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임금 관련 노무상담, 회사가 망해서 밀린 임금을 받지 못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다른 채권보다 우선해서 변제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같은 돈이라도 누군가에게는 아주 절실하지만 누군가에게는 덜 절실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에게 근로의 대가인 임금은 절실한 생계수단이기 때문에 근로기준법에서는 임금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임금을 주식이나 쌀 같은 것으로 지급...
-
징계·해고 관련 노무상담, 징계 사유에 대해 변명도 못하고 해고될 수 있나요위원회는 서면 소명과 달리 여러 위원들 앞에서 직접 얼굴을 맞대고 발언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당사자의 태도나 자세에 문제가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로관계에서의 징계는 단지 징계 사유인 '잘못'만 고려하는 것이 아닙니다. 근로관계에서는 '신뢰'라는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같은 잘못을...
-
근로자 노무상담, 누가 근로자를 도와주나요임금이나 퇴직금을 제때 못 받았거나 적게 받았을 때, 회사에서 별다른 이유도 없이 연차휴가를 못 쓰게 할 때, 동의도 없이 야근을 시키거나 시간 외 근로수당을 주지 않을 때, 성별을 이유로 차별하거나 직장에서 성희롱이 발생했는데도 적당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때, 전 직장에서 고의로 재취업을 방해하거나 각종...
-
임금 관련 노무상담, 임금을 일부만 주거나 제때 주지 않으면 어떡하나요하고서 임금을 주지 않는다면 정말 '나쁜 사용자'입니다. 처음부터 임금을 주지 않을 의도를 가지고 근로자에게 일을 시켰다면, 이런 행위는 임금체불이라는 근로기준법 위반뿐 아니라 형사상 '사기죄'에도 해당합니다. 그러나 일부러 임금을 떼먹는 나쁜 사용자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은 현금 흐름이 원활하지...
-
국민의 기본의무 國民─基本義務원칙이 확립됨으로써 비롯되었다. 그 뒤, 1789년 프랑스인권선언 및 1793년 헌법의 인권선언편, 1919년의 「바이마르헌법」 등이 교육을 받게 할 의무, 근로의 의무 등을 규정함으로써 기본적 의무가 성문화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선례에 따라 오늘날에는 각국의 헌법이 널리 국민의 기본적 의무에 관한 조항을 두고...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징계·해고 관련 노무상담, 징계나 해고가 부당하다고 생각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임금, 근로시간, 휴가 등 근로조건과 관련해 사용자의 위반 행위가 있을 때는 사업장을 관할하는 고용노동부의 각 지청에 진정이나 고소, 고발 등 민원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당한 징계, 해고, 전직 등은 '노동위원회'라는 별도의 독립기관이 담당합니다. 고용노동부 지청에서는 근로감독관이라는 고용노동부...
-
노동조합 관련 노무상담 사례, 노동조합이 없을 땐 근로자대표의 역할이 중요하다고요 근로자대표작아질수록 노조 조직률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 뚜렷합니다. 일부 고임금 근로자들의 강성 노조활동을 두고 귀족노조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반면, 실제 근로조건이 더 열악한 중소기업에는 오히려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가 많아 노동조합 활동조차 양극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중소기업은 근로자 개인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