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상주 복룡동 유적 尙州 伏龍洞 遺蹟
    통일신라시대에 9주의 설치와 함께 본격적인 지방 도시건설이 이루어졌음을 입증할 수 있게 된 중요한 유적이다. 의의와 평가 상주 복룡동 유적은 통일신라시대...잘 보여주고 있어 상주지역 고대도시의 구조와 성격을 복원하는데 역사적 가치가 있는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또한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지속...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고대사
  • 보림사 가지산사(迦智山寺), 寶林寺
    건립 경위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이며 동양 3대 보림사 중 하나이다. 보림사는 원래 가지산사(迦智山寺)로 원표 대덕(元表大德)이 거처하던 곳이며, 759년(경덕왕 18)에 경덕왕은 장생표주(長生標柱)를 세우게 하였다. 이후 859년 헌안왕의 권유로 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 804~880)이 이...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13 민족문화특성, 14 민족문화보존, 2 강역:21 자연환경, 22 인문환경, 23 지방, 24 교통, 25 지명, 지리, 지도, 3 역사:31 선사시대, 32 초기국가시대, 33 삼국시대, 34 남북국시대, 35 고려시대, 36 조선시대, 37 근대, 38 현대, 4 자연과의 관계:41 자연물과의 관계, 42 자연과학, 43 기술, 44 보건, 45 체육, 5...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언론·출판/출판
  • 고령산 미타암 元曉山 彌陀庵
    주형(舟形)의 광배(光背)와 원형의 연화좌대, 불신(佛身) 등이 모두 단일석으로 되어 있다. 불상의 머리에는 육계(肉髻)가 있고, 두 귀는 어깨까지 늘어졌으며, 통견의(通肩衣)를 입었으며, 오른손은 시무외인(施無畏印), 왼손은 여원인(與願印)을 취하고 있다. 신라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우수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둔산 태고사 大芚山 太古寺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신라시대 원효(元曉)가 창건하였고, 고려 말 보우(普愚)가 중창하였으며, 조선 중기에 진묵(震默)이 중창하였다. 송시열(宋時烈)의 수학지(修學地)로도 유명한 이 절은 6·25 때 전소된 것을 주지 김도천(金道川)이 30년 동안 이 절에 머무르면서 대웅전...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용문산 용문사 龍門山 龍門寺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용문산은 미지산(彌智山)이라고도 한다. 913년(신덕왕 2) 대경대사(大鏡大師)가 창건하였다. 그러나 일설에는 649년(진덕여왕 3) 원효(元曉)가 창건하고 892년(진성여왕 6) 도선(道詵)이 중창하였다고 하며, 또 경순왕이 직접 이곳에 와서 창건하였다는...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지리산 천은사 감로사(甘露寺), 智異山 泉隱寺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의 말사이다. 화엄사 · 쌍계사와 함께 지리산 3대 사찰의 하나로서, 828년(흥덕왕 3) 인도 승려 덕운(德雲)이 창건하였으며, 앞뜰에 있는 샘물을 마시면 정신이 맑아진다고 하여 감로사(甘露寺)라 하였다. 그 뒤 875년(헌강왕 1)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중건하였고,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모악산 대원사 母岳山 大院寺
    개설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金山寺)의 말사이다. 역사적 변천 고구려에서 백제로 귀화한 열반종(涅槃宗)의 개산조인 보덕(普德)의 제자 일승(一乘) · 심정(心正) · 대원(大原) 등이 670년(문무왕 10)에 창건한 사찰이다. 이들은 열반종의 교리를 배운 뒤 스승이 있는 경복사(景福寺)를 바라볼 수...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후삼국 시대 Later Three Kingdoms, 後三国時代
    항복한다. 936년 3월 : 견훤이 아내 고비녀와 박영규를 데리고 고려로 망명한다. 936년 8월 : 견훤과 왕건이 공동으로 지휘했던 황산 전투에서 후백제를 멸망시킨다. 쿠데타의 주범인 능환과 양검을 처벌하고, 드디어 후삼국 통일을 이룬다.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국통일 후삼국 시대의 인물 목록 역사 전후 신라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가지산 석남사 加智山 石南寺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이 절은 824년(헌덕왕 16) 우리 나라에 최초로 선(禪)을 도입한 도의(道義)가 호국기도도량으로 창건한 선찰(禪刹)이다. 창건 당시 화관보탑(華觀寶塔)의 빼어남과 각로자탑(覺路慈塔)의 아름다움이 영남 제일이라고 하여 석남사(碩南寺)라 하였다고 하며, 일설...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도봉산 천축사 옥천암(玉泉庵), 道峰山 天竺寺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673년(문무왕 13)에 의상(義湘)이 만장봉 동북쪽 기슭에 있는 의상대(義湘臺)에서 수도할 때 현재의 위치에 절을 창건하고 옥천암(玉泉庵)이라고 하였다. 그 뒤 고려 명종 때는 영국사(寧國寺)를 창건한 뒤 이 절을 부속 암자로 삼았으며, 1398년(태조 7)함흥...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유득공 柳得恭
    한국사의 독자적인 발전과 체계화를 위해 역사연구 대상을 확대했다. 〈발해고 渤海考〉에서 한반도 중심의 역사서술 입장을 벗어나서 고구려의 옛 땅인 요동과...체계 안에 포함시켜야 함을 주장했고, 신라와 발해가 병존했던 시기를 남북국시대로 파악했다. 〈발해고〉는 군고·신고 등 9고(考)로 되어 있으나 권(卷...
    출생 :
    1749(영조 25)
    사망 :
    미상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