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충선왕 왕장(王璋), 忠宣王충선왕은 고려 제26대(재위: 1298, 1308~1313) 왕이다. 1298년(충렬왕 24) 충렬왕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아 즉위했으나, 왕비 계국대장공주와의 불화 및 관제 개편의 참월함 등이 문제가 되어 같은 해 폐위되었다. 충렬왕 사후 1308년(충렬왕 34)에 다시 왕위에 오른 후 개혁 교서를 반포하고 원에 가서 체재하였다. 131...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 26대 왕, 충선왕 고려 제 26대 왕, 忠宣王고려 제 26대 왕이자 충렬왕의 맏아들로 이름은 장, 자는 중앙. 1295년 3개월간 국정을 담당했을 때 백성들의 신망을 얻었으며 충렬왕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으며 즉위 후 고려사회 전반의 폐해를 혁신하는 한편 왕권의 강화를 도모했다.그러나 퇴위당해 개혁은 중단되고 말았다. 이후 10여 년 간 원나라에 머물다가 13...
- 출생 :
- 1275(충렬왕 1)
- 사망 :
- 1325(충숙왕 12)
- 국적 :
- 고려,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1298년∼1313년
- 시호 :
- 헌효대왕(憲孝大王)
- 능묘 :
- 덕릉(德陵)
-
효종 치욕의 역사를 씻기 위해 북벌을 계획하다소현세자 대신 왕위에 오르다 효종은 1619년(광해군 11)에 인조와 인렬왕후 사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호(淏), 자는 정연(靜淵)으로, 인조반정 후 봉림대군에 봉해졌다.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발발했을 때 봉림대군은 아우인 인평대군(麟坪大君)과 함께 강화도로 피란을 갔다. 그러나 강화도마저 함...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19년(광해군 11)
- 사망 :
- 1659년(효종 10)
- 본명 :
- 이호(李淏)
- 본관 :
- 전주(全州)
-
조선 17대 왕, 효종 이호, 孝宗조선 제 17대 왕이자 인조의 둘째 아들이며 이름은 호, 자는 정연, 호는 죽오. 병자호란 패배 후 볼모로 청나라 선양에서 8년을 머물다 형인 소현세자가 죽자 돌아와 세자가 되어 1649년 즉위했다. 청에 대한 원한이 깊어 반청 서인세력을 중용하면서 북벌계획을 추진하면서 군비를 강화했다. 또한 경제기반을 강화하면...
- 출생 :
- 1619(광해군 11)
- 사망 :
- 1659(효종 10)
- 국적 :
- 조선, 한국
- 종교 :
- 유교(성리학)
- 재위 :
- 1649년∼1659년
- 시호 :
- 효종흠천달도광의홍렬선문장무신성현인명의정덕대왕(孝宗欽天達道光毅弘烈宣文章武神聖顯仁明義正德大王)
- 능묘 :
- 영릉(寧陵)
-
충선왕, 심양왕 책봉아버지인 충렬왕에게 왕위를 반납하고 원나라에 들어가 머물던 충선왕이 원나라 황제인 무종에 의해 심양(지금의 중국 랴오닝성 선양)을 다스리는 심양왕에 봉해졌다. 무종이 황제 자리에 오르기까지 충선왕의 도움을 받은 데 대한 보답이었다. 심양 일대에는 전쟁 포로, 몽골에 항복한 자, 유민 등 다양한 고려 사람이...
- 시대 :
- 1308년
- 국가/대륙 :
- 한국
-
효종 (동의어 충선왕) 孝宗조선후기 제17대(재위:1649~1659) 왕. 개설 재위 1649∼1659.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이름은 호(淏)이다. 자는 정연(靜淵)이다. 호는 죽오(竹梧)이다. 인조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인열왕후(仁烈王后)이다. 비는 우의정 장유(張維)의 딸 인선왕후(仁宣王后)이다. 1619년 5월 22일 서울 경행방(慶幸坊) 향교동(鄕...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19년(광해군 11) 5월 22일
- 사망 :
- 1659년(효종 10) 5월 4일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병자호란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全州)
-
-
고려 26대 충선왕 개혁 정치 시행충렬왕이 지나친 원나라의 간섭과 왕비의 죽음으로 정치에 싫증을 느껴 아들 왕중앙(충선왕, 재위 1298년, 1308년~1313년)에게 왕위를 내 주고 태상왕으로 물러나 원나라로 들어갔다. 충선왕은 즉위하자 정방(최우, 정방 설치 참조)을 폐지하고 권문세족이 소유한 드넓은 토지를 몰수해 백성들에게 나눠 주었다. 또한...
- 시대 :
- 1298년
- 국가/대륙 :
- 한국
-
전왕 충선왕, 연경에 만권당 설치연경에 들어간 충선왕이 개인 도서관인 ‘만권당(萬卷堂)’을 세우고 고금(古今)의 진귀한 책들을 수집했다. 충선왕은 본래 성품이 학문과 예술을 사랑하는 데다 상왕으로서 재정이 넉넉해 원하는 대로 책을 모을 수 있었다. 이미 1298년에 충선왕을 따라 연경에 들어갔던 백이정이 책을 수집하고 학문을 연구하는 데 큰...
- 시대 :
- 1314년
- 국가/대륙 :
-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