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연합] 1989년 > 사회 > 노동 > 근로감독ㆍ근로복지 > 근로감독 89년말 현재 전국의 근로감독관은 총 607명으로 이중 실무를 담당하는 근로감독관(6ㆍ7급기준)은 총489명으로써 89년 사업장에 대한 근로감독은 정기 및 수시감독 2,516개소, 진정, 고소, 고발에 의한 신고감독 3만4,286개소가 실시되어 이중 사법처리된 것은 7,564건(이중구속 14명), 행정처리된 것은 1만8,765건으로...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89년 > 사회 > 노동 > 노동인구ㆍ임금ㆍ근로시간 > 근로일수 및 근로시간수 89년10월중 상용근로자 10인이상 사업체의 월평균 근로일수동향은 전 산업의 월평균근로일수 24.4일로 전년동월에 비해 0.3일이 감소했다. 또 10월중 주당평균 근로시간수는 정상근로시간이 40.9시간으로 전년동월에 비해 5.0% 감소했으며 초과근로시간수는 6.6시간으로 6.6% 감소했다. 총근로시간은 47.8시간으로 전년...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1999년 > 정치 > 근로단체 > 동향 > 근로단체 연합행사 근로단체 연합궐기모임 근로단체 사상사업일꾼회의 근로단체 일꾼회의 북한은 98년 3월 10일 평양에서 직맹ㆍ여맹ㆍ농근맹 등 근로단체 연합궐기모임을 열고 전체 근로자들이 봄철나무심기에 적극 동참할 것을 호소했다. 원동구 당중앙위 부장, 주성일 당시 직총위원장, 김순복 여맹 부위원장, 각 근로단체 대표들이...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1995년 > 사회 > 노동 > 노동인구ㆍ임금ㆍ근로시간 > 근로시간 주당 근로시간은 지난 89년 49.2시간으로 40시간대에 진입한 이후 93년 47.5시간, 94년 47.4시간으로 감소세를 유지했다. 이 같은 현상은 근로자들의 소득수준 향상으로 생활의 여유가 생김에 따라 초과근로를 기피하고 여가를 선호하는 경향이 일반화된데 따른 것이다. 또 최근 대기업을 중심으로 토요 휴일근무제가...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7년 > 사회 > 노동 > 근로기준 > 사업장 근로감독 정부는 93년 이후 행정규제 완화 차원에서 정기근로감독대신 특별감독을 실시하고 있는데 97년에도 이같은 방침에 따라 근로조건불이행으로 노사분규가 발생한 사업장이나 금품체불로 사회적 물의를 빚은 68개 업체(10월말 현재)에 대해서만 선별적으로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모두 212건의 근로기준법...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3년 > 사회 > 노동 > 노동인구ㆍ임금ㆍ근로시간 > 근로시간 주당근로시간이 50시간대에서 점차 감소해 89년에 주49.2시간으로 40시간대에 진입한 이래 꾸준히 감소해 92년 47.5시간, 93년9월 47.1시간이 됐다. 이러한 현상은 근로자들의 소득수준이 상승해 생활의 여유가 생김에 따라 초과근로를 기피하고 여가를 선호하는 경향이 일반화되고 있기 때문이며, 89년3월 근로기준법을...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4년 > 사회 > 노동 > 노동인구ㆍ임금ㆍ근로시간 > 근로시간 주당 근로시간은 89년에 평균 49.2시간으로 40시간대에 진입한 이래 꾸준한 감소세를 보여 93년 47.5시간, 94년 11월 누계로는 47.2시간을 기록했다. 이러한 현상은 근로자들의 소득수준이 상승해 생활의 여유가 생김에 따라 초과근로를 기피하고 여가를 선호하는 경향이 일반화된 데 따른 것이다. 또한 최근 대기업을...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0년 > 사회 > 노동 > 사업장근로감독 > 근로감독행정체계강화 보다 효율적인 근로감독업무추진을 위해 90년3월 근로감독관 123명을 증원하고 카폰 27대, 무선호출기 133대를 지방노동관서에 지원함으로써 근로감독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89년12월30일 개정된 근로감독관규정에 따라 근로감독직공무원 43명을 근로감독관에서 해면하고, 행정직 및 기술직 6ㆍ7급 공무원 96명과 근로...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6년 > 사회 > 노동 > 노동인구ㆍ임금ㆍ근로시간 > 근로시간 96년11월 현재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47.3시간으로 95년 동기의 47.6시간에 비해 0.3시간(-0.7%) 감소했다. 이중 정상 근로시간은 41.6시간으로 95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인 반면 초과 근로시간은 5.7시간으로 95년(6.0시간)보다 0.3시간 감소했다. 월평균 근로일수는 24.4일로 95년의 24.5일에 비해 0.1일 감소하는데...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0년 > 사회 > 노동 > 노동인구ㆍ임금ㆍ노동시간 > 근로일수ㆍ근로시간수 90년10월 중 상용근로자 10인 이상 산업체의 월평균 근로일수동향은 전 산업의 월평균근로일수 22.8일로 전년동월에 비해 1.6%일이 감소했다. 또 10월 중주당평균근로시간수는 44.6시간으로 전년동월에 비해 6.7%감소했다. 이를 정상근로시간과 초과근로시간으로 나누면 정산근로시간은 37.9시간, 초과근로시간은 6.6...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89년 > 사회 > 노동 > 근로감독ㆍ근로복지 > 법정기준근로시간 89년3월29일 근로기준법이 개정되어 일반사업장의 경우 법정기준근로시간이 종전의 주 48시간(유해위험작업 주 36시간)에서 46시간(유해위험직업주 35시간)으로 단축되었으며, 금융ㆍ보험업 및 300인이상의 모든 사업장은 90년10월1일부터, 기타 사업장은 91년10월1일부터 주 44시간의 적용을 받게 되었다.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2년 > 사회 > 근로단체 > 개요 > 개관 성별에 따라 조직된 조선민주여성동맹(여맹),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청년동맹), 조선소년단(소년단) 등이 있다. 이 가운데 근로자들의 대중적 정치조직인 근로단체로는 직총ㆍ농근맹ㆍ여맹ㆍ청년동맹 등 4개다. 북한은 근로단체의 성격에 대해 ‘당을 옹호 보위하고 방조하는 당의 외곽단체이며 당과 대중을 연결...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