(朴光玉)과 의견이 맞지 않아 사간원의 계청(啓請)으로 이조참판에 전임되었다. 1582년 진하사(進賀使)로...
    시대 :
    조선
    출생 :
    1526년(중종 21)
    사망 :
    1605년(선조38)
    경력 :
    우의정, 좌의정, 영중추부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약포집, 용만문견록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청주(淸州)
  • 이규영 李珪永
    이 되었다. 이듬해는 동지겸사은부사(冬至兼謝恩副使)로 청국을 다녀왔다. 이 후 1881년에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 1887년 성균관 대사성, 1888년 사헌부 대사헌, 선원보략수정(璿源譜略修正) 때 국조어첩서사관(國朝御牒書寫官)을 맡았다. 같은 해 공조판서, 1889년 한성부판윤, 지종정경(知宗正卿), 1890년 형조판서...
    시대 :
    근대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공조판서,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조병현 趙秉鉉
    그뒤 조만영(趙萬永)·조인영(趙寅永)·조병구(趙秉龜) 등과 함께 풍양조씨의 중심인물로 활동했다. 대사성, 세자시강원 겸 보덕, 경상도관찰사, 병조판서, 대사헌 등을 거쳐 1839년 형조판서가 되었다. 같은 해 기해사옥이 일어나자 당시 우의정 이지연(李止淵)이 개인적으로 천주교를 적대시하고, 풍양조씨 세도를 등...
    출생 :
    1791(정조 15)
    사망 :
    1849(철종 즉위)
    국적 :
    조선, 한국
  • 이수언 미숙(美叔), 李秀彦
    사항 1669년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문관의 벼슬을 거쳐 정언·지평을 역임하고 1681년(숙종 7) 응교를 거쳐 경상도관찰사로 특진된 뒤 승지·대사간·대사헌 등을 지냈다. 1689년 기사환국 때 초산(楚山)에 유배되었다가 1694년 갑술옥사로 풀려나와 형조판서에 올랐다. 이어 대사헌으로 오도일(吳道一)을 탄핵...
    시대 :
    조선
    출생 :
    1636년(인조 14)
    사망 :
    1697년(숙종 23)
    경력 :
    대사헌, 전라도관찰사, 형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학자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한산(韓山: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
  • 송치규 기옥(奇玉), 宋穉圭
    취임하지 않았다. 그 뒤에도 1804년 군자감정(軍資監正), 이듬 해 사헌부집의, 1812년 세자시강원진선·공조참의, 1815년 시강원찬선·공조참판, 1816년 대사헌 등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당대의 거유로서 많은 제자를 배출하였다. 평생을 두고 벼슬을 사양한 것은 스승 김정묵이 뜻하지 않은 사건에 연루되어...
    시대 :
    조선
    출생 :
    1759년(영조 35)
    사망 :
    1838년(헌종 4)
    경력 :
    이조참판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대표작 :
    강재집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은진(恩津)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