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한응인 춘경(春卿), 韓應寅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졸재(百拙齋) · 한유촌(韓柳村). 이조판서 한세좌(韓世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찬성 한유(韓侑)이고, 아버지는 부사직(副司直) 한경남(韓敬男)이며, 어머니는 현감 김만일(金萬鎰)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76년(선조 9) 사마시를 거쳐, 이듬해 알성문과에...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홍낙명 자순(子順), 洪樂命되었고, 그 뒤에 이조판서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취임하지 않았다. 경사(經史)에 밝고 특히 『소학』을 애독하였으며, 만년에 이황(李滉)과 중국의 한유(韓愈)를 사숙하여 경서와 문장에 침음하였다. 저서로는 『신재문집』 6권과 『소학초록(小學抄錄)』·『경술편(敬述篇)』·『기락편(旣樂編)』·『유은록(儒隱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22년(경종 2)
- 사망 :
- 1784년(정조 8)
- 경력 :
- 이조참의, 대사헌, 강화유수, 홍문관부제학, 병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신재문집, 소학초록(小學抄錄), 경술편(敬述篇), 기락편(旣樂編), 유은록(儒隱錄)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풍산(豊山 :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
-
신광한 한지(漢之), 시회(時晦), 申光漢또한, 청렴하여 이조판서가 되어서는 인사를 공정히 하고, 유일(遺逸: 벼슬하지 않고 초야에 묻혀사는 학덕이 높은 선비)을 많이 등용하였다. 학문에 있어서는 맹자와 한유(韓愈)를 기준으로 했고, 시문에 있어서는 두보(杜甫)를 본받았다. 저서로 『기재집(企齋集)』이 있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84년(성종 15)
- 사망 :
- 1555년(명종 10)
- 경력 :
- 승문원박사, 공조정랑, 대사성, 경기도관찰사, 호조참판, 형조판서, 우참찬, 좌찬성, 지경연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기묘사화, 을사사화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기재집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고령(高靈)
-
고경중마방 古鏡重磨方題)’가 있으며 영조의 어제시가 있다. 본문에는 고대의 성왕인 은탕(殷湯)의 반명(盤銘)과 주무왕(周武王)의 석사단명(席四端銘) 등으로부터 당송의 명현인 한유(韓愈)의 오잠(五箴), 정자(程子)의 사물잠(四勿箴) 등 23명의 잠·명 76편을 수록하였다. 그리고 끝에는 주희(朱熹)의 고경중마(古鏡重磨)가 자기수양에...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황
- 창작/발표시기 :
- 1744년(영조 20)
- 성격 :
- 교양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정구
- 분야 :
- 교육/교육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호익위 虎翼衛당시 하삼도(下三道)의 한량 수는 경상도 1,156인, 전라도 458인, 충청도 573인 등으로 이들은 모두 젊고 경제력도 있으나 벼슬길이 넓지 못하여 외방에서 한유(閑遊)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에 이들을 6패(牌)로 나누어 호분위(虎賁衛)에 속하게 하고 별도로 산관체아(散官遞兒)를 마련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 시대 :
- 조선 전기
- 성격 :
- 군대, 군사조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459년(세조 5)
- 시행처 :
- 병조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