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민암

다른 표기 언어 閔黯
요약 테이블
출생 1636(인조 14)
사망 1694(숙종 20)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 자는 장유, 호는 차호. 아버지는 이조참판 응협이다. 1668년(현종 9) 별시문과에 급제한 뒤 지평·승지·함경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1678년(숙종 4) 당시 인조반정에 대한 잘못된 기록을 바로잡기 위한 변무부사로 복평군(福平君) 연(㮒)과 함께 청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했다.

1680년 대사헌으로 있다가 경신대출척으로 남인들이 대거 실각하자 파직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다시 기용되어 대사헌·대제학·병조판서를 역임하면서 김수항(金壽恒)·송시열(宋時烈) 등 서인들의 처형 문제에 강경론을 주장했다. 1691년에는 우의정에 올랐으며,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694년 김춘택(金春澤) 등이 숙종의 폐비인 민씨를 복위시키려 하자 훈련대장 이의징(李義徵)과 함께 옥사를 일으키려 했다. 그러나 숙종이 서인을 등용하는 갑술옥사를 일으키자, 대정에 위리안치되었다. 이어 영의정 남구만(南九萬)의 탄핵으로 이의징과 함께 사사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민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